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전도사 강민구②] “디지털 문맹 타파에 온 국민 동참을”
서울고등법원 강민구 부장판사의 꿈이 몇개 있다. 대한민국 사람 누구나 디지털 문맹에서 벗어나 스마트폰과 함께 노후를 자신감 넘치게 보내는 것, 그리고 정부, 국회, 언론 등 여론주도층 인사들이 제발 자신의 목소리에 적극 귀를 기울이는 것이다. 그는 1985년 스스로 육사교수 시절부터 코딩 언어를 학습해, 훗날 1998년 대법원 종합법률정보 시스템 구축에 크게 기여했다. 2000년 미국 연수시절, 당시로서는 세계 첨단이던 미국의 21세기 전자법정 사법시스템을 체험·학습한 후 낸 <함께하는 법정>(박영사, 750쪽)은 한국 전자법정과 전자소송의 주춧돌이 됐다.
2016년 부산법원장 시절 서울을 오가면서, 대법원 사법정보화 발전위원회, 2017년 사법정보화 전략위원회 각 위원장으로 차세대 사법정보시스템의 핵심 얼개 구축활동도 했다. 최근엔 블로그와 유튜브 채널을 통해 첨단기술의 효용과 디지털 혁신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한편, 전경련 등 공공기관에서 관련 특강에 나서고 있다. 그는 ‘QR 코드 활용비법’, ‘구글 어시스턴트 활용법’, ‘구글 알리미 활용법’, ‘에버노트 왕초보 탈출법’, ‘구글렌즈 활용법’, ‘클로바노트 활용법’ 등을 최신 스마트폰 사용법을 전파하는 디지털 전도사로 활동 중이다.
디지털 음영지대를 시급하게 해소하자는 내용의 ‘혁신의 길목에 선 우리의 자세’란 강연 콘텐트는 유튜브에서 135만 조회를 기록했다. 관련 짧은 영상들을 포함하면 210만 조회를 넘고 있다. <매거진N>은 강민구 판사를 5월 4일 오후 2시반 서초동 그의 사무실에서 만났다. 애초 인터뷰를 의도하지 않았지만, 얘기를 나누면서 ‘이 분의 생각과 실행을 독자들께 전하지 않는다면 직무유기’란 생각이 머리를 스쳤다. 기자가 인터뷰로 정리하겠다며 승낙을 구하고 스마트폰으로 녹음을 시도하자, 그는 “이 방 나가기전 텍스트로 받을 수 있겠다”며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녹음을 시작했다. 2시간 가까이 이어진 대화는 그의 방을 나올 때 텍스트 형태로 기자 핸드폰에 옮겨 있었다. 분량은 200자 원고지로 180장이 넘었다. 강 판사의 얘기를 아이템별로 정리했다. 그와의 인터뷰를 몇 차례로 나눠 보도한다. <편집자>
‘디지털상록수’의 다짐
작년 10월 1일부터 윈도우10에서 윈도우11로 업그레이드가 됐다. 윈도우11에 가서 보면 정말 경천동지할 일이 있는데, 컴퓨터 교수들도 모른다. 무시하는 게 아니라 실제가 그렇다. 일레븐으로 업그레이드가 된 뒤 마이크로소프트의 코타나 음성 인식엔진이 종전 영어에서만 하던 걸 한글에서도 다 인식을 한다. 말을 입력하면 50장이든 100장이든 1000장이든 계속 자동 타자가 된다. 이걸 몰라 논문이나 신문기사, 판결문 등을 아직도 손가락 혹사시키면서 쓰고 있다. 너무 통탄스러워서 5분짜리 유튜브 영상으로 사용법도 올리고, 외부 강연하며 강조하지만 사람들은 눈 감고, 길 막고, 그런 게 있는 줄도 모른다. 가슴이 찢어질 듯 아프다.
내 블로그 이름은 ‘디지털 상록수’다. 심훈의 상록수는 아날로그 상록수인데, 대한민국의 디지털문맹 현상을 내 한몸 받쳐 깨부수기 위해서 ‘디지털 상록수’라고 붙였다. 한탄스러운 일이 이것만이 아니다. 사람들이 구습에 젖어서 새로운 것에 대한 혁신을 배우려고 하지 않는다. 안 배워도 사는 데나 돈 버는 데, 그리고 출세하는 데 지장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강 판사 너나 많이 해라’ 하면서 눈 감아버리는 게 너무 안타깝다.
편견·선입견을 넘어서서
창원과 부산법원장, 법원도서관장 시절 4년 동안 내부 구성원과의 이메일 소통 기록을 7800쪽으로 만들었다. 매주 월요일 내부 이메일은 말로 쓰고, 400쪽이 모이면 pdf로 만들어 전자책으로 제작했다. 직원들 도움 안 빌리고 나 혼자 했다. 건국 이후 이렇게 한 기관장 아무도 없을 거다. 얼마나 오해와 질시를 받았는지 모른다. ‘강민구 원장이 특수조직을 가동한다’, ‘삼성전자 임원인 막내 동생이 IT인력을 붙여준다’, ‘법원에서 IT에 뛰어난 판사와 직원들을 비선으로 쓴다’ 등등. 내가 비선 썼으면 법원 노조에서 당장 탄핵이 일어났을 거다. 오로지 스마트폰, 노트북, 그리고 내 머리와 입만 갖고 그 일을 했다. 사진도 내가 찍었다.
작년 8월부터 전자책 6권과 그와 별도로 개인기록 3600페이지 4권 등 모두 10권 분량으로 만들어 무상으로 나눠줬다. 그 과정이 사법연수원 동기와 서울대 법대 동기 카톡방에 실시간으로 중계된 게 있는데, 윤성근 부장판사 칼럼집 <법치주의를 향한 불꽃>이다. 그러고 나니 오해·의심하는 사람이 없어지더라. 윤성근 판사는 불꽃처럼 살다가 2022년 1월 11일 먼저 갔다. 그 책을 이틀 만에 전자책으로 완벽하게 만들고, 종이책으로 논산 ‘바른디자인’에서 초판과 개정판을 냈다. 윤 부장판사의 빈소에 당시 윤석열 후보가 바쁜 시간에도 수행원이나 카메라 대동 없이 홀로 조문하고 갔다. 윤 부장판사는 윤 대통령 충암고, 서울법대 1년 선배가 된다.
21세기 디지털 정약용이 되어
고등법원장이 안돼 안식년을 갖게 됐는데, 코로나로 태국행정대법원 초청 등 계획됐던 외국방문도 할 수 없었다. 2020년 3월 뭔가 뜻있는 일을 하자 생각하니, 그때 눈에 띈 게 코로나 외신기사다. 코로나 관련 외신기사를 구글 뉴스 각국어 버전으로 자동번역 해서 유의미한 것을 골라 공개적으로 공급하기로 했다. 코로나 외신기사를 한국말로 정서하고 쓸데없는 것 지우고 하여 제목까지 붙여서 정리한 게 400쪽 짜리 27권으로 묶었는데, 페이지가 1만1000쪽에 달한다. 대한민국에서 의사 빼고 코로나를 가장 많이 연구한 사람이 나라고 자부한다.
구글에 북마크(즐겨찾기)라는 게 있는데, 한국·미국·독일·영국·프랑스·이탈리아·포르투갈·러시아·중국·일본·호주·인도·아르헨티나·칠레·브라질·이스라엘·아랍·대만·베트남 등에서 코로나 관련 기사를 세팅해 놓고 아침에 일어나면 관련된 구글뉴스 외신이 쫙 한국말로 번역돼 나타난다. 그것도 거의 완벽하게 말이다.
외신뉴스 본문이 자동번역되는 게 있고, 안 되는 게 있는데, 그것은 언론사 정책에 따라서 구글번역을 막기 때문이다. 그럴 경우도 방법은 다 있다. 새벽마다 한시간씩 이 짓을 해서 일만천 쪽을 정리해서 처음부터 코로나 관련 우리 정부 대책이 얼마나 잘못됐는지를 그렇게 외쳤다.<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