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상익의 촌철] 무역회사 사장 출신 경비원의 ‘잔잔한 미소’
아버지는 30년 넘게 회사를 다니다 퇴직했다. 그 다음날이었다. 아침에 일어나면 평생 기계같이 회사로 갔는데 안 가니까 이상하다고 했다. 그 생활에 길들여져 있었던 것 같다. 그 얼마 후 아버지는 내게 일자리를 알아봐 달라고 했다. 그게 안 되면 길거리에서 만두를 만들어 팔아보겠다고 했다. 정년퇴직은 인생의 경사진 언덕 아래로 굴러내리는 것이었다. 아들인 나는 그걸 떠 받칠 능력이 되지 않았다. 그게 우리 사회 소시민들이 가야하는 내리막길이었다. 그 다음엔 아파서 요양병원에 있고 그리고 세상을 떠난다.
서울법대를 졸업하고 연구직에 있던 동창이 있다. 그는 연구소를 퇴직한 후 교회의 경비원으로 취직했다. 어느 날 주차금지지역에 차를 댄 장로에게 원칙을 지키라고 했다. 평생 법과 원칙을 공부하던 버릇이 남아 장로의 특권을 생각하지 못했던 것 같다. 그는 목이 잘렸다.
신문사 논설위원으로 근무하다가 퇴직한 친구가 있다. 그는 주민센터에서 주는 노인 일자리를 신청해서 갔다. 거의 여성들이었다. 그는 팀장이라는 여성이 어떻게나 갑질을 하는지 그 마음을 풀려고 별 짓을 다했다고 했다. 그리고 나서야 일당 오만원을 벌 수 있었다고 했다.
어느날 아파트 경비원의 경험담을 듣는 기회가 있었다. 무역회사 사장이었던 50대 후반의 남자였다.
“부도가 나서 백수로 있었어요. 우연히 친구가 주유소에서 기름총을 들고 알바를 하더라구요. 과거에 큰소리치며 살던 그의 변신을 보고 존경스럽더라구요. 출세했었거든요. 나도 아파트 경비원을 하겠다고 결심했죠. 그런데 그것도 그냥 되는 게 아니라 자격증이 있어야 하더라구요. 사흘 동안 경비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해서 교육장에 가보니까 12만원을 내라고 하는 거예요. 돈도 카드도 없는 내 신세에 그 돈이 작은 게 아니었어요. 그래서 친구한테 전화 해서 사정했죠. 친구는 내가 그렇게까지 됐는지 몰랐다고 하면서 한동안 말을 못하더라구요. 이력서에도 졸업한 대학을 숨겨야 했어요. 일 시키는 사람들이 불편해 하니까요. 석달짜리 파리목숨이지만 운 좋게 경비원 제복과 모자를 받았죠.”
이어서 그는 경비원으로 일하면서 겪었던 일들을 얘기했다.
“경비원의 일은 하루하루 참아나가는 것이었어요. 동대표라는 분이 불법주차를 하더라구요. 경비원은 투명인간이 돼야지 말을 하면 안 돼요. 삿대질을 하는 입주민도 있고 아들뻘 되는 젊은이가 턱으로 심지어는 발로 지시를 하더라구요. 다양한 형태의 갑질을 겪으면서 모멸감을 느꼈습니다. 그걸 견디지 못해 자살을 한 경우도 있잖아요? 엉뚱한 일을 시키는 입주민도 있었어요. 순찰을 도는데 한 입주민이 옷장을 옮겨달라고 하더라구요. 무거운 옷장이었어요. 그걸 하고 나와서 가는데 다시 불러요. 아무래도 원래 위치가 나을 것 같다고 원상회복하라는 거예요.”
그 말을 들으면서 떠오르는 기억이 있었다. 정보기관에서 근무할 때였다. 그 조직은 민심을 파악하기 위해 압구정동에서 성남으로 가는 버스 안 승객들의 대화내용을 녹취했었다. 승객들은 대부분 부자촌인 압구정동에서 파출부를 하는 여성들이었다. 그들이 매일 부자들을 보면서 가지는 박탈감과 모멸감 그리고 증오가 가득했다. 그들은 세상이 뒤엎어지는 경우, 갑질하던 그 사모님들의 집을 빼앗고 그 자리에 있고 싶어 했다. 나는 그걸 보면서 사회적 겸손과 사랑이 있어야 증오의 독을 녹일 수 있을 것 같았다. 나는 사장출신 경비원의 말을 계속 조용히 듣고 있었다.
“낮아지니까 전에 안보이던 게 보이더라구요. 환경미화원, 대리기사 등 경제적 약자들이 이 사회의 밑바닥에 강물같이 깔려있는 걸 보고 놀랐어요. 내가 사장이고 아파트 입주민으로 있을 때는 보이지 않던 것들이었죠. 그렇지만 갑질하는 사람들은 목소리가 높은 극소수에 불과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상식을 벗어나지 않고 따뜻해요. 어느 날 밤 10시경이었어요. 내가 있는 초소의 창이 살며시 열리고 한 고등학생이 붕어빵이 담긴 봉지를 넣어주었어요. 마음이 따뜻해졌어요. 그리고 또 한번은 밤늦게까지 쓰레기 분리수거를 하고 있는데 지나가던 입주민 아주머니가 포도 한송이를 주더라구요. 보니까 비싼 고급청포도였어요. 두 송이를 사가는데 그중 한 송이를 저에게 주는 거예요. 그 마음이 고맙더라구요. 낮아지니까 전에는 보이지 않던 것들이 많이 보입니다. 친구들 중에는 건강이 받쳐주지 않아 일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도 저는 아직 일을 할 기회가 있어 행복하고 감사합니다.”
누군가의 작고 따뜻한 시선이 그들의 가슴 속에 있는 고드름을 녹일 수 있었던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