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성건동 고려인마을②] 경주시, 보다 섬세한 정책으로 ‘고려인정착’ 보듬길

경주 성건동 고려인마을 구글문화지도. 번호 매겨진 위치는 구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시아엔=임영상 한국외대 명예교수, 아시아발전재단 자문위원] 신라 천년의 고도(古都) 경주는 과거에도 유라시아를 하나로 연결한 실크로드의 출발지였다. 경주는 지금도 유라시아를 품고 있다. 바로 성건동이다. 육상 실크로드 중국, 중앙아시아, 그리고 해양 실크로드 베트남에서 온 사람들이 어우러져 살고 있다.

따라서 경상북도와 경주시는 경주엑스포대공원뿐만 아니라 ‘유라시아를 품은 성건동 고려인마을’을 널리 알릴 필요가 있다. 성건동에 가면, “유라시아의 거리 모습을 보고! 유라시아 음식을 먹고! 유라시아와 한국에서의 삶을 듣고!” 한마디로 유라시아의 스토리가 넘치는 곳임을 알려야 한다는 뜻이다.

1990년 한국과 소련(러시아) 수교 이후 적지 않은 고려인동포가 한국에 왔다. 특히 2007년 방문취업(H2) 비자제도의 시행 이후 입국자가 많아졌으며, 2015년을 전후로 가족을 동반한 ‘귀환’ 동포가 많아졌다. 고려인동포의 귀환을 맞아 광주광역시(2013)를 시작으로 경기도(2016), 인천광역시(2018)에 이어 경상북도도 2019년에 ‘고려인 주민 지원 조례’를 제정했다.

성건동 고려인마을 상점들. 간판엔 러시아와 영어 한글이 뒤섞여 있다.

2013년 조례를 제정한 광주광역시는 2015년 월곡동 고려인마을에 민관 합작으로 고려인종합지원센터를 세우고 ‘고려인 특화 마을’을 조성해 국내외 방문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2016년 조례를 제정한 경기도는 2020년부터 고려인 지원단체를 대상으로 ‘고려인동포 정착지원 사업’을 공모사업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제 경상북도도 민간이 세운 경상북도 고려인통합지원센터 현황을 파악하고 고려인동포 정착지원 사업을 적극 시작해야 할 때다. 지금까지 성건동 고려인마을은 외국인도움센터(2015)로 만들어 경주시 체류 외국인을 돕다가 경주 고려인마을 센터(2018), 경상북도 고려인통합지원센터(2020)를 운영해온 장성우 센터장 등 민간의 노력으로 발전해왔다. 최근에는 사회적 협동조합을 만들고 고려인 카페 ‘고려인이랑’도 시작했다.

우즈벡 탄드르(화덕)

경북대 사회과학연구원(원장 이채문 교수)이 시행한 ‘경주시 고려인 주민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2021.5)에 따르면, 경주의 고려인은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나이가 젊고, 전문대 졸업 이상이 43.9%에 이른다. 또 경주 고려인사회도 자녀를 위한 지원프로그램 조사에서 한국어 교육과 학교진학을 위한 예비학교 운영을 적극적으로 요구했다.

고려인 학생이 30%가 넘은 선건동 흥무초등학교는 이미 학교 수업에 러시아어 이중언어 교사가 절대적으로 필요해졌다. 그래서 경상북도 교육당국이 흥무초등학교 안에 경주한국어교육센터를 세울 계획을 변경해 내남면의 폐교된 노월초등학교에 세우기로 한 것은 아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2015년 7월 경기 안산시 선부동 땟골 고려인마을 입구에 (사)너머와 고려인 주민들이 지역주민과 소통하면서 카페 우갈록을 만들었다. ‘우갈록’은 ‘모퉁이’를 뜻하는 러시아어로, 편안하게 만날 수 있는 장소다. 전국의 여러 고려인마을에 ‘우갈록’ 카페(식당)가 생기고 있다. 성건동의 ‘우갈록’(‘우골록’으로 한글 표기) 주인이 어떤 의도에서 ‘우갈록’ 간판을 달았을까.

성건동 고려인마을의 상점 간판에서 우스페흐(성공) 글자를 보았다. 2019년 보지 못했던 탄드르(우즈벡 화덕)와 도너(케밥) 가게도 생겼는데, 성건동의 도너 가게의 간판도 ‘우스페흐 도너’다. 코리안 드림을 염원하는 성건동 고려인마을 주민의 염원이 간판 이름으로 표출되지 않았을까 싶다.

2019년 11월 1일 기준 한국 거주 외국인주민 수는 222만 명으로, 총인구 대비 4.3%다. 경북은 4.7%인데, 경주시의 외국인 주민은 19,958명으로 경주시 인구의 7.6%이다. 경북에서 가장 높은 수치다.

경주시 외국인도움센터를 찾은 ‘한아찾_시니어 탐방단’. 왼쪽부터 윤애숙 윤랩 소장, 정호완 교수, 필자

이미 경주의 고려인 주민은 경주시의 주요 구성원이 되었다. 따라서 경주시는 고려인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경주시 도시재생지원센터가 이미 ‘성건동 특화거리 조성’을 위해 글로벌 플리마켓(벼룩시장) 행사를 시작했다. 좋은 시도다. 여기서 더 나아가 성건동 고려인마을이 유라시아 사람의 스토리가 넘쳐나는 거리를 만들고 지속해서 홍보해야 한다. 경주문화엑스포에서도 성건동 고려인마을을 소개할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한다.

우선, 고려인 카페 ‘고려인이랑’에 고려인 역사문화를 알릴 수 있는 실내 디자인이 필요하다. 아울러 카페 앞 금성로 거리에-안산시 선부동 고려인마을처럼-성건동 고려인마을이 유라시아를 담고 있다는 스토리보드도 제작했으면 좋겠다.

경기 안산시 선부동 땟골마을 안내판. 이곳 고려인마을을 상세히 소개하고 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