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전도사 강민구④] ‘디지털 상록수’를 심는 마음

강민구 판사는 “윤석열 정부가 6개월 안에 대한민국의 할아버지 할머니들 까막눈 디지털을 다 깨부수는 정책을 편다면 돈 몇푼 안 들이고 할 수 있다”며 “대학생들 아르바이트로 10시간씩만 하면 된다”고 말한다. 

서울고등법원 강민구 부장판사의 꿈이 몇개 있다. 대한민국 사람 누구나 디지털 문맹에서 벗어나 스마트폰과 함께 노후를 자신감 넘치게 보내는 것, 그리고 정부, 국회, 언론 등 여론주도층 인사들이 제발 자신의 목소리에 적극 귀를 기울이는 것이다. 그는 1985년 스스로 육사교수 시절부터 코딩 언어를 학습해, 훗날 1998년 대법원 종합법률정보 시스템 구축에 크게 기여했다. 2000년 미국 연수시절, 당시로서는 세계 첨단이던 미국의 21세기 전자법정 사법시스템을 체험·학습한 후 낸 <함께하는 법정>(박영사, 750쪽)은 한국 전자법정과 전자소송의 주춧돌이 됐다.

2016년 부산법원장 시절 서울을 오가면서, 대법원 사법정보화 발전위원회, 2017년 사법정보화 전략위원회 각 위원장으로 차세대 사법정보시스템의 핵심 얼개 구축활동도 했다. 최근엔 블로그와 유튜브 채널을 통해 첨단기술의 효용과 디지털 혁신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한편, 전경련 등 공공기관에서 관련 특강에 나서고 있다. 그는 ‘QR 코드 활용비법’, ‘구글 어시스턴트 활용법’, ‘구글 알리미 활용법’, ‘에버노트 왕초보 탈출법’, ‘구글렌즈 활용법’, ‘클로바노트 활용법’ 등을 최신 스마트폰 사용법을 전파하는 디지털 전도사로 활동 중이다.

디지털 음영지대를 시급하게 해소하자는 내용의 ‘혁신의 길목에 선 우리의 자세’란 강연 콘텐트는 유튜브에서 135만 조회를 기록했다. 관련 짧은 영상들을 포함하면 210만 조회를 넘고 있다. <매거진N>은 강민구 판사를 5월 4일 오후 2시반 서초동 그의 사무실에서 만났다. 애초 인터뷰를 의도하지 않았지만, 얘기를 나누면서 ‘이 분의 생각과 실행을 독자들께 전하지 않는다면 직무유기’란 생각이 머리를 스쳤다. 기자가 인터뷰로 정리하겠다며 승낙을 구하고 스마트폰으로 녹음을 시도하자, 그는 “이 방 나가기전 텍스트로 받을 수 있겠다”며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녹음을 시작했다. 2시간 가까이 이어진 대화는 그의 방을 나올 때 텍스트 형태로 기자 핸드폰에 옮겨 있었다. 분량은 200자 원고지로 180장이 넘었다. 강 판사 얘기를 아이템별로 정리했다. 그동안 세차례 보도에 이어 4회차에선 5월 4일 대면 및 이후 온라인 인터뷰 등을 바탕으로 강민구 판사의 삶과 철학 그리고 꿈을 <아시아엔> 독자들에게 전한다.  <편집자>

“대통령실·행정부·공기업·기자협회 등 공적기관 IT특강 달려갈 것”

여의도 국회의원들과 보좌관들이 모두 모여 2시간만 내 강의를 들으면 좋겠고, 청와대 비서진, 행정각부 장차관, 공기업·공사 사장·임원들이 90분짜리 내 강연을 들으면 세상이 바뀔 것이라고 확신한다. 기자들도 사기업 말고 기자협회, 편집인협회 같은 데서 부르면 언제든 달려갈 거다. 지금 언론 전담부 재판장이라서 조심스럽지만, 내가 할 강의는 재판 이야기를 하는 게 아니고 IT 이야기니 괜찮다.

(한편 그는 5월 16일 부산 동명대, 5월 25일 전경련 조찬모임에 이어 6월 15일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그리고 6월.27일엔 사법연수원 동기생을 대상으로 강연했다. 그는매월 1~2회 공적 기관 및 단체의 요청을 받으면 특강을 하고 있다. 강 판사는 6월 10일에는. 서울법대총동창회로부터 ‘창의적인 서울법대인상’을 수상했다.)

강민구 서울고법 부장판사(맨 왼쪽)가 6월 10일 제2회 ‘창의적인 서울법대인상’을 이영덕 (주) 한솥 대표와 공동 수상했다. 이날 제30회 ‘자랑스러운 서울법대인상’을 받은 김두환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명예회장, 최병조 서울대 로스쿨 명예교수 김용직 한국자폐인 사랑협회 회장 등과 기념촬영을 했다. <출처 리걸타임즈>

2~3년 전에 내곡동 국정원에서 불렀는데, 고위 법관이 국정원에 ‘아부한다’ 소리 듣기 싫어서 거절했다고 한다. 이제는 불러주면 할 생각이다. 2017년 1월 부산지방법원 고별 강연한 게 135만명이 봤는데, 현대 정의선 회장도 봤다고 한다. 법원에서 4차 산업혁명 심포지엄 할 때 정 회장을 만나 20분간 대화했는데, 양재동 현대차에 와서 강의 좀 해줄 수 없느냐 하더라. 법관윤리규범 때문에 사기업은 안 된다 하고 거절했는데, 다음날 새벽 6시 남양기술연구소 기술 상무가 메일을 보냈다. ‘부장판사님을 부르고 싶은데 법 때문에 안 된다고 그러니 곰곰히 생각해봤는데, 화성시청에서 판사님을 초빙하고, 현대차 임직원이 게스트로 뒤에 앉아 있으면 안 되겠냐’고 말이다. 나도 그 생각을 못 했는데 화성 시장이 불러서 현대차에서 버스 열 몇대 동원해서 양재동 하고 화성연구소에서 다 와서 그날 난리가 났다. 정의선 부회장이 특별히 부탁해서 화성시청에 가서 특강을 한 거였다. 그처럼 가치를 아는 사람은 알아본다.

미래의 꿈: 디지털 상록수 교실

나는 2024년 1월말 정년 퇴직하면 쉼터 같은 사무실을 열어 국민의 디지털 디바이드 그걸 깨부수는 ‘디지털 상록수 교실 사단법인’을 만들 생각이다. 나이 든 것도 억울한데 나이 든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KTX도 자기 폰으로 예매하고 은행지점에 가지 말고 앱으로 거래하고, 유튜브도 좀 더 잘 취사 선택하는 노하우도 배우고 하는 걸 도우려 한다. 나이 들수록 이 스마트폰을 잘 가지고 놀아야 되는데 전화 걸기나, 카톡, 사진 찍는 기계 정도로만 가지고 노니 안됐다. 손자가 안부를 물으면 입력속도가 늦어서 한참 뒤에 대답하고, 말로 하면 카톡 문자가 다 되는데 그걸 아는 사람이 거의 없다. 아무도 안 가르쳐주기 때문이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노년층을 없는 사람, 투명인간 취급하고 있다. 산업화시절 목숨을 바쳐서 대한민국의 부를 일군 오늘의 노년층들인데 말이다.

 IT 능숙 대학생 경로당 보내 ‘디지털 까막눈’ 노인 계몽을  

내가 대통령이라면 당장에 65세 이상 전체 노령인구에 대해 IT 잘 하는 대학생들을 장학금 주고 전국 경로당 등에 파견해 할아버지 할머니들 디지털 문맹을 6개월 안에 내가 다 깨부순다는 그런 정책을 바로 펼 거다. 윤석열 정부가 6개월 안에 대한민국의 할아버지 할머니들 까막눈 디지털을 다 깨부수는 정책을 편다면 돈 몇푼 안 들이고 할 수 있다. 대학생들 아르바이트로 10시간씩만 하면 된다. 내가 10년째 외치고 있다. 노인들의 디지털 디바이드 깨야 된다고 한국이 발전할 수 있다고 말이다. 그래야 노인들이 가짜 유튜브에 안 속고, 이상한 음모론에 안 빠진다.<계속>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