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셋에 날 낳고 열달만에 부인 잃은 아버지의 40년전 편지
[아시아엔=이동순 시인, 영남대 명예교수] 아버님이 살아계셨다면 올해로 113세가 되신다. 1908년 출생이니 윤봉길 의사, 나비연구가 석주명 등과 같은 해 출생이다. 소설가 김유정, 시인 유치환과 동갑이다.
일제의 수탈기관 동양척식회사가 만들어져서 본격적으로 가동한 해이다. 그러니까 아버지의 반생은 일제 식민지 통치하에서 살으셨다. 왜정 말기엔 일본 고쿠라로 가서 발전소 건설현장의 잡역부로 일하셨다.
독립운동가의 일곱 째 아들로 태어나 서양식 학교교육을 전혀 못 받았고 마을 서당에서 한글과 한자를 공부하셨는데 어느 정도의 학식을 갖추셨다.
성격이 단호하고 불칼 같았으며 불의를 보고 그냥 지나치지 않으셨다. 이런 모습은 조부님 성격을 빼어 닮으셨다. 그 때문에 법정 송사에도 시달렸고 남의 모함이나 계략에 걸려 고통도 겪으셨다.
나이 마흔 셋에 나를 낳으셨고 불과 열달만에 아내를 멀리 떠나보내셨다. 배고파 우는 어린 핏덩이를 안고 동네방네 아기 낳은 산모를 찾아다니며 심 봉사처럼 젖을 얻어 먹이셨다. 말린 홍합을 갈아서 쌀가루와 같이 섞어 부드러운 암죽을 끓여 아기에게 떠 먹이셨다.
그때 심정이 어떠하셨을까?
아기는 자라서 소년이 되었고 아버지 품에 안겨 아버지 목 울대의 톡 뛰어나온 부분을 쓰다듬으며 스르르 잠이 들었다고 한다. 그걸 어머니 젖꼭지로 여긴 것이다.
아버지는 옛 시조 족자를 벽에 걸어놓고 잠들기 전에 한 줄씩 낭송하시며 아들이 따라 외우도록 읽어주셨다. 그리 자란 아들이 이 나라의 시인이 되었다.
아버지는 나이 여든 아홉에 중풍으로 쓰러져 병원에 입원하셨는데 그렇게 혼수상태로 한 주일 만에 떠나가셨다.
병상에 누워계실 때 야윈 손도 잡아보고 움푹 들어간 볼도 쓰다듬어 봤다. 어릴 때 만지작거리던 목 울대도 손바닥으로 쓰다듬어 보았다. 이른 새벽, 병실에서 눈물이 왈칵 났다.
편지 스크랩을 뒤적거리다 보니 아버지의 편지가 한 통 눈에 들어온다. 1981년 1월에 쓰신 편지다. 오랜 만에 대하는 낯익은 필적이다. 무엇을 내가 보냈는지 모르지만 등기우편을 받고 잘 도착했다는 확인 편지다.
그리곤 아들, 손자, 며느리에 대한 건강을 일일이 묻고 확인하신다. 설날에 어서 만나게 되기를 기다리는 어버이의 심정도 포착된다.
아버지의 육신은 진토가 되셨을 터이나 그 사랑, 그 정성은 여전히 내 가슴 속에 불씨처럼 살아있음을 느낀다. 편지에서 말씀하시는 충북 사건은 충북대 교수 공채 결과에 대한 궁금증이다.
東洵 개람(開覽)
너가 붙인 등기우편은 작(昨) 십일(十日)에 수령하였다. 연(然)이나 내용을 살펴보니 세 식구가 모도(모두) 감기로 병원에 단긴다(다닌다) 하니 앉아 듣기에 대단 걱정이로구나. 모쪼록 속히 치료하여 너희 내외와 응(鷹)이 놈과 세 식구가 건강이 회복되기를 기원하고 있다. 그간 응이 놈은 좀 컷는가 보고싶다. 빨리 회복되어 구정(舊正) 하에 건강한 모습으로 귀가 대면(對面)하도록 하여라. 이곳 부모는 그간 별고 없이 여전하고 감기도 다 떨어지고 건강이 회복되었으니 안심하여라. 연(然)이나 여언(餘言)은 너희 내외가 어린 놈 데리고 무사 건강하기를 기원한다. 할 말 수다(數多)하나 이만 붓을 놓는다.
충북 사건은 어찌 되었는지 통지가 있었는가 없었는가 궁금타.
1981년 1월12일
父 平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