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숨은 감염자’ 1000만명···전국민 97% 항체 보유

[아시아엔=박명윤 <아시아엔> ‘보건영양’ 논설위원, 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방역 당국이 2020년 3월 11일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처음 실시한 ‘코로나19 항체 양성률 조사’에서 국민 97%가 코로나19 항체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NIH)은 9월 23일 이런 결과를 담은 ‘지역사회 기반 대표 표본 코로나 항체 양성률 1차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결과는 질병관리청·한국역학회·의료기관 등이 8월 5일부터 9월 6일까지 전국 17개 시·도 만 5세 이상 표본집단 9901명의 혈액을 분석한 것이다. 조사에 따르면, 우리 국민 97.4%는 코로나19 감염이나 백신 접종을 통해 코로나 항체를 갖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60대가 99.4%로 가장 높았고, 가장 낮은 연령대는 5-9세(79.6%)였다.

조사 대상자의 57.7%는 코로나19에 감염된 적이 있음을 의미하는 ‘N항체’를 보유하였으므로 10명 중 6명은 코로나19에 감염됐다가 나은 셈이다. 이는 조사 직전 시점(7월 30일)의 국내 누적 확진율인 38.2%보다 19.5%p 보다 높은 수치다. 즉, 전 국민의 약 20%가 무증상 등으로 검사와 진단을 통해 확진 판정을 받지 않고 지나간 ‘미진단 감염자’라는 뜻이므로 약 1000만명이 코로나에 감염되고도 검사를 받지 않아 확진자로 분류되지 않은 ‘숨은 감염자’이다.

항체(antibody)라 함은 보통 면역력 획득을 의미하는 IgG 항체와 급성 감염을 시사하는 IgM 항체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코로나19는 IgG, IgM 항체로의 구분보다는 N(nucleocapsid) 항체, S(spike) 항체, 그리고 중화항체(neutralizing antibody)로 구분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구조를 보면 다양한 단백질이 존재하는데, 항체 검사의 주 타겟은 N단백과 S단백이다.

S단백은 바이러스가 세포 내로 들어가기 위해 세포와 결합하는 부분이며, N단백은 코로나 바이러스의 가장 풍부한 단백질로, 게놈 RNA 전체를 감싸고 있으며 바이러스 입자 조립과 방출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코로나19 자연 감염의 경우 N, S 단백에 대한 항체가 모두 생성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코로나19 백신은 S단백을 타겟으로 하고 있어, 접종 후 S항체만 생성되고 N항체는 생성되지 않는다.

코로나 항체 검사에서는 S항체와 N항체 형성 여부를 확인한다. 코로나19 자연 감염은 S항체와 N항체 형성 모두를 유도해, 코로나19에 걸렸다가 나은 사람에게선 두 항체 모두가 확인된다. 반면 코로나 예방 백신 접종은 S항체 형성만 유도한다. 이에 N항체를 보유한 것은 코로나19에 걸렸다 나은 이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S항체를 보유한 건 코로나19에 감염된 적이 있거나 백신을 접종한 것 모두를 뜻하게 된다.

이번 조사에서 항체 보유 여부만 확인했을 뿐 항체 중에서도 실제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중화항체(中和抗體)를 갖고 있는지 등은 조사하지 못했다. 조사 대상 상당수가 가진 항체는 코로나 초기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이기 때문이다. 다만 방역당국은 높은 항체 양성률로 인해 향후 코로나 재유행 시 중증화율과 사망률은 상당히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중화항체는 병원체나 감염성 입자가 신체에 침투했을 때 생물학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중화하여 세포를 방어하는 항체를 가리킨다. 중화항체는 바이러스, 세포 내 박테리아 및 미생물 독소에 대한 후천 면역 반응의 일부이다. 중화항체는 감염성 입자의 표면 구조에 특화된 형태로 생성되어 결합하여 감염성 항원이 숙주 세포와 상호 작용을 하는 것을 방지하여 면역을 달성한다. 이것을 항체 중화반응이라고 한다.

백신 예방 접종을 통해 감염 질환의 발병 혹은 확산을 막는 방법은 중화항체의 형성과 작용에 따른 원리이다. 같은 항원에 의한 재감염이 일어날 경우 기억 베타세포(B cell)가 매우 빠르게 침투한 특정 항원에 대한 중화항체를 만들게 됨으로써 보다 강도 높고 빠른 면역 반응을 유도하여 질병을 극복할 수 있게 한다.

이번 조사에서 항체 양성률은 연령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고령층에서 높았다. 즉, 60대가 99.4%로 가장 높았고, 70대 99.3%, 50대 99.2%로 나타났다. 그리고 20대는 99.0%, 40대 98.7%, 80대 이상 97.9%, 30대 97.8%로 조사되었다. 반면 백신 접종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5-9세는 79.6%, 10-19세는 90.6%였다.

소아와 청소년은 대부분 코로나19 자연감염을 통해 항체가 형성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람에게서 발견되는 ‘N항체’ 양성률이 5-9세, 10-19세에서 각각 79.8%, 70.6%로 높았기 때문이다. 반면 70대는 43.1%, 80세 이상에서는 32.2%로 낮았다. 방역당국은 “백신 접종이 중증화·사망 위험이 높은 고령층을 우선해 진행된 데다, 고령층의 사회활동이 소아와 청소년에 비해 많지 않아 감염원 접촉 기회가 적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방역당국의 확진자 집계에 잡히지 않은 미확진 감염자(숨은 감염자)는 전 국민의 19.5%로 약 1000만명으로 추산됐다. 특히 50대(27.7%)와 40대(24.8%)에)서 숨은 확진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40-50대는 대부분 가정 경제를 책임지거나, 자영업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은 경제활동 중심 인구여서 증상이 있거나 양성을 확인했어도 확진 판정 후 격리 등에 대한 우려 때문에 그냥 지나갔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국내의 ‘숨은 감염자’ 비율(19.5%)는 전문가 예측이나 영국 등 해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당초 전문가들은 오미크론 변이의 무증상 감염률이 50%를 넘는다는 해외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실제 감염자 규모는 당국 공식 통계의 두세 배에 달할 것이라고 보았다. 영국이 2020년 8월부터 2022년 7월에 걸쳐 전국 헌혈자 약 1만3700명의 혈액을 분석한 결과 미확진 감염률은 38.8%였다.

이번 조사는 9901명의 혈액검사를 통해 코로나 바이러스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 보유 여부만 판정한 것이다. 따라서 항체가 얼마나 있는지, 항체 중에서도 실제로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중화항체’를 갖고 있는지까지는 조사하지 못했다. 이번 조사 대상자 상당수가 가진 항체는 코로나19 초기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다. 이에 항체를 갖고 있어도 개인에 따라 얼마든지 감염 또는 재감염될 수 있다.

방역당국은 “높은 전체 항체 양성률(97.4%)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력이 그만큼 높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항체는 보통 6-8개월 정도 유지되지만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하고,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고위험군의 추가 접종은 여전히 중요하다.

대규모 코로나19 항체 형성률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의 ‘숨은 감염자’가 약 1000만명으로 추산되면서 코로나가 지나간 뒤 발생하는 장기 후유증(롱코비드) 문제가 다시 대두되고 있다. 특히 40-50대 연령층에서 숨은 감염이 가장 많아 전반적인 노동력 감소도 우려된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