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전도사 강민구③] “디지털 4통8달 시대, 정부가 공조직 혁신에 앞장서야!”

강민구 판사와 그의 역작 <함께 하는 법정>.

서울고등법원 강민구 부장판사의 꿈이 몇개 있다. 대한민국 사람 누구나 디지털 문맹에서 벗어나 스마트폰과 함께 노후를 자신감 넘치게 보내는 것, 그리고 정부, 국회, 언론 등 여론주도층 인사들이 제발 자신의 목소리에 적극 귀를 기울이는 것이다. 그는 1985년 스스로 육사교수 시절부터 코딩 언어를 학습해, 훗날 1998년 대법원 종합법률정보 시스템 구축에 크게 기여했다. 2000년 미국 연수시절, 당시로서는 세계 첨단이던 미국의 21세기 전자법정 사법시스템을 체험·학습한 후 낸 <함께하는 법정>(박영사, 750쪽)은 한국 전자법정과 전자소송의 주춧돌이 됐다.

2016년 부산법원장 시절 서울을 오가면서, 대법원 사법정보화 발전위원회, 2017년 사법정보화 전략위원회 각 위원장으로 차세대 사법정보시스템의 핵심 얼개 구축활동도 했다. 최근엔 블로그와 유튜브 채널을 통해 첨단기술의 효용과 디지털 혁신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한편, 전경련 등 공공기관에서 관련 특강에 나서고 있다. 그는 ‘QR 코드 활용비법’, ‘구글 어시스턴트 활용법’, ‘구글 알리미 활용법’, ‘에버노트 왕초보 탈출법’, ‘구글렌즈 활용법’, ‘클로바노트 활용법’ 등을 최신 스마트폰 사용법을 전파하는 디지털 전도사로 활동 중이다.

디지털 음영지대를 시급하게 해소하자는 내용의 ‘혁신의 길목에 선 우리의 자세’란 강연 콘텐트는 유튜브에서 135만 조회를 기록했다. 관련 짧은 영상들을 포함하면 210만 조회를 넘고 있다. <매거진N>은 강민구 판사를 5월 4일 오후 2시반 서초동 그의 사무실에서 만났다. 애초 인터뷰를 의도하지 않았지만, 얘기를 나누면서 ‘이 분의 생각과 실행을 독자들께 전하지 않는다면 직무유기’란 생각이 머리를 스쳤다. 기자가 인터뷰로 정리하겠다며 승낙을 구하고 스마트폰으로 녹음을 시도하자, 그는 “이 방 나가기전 텍스트로 받을 수 있겠다”며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녹음을 시작했다. 2시간 가까이 이어진 대화는 그의 방을 나올 때 텍스트 형태로 기자 핸드폰에 옮겨 있었다. 분량은 200자 원고지로 180장이 넘었다. 강 판사의 얘기를 아이템별로 정리했다. 그와의 인터뷰를 몇차례로 나눠 보도한다. <편집자>

강민구 판사는 자신의 IT 역량 관련 지식과 지혜를 공유하려는 곳에는 먼길 마다지 않고 달려간다. 자신의 좌우명 ”적선지가 필유여경’처럼. 


코로나 용어부터 제대로 쓰자

코로나 정책에 대해 더 보면 확진자로 표현한 것부터 잘못이다. 영어 ‘컨펌드 포지티브’를 확진자라고 번역했는데, 유럽이나 미국에선 포지티브라고 그런다. 일본은 감염자라고 한다. 대만은 양성자. 세계 어느 나라도 확진자라고 그렇게 번역해서 쓰는 나라는 한국 말고 없다. 정책당국이나 의사들이 컨펌드 포지티브에서 앞의 형용사에 필이 꽂혀갖고 오역을 한 거다. 확진자라고 그러면 엄청나게 중환자라는 느낌이 들지 않나. 무증상인 경우도 많았는데 확진자가 무슨 의미가 있나 말이다. 그리고 2020년 7월, 8월경 트럼프가 백신 갖고 난리를 쳤다. 부작용이 나도 연방 대통령의 권한으로 민·형사 모든 것을 면책한다고 말이다. 그 대신에 재선을 위해 11월까지 만들어 달라고 했다.

실제 재선 직전에 성공했으면 트럼프가 됐을지도 모른다. 한국도 특정 제약회사 회장이 K백신·K치료제로 장난친 사람 있었다. 코로나 자가 검진 키트도 우리는 2020년 코로나 첫해부터 세계시장의 90%를 갖고 있었는데, 수출만 하고 내수용을 뒤늦게 풀다가 정작 국민들은 피해를 본 거다. 나는 외신을 계속 봤는데, 메이드 인 코리아 키트가 얼마나 좋은데, 국민들이 사용 제대로 못하고 그 일을 겪었으니 얼마나 피눈물 나는지 모른다.

여기 ‘코로나 자료’라는 폴더에 보면 27권까지 목차가 완벽하게 정리해 놨다. 링크를 누르면 원문이 다 나온다. 이거 목차만 봐도 질병관리청에서 어떻게 해야 되는지를 다 알 수 있게 했다.

2020년 3월 코로나 확산 초기 이탈리아에서 난리 날 때부터 정리했는데, 이게 코로나 타임라인이고 1만1천쪽짜리 코로나 역사다. 목차만 봐도 코로나가 어떻게 움직였고, 각국 정책은 어떤지 다 나온다. 저걸 내가 의사협회와 SNS에도 주고 게시도 했었는데, 단 한곳에서도 반응이 없었다.

단지 SNS 친구들만 읽고 답글을 주곤 했다. 판사인 내가 너무나 애통해서 국민을 위해서 1만1천쪽을 정리해서 대한민국에 헌납했다. 어떤 의사도 저 작업을 한 사람이 우리나라 5천만명 중에 아무도 없었다. 돈이 생기나, 떡이 생기나, 술이 생기나. 매일 아침 1시간 이상 새벽에 일어나서 한 작업이다. 저런 자료를 전해주면 정은경 본부장이 봐야 될 거 아닌가? 한의사 치과의사 의사하는 친구 한 100명 정도 되는데, 자기들이 판사 강민구한테 부끄럽다고 하더라.

디지로그의 힘

구글 렌즈라는 앱을 내가 많이 쓰고 있다. 책 한 페이지를 찍으면 OCR로 바로 워딩이 되는데 거기서 끝나는 게 아니라 거기서 번역도, 검색도, 쇼핑도 된다. 폰 안에서 복사한 게 카톡이나 메일 등 어떤 것도 거치지 않고 클라우드로 이 폰하고 노트북이 동일한 와이파이 망에 있고, 크롬 웹 브라우저를 실행해 놓은 상태 같으면 구글 렌즈로 한 게 저기에 바로 들어간다. 모든 걸 생략하고 말이다. 디지로그 창안자인 이어령 박사가 생전에 1만5천 꼭지를 갖고 계셨다는데, 나는 에버노트에 1만7743 꼭지가 있다. 하루 10꼭지 이상씩 업데이트가 된다. 책을 읽을 때 독서카드 같은 걸 초음속으로 만드는 거다. 그걸 어디서라도 부르면 0.01초 만에 나타난다. 내 블로그나 페이스북에 다 공개되어 있다.

언론 관련 친구들이 날더러 ‘코로나 전쟁 전선 종군기자를 했다’고 한다. 2020년 7월경 코로나 요약본 75쪽짜리 논문도 하나 발표했다. 전체를 통괄하는 실무 노트다. 그것만 읽어봤어도 정부가 이렇게 망치지는 않았을 거다. 코로나 외신 정리를 실시간으로 한 1년 정도 하여 SNS에 올리면 그 다음 날 도하 신문에 나오곤 했다. 정책을 하든, 뭘 하든 글로벌 규모에서 봐야 되는데, 글로벌을 중시하지 않아서 생긴 일이다. 지금은 디지털 발달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로 모든 게 4통8발로 할 수 있는 그런 세상이 됐는데, 정부만 모르는 거 같다.<계속>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