[탈레반의 두얼굴 5] 여성미용실은 닫혀있고 남성미용실은 활짝 열린 이곳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 탈레반은 아프가니스탄(이하 아프간)을 두 차례(1996년~2001년, 2021년~현재)에 걸쳐 통치해 왔다. 탈레반의 아프간 집권 1기는 모든 자유를 억압하는 폭정으로 얼룩졌다. 2021년 집권 2기를 맞이한 탈레반은 이전과는 다르다고 말하지만 그들을 향한 서구의 시선은 과거와 별반 다르지 않다. 탈레반이 말하는 그들 스스로와 서구가 말하는 탈레반, 어느 것이 탈레반의 진짜 얼굴인가. 2023년 12월 탈레반 치하의 아프간을 몸과 마음으로 부딪힌 이신석 ‘아시아엔’ 분쟁지역전문기자가 있는 그대로의 탈레반과 아프간을 전한다. -편집자

지난 글에서 탈레반이 재집권 한 이후 아프간 전역의 여성 출입 미용실을 폐쇄했다고 말했다. 그런데 이와는 대조적으로 아프간에서 남성 전용 미용실이 성업 중이며 화장하는 남자들도 많다는 얘기가 들려왔다. 진실을 확인하기 위해 카불 시내의 한 미용실을 찾아갔다.

필자(오른쪽)가 방문한 샵의 디자이너. 터키에 난민 신청을 했으나 거절당해 아프간으로 돌아와 일을 시작했다고 했다. 가지런히 다듬은 수염과 짙은 눈화장이 인상적이었던 그는 행동 하나 하나가 여성스러웠다. 

필자가 방문한 샵의 디자이너는 당연히 남자였고, 또 남자 손님만 받는 곳이었다. 필자는 수염만 다듬으려 했으나 수염은 물론 피부까지 까맣게 칠해 남성성을 더욱 강조한 채 미용실 문 밖을 나섰다.

이처럼 아프간에선 성인 남성들이 남성 전용 미용실에 들러 수염을 다듬는 것이 흔하다고 한다. 그 중에는 파운데이션을 바르고 그 위에 색조화장을 더해 얼굴을 치장하는 사람들이 여럿 있었다. 심지어 아이라이너로 눈을 그리고 스모키 화장까지 불사하는 이들도 있었다.

칸다하르에서 만난 어느 소년. 눈썹을 가지런히 다듬고 눈주변을 칠했다.

화장하는 남자는 아프간에서 꽤나 일상적인 풍경이었다. 필자는 제복이나 전통 복장을 입고 다니는 탈레반 대원들 중에서도 진한 스모키 화장을 한 얼굴들을 목격하곤 했다. 외신 보도 등을 통해 접한 탈레반 대원들의 거칠어진 얼굴과는 거리가 있었다.

아프간의 남성들, 주로 파슈툰족이 행하는 코스메틱(화장) 문화는 역사가 깊다. 사료에 따르면 기원전 약 3500년 전 고대 이집트의 어린 남자아이와 성인 남성들이 악귀를 쫓는다는 의미로 화장을 했다고 한다. 이러한 풍습이 아프리카와 남아시아로 퍼져 나갔다.

칸다하르에서 만난 파슈툰족 릭샤기사. 그 역시 속눈썹을 강조하고 눈썹도 짙게 그렸다. 

문명이 고도로 발달한 현대사회로 넘어오면서 남성의 화장 문화는 점차 사라져 갔다. 그럼에도 화장하는 남자들은 아프리카나 아시아의 일부 오지에 여전히 존재하고 있으며, 실제로 필자는 인도, 네팔, 파키스탄 등 남아시아 지역에서 화장한 남자들을 만난 적이 있었다.

고대의 화장 문화가 전장에 나가기 전 액운을 내쫓고 용기를 북돋는 의식이라 본다면, 오랜 전쟁을 겪은 아프간과 탈레반에선 과거의 풍습이 자연스레 보편화된 것은 아닐까?

아프간에선 남성이 여성을 정면으로 응시하는 것이 금기시 된다. 사진 속 남성 상인은 부르카를 입은 여성이 지나가자 손바닥으로 눈을 가렸다.

이슬람 문화권은 매우 보수적인 여성관을 지니고 있다. 무슬림 여성은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기 위해 얼굴이나 전신을 천으로 감싼다. 그들을 대하는 남성들 역시 부담스럽기는 마찬가지다. 아프간에서만 해도 부르카 입은 여자와 눈이 마주치는 것을 피하려고 얼굴 돌리는 남자들의 모습이 여러 번 포착됐다.

종교와 문화적인 특성을 감안한다면 탈레반이 여성 전용 미용실은 폐쇄한 것은 나름의 이유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남성 전용 미용실의 문은 활짝 열어 두고 또 남자들이 얼굴을 치장하고 돌아다니는 모습에서 작지 않은 모순을 느꼈다. 말 그대로 탈레반의 두 얼굴이 드러났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