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바로 알기] 중국 국민가수 한홍 프로필 검색하면

중국 국민가수 한홍

[아시아엔=심형철 <아시아엔> 칼럼니스트 외] 중국의 대표적인 국민가수 한홍의 프로필을 검색하면 특이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그것은 우리나라와는 달리 연예인 약력에 민족을 소개하는 부분이 있다는 것이다.

이 여가수는 티베트자치구에 많이 살고 있는 티베트족(중국에서는 藏族, Zangzu)이다. 중국은 인구가 약 14억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살고 있는 나라이다. 게다가 중국은 다민족 국가이기도 하다.

총 56개 민족 가운데 다수민족인 한족을 제외한 나머지 55개 민족을 ‘소수민족’이라고 한다. 한족이 91.5%를 차지하고, 나머지 소수민족이 8.5%를 차지한다. 중국은 1949년 이후 ‘민족 식별 작업’을 꾸준히 해왔다. 1965~1982년 사이에 뤄바족(珞巴族, Luobazu)과 지눠족(基诺族, Jīnuozu)을 추가하여 모두 55개의 소수민족을 결정하였다.

하나의 민족을 형성하는 데에는 △공동의 언어 △공동의 주거 지역 △공동의 경제생활 △공동의 문화를 가져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한 조건은 바로 ‘언어’다.

그렇다면 소수민족은 정말 소수일까? 가장 최근인 지난 2010년 실시한 중국의 인구 총조사에 따르면 소수민족은 1억명이 넘는다. 참고로 중국은 10년마다 한번씩 인구조사를 한다. 소수민족의 인구증가 속도는 한족보다 빠르다.

가장 많은 소수민족은 좡족(壮族, Zhuangzu)으로 약 1700만명, 가장 적은 소수민족은 뤄바족으로 3700명 정도다. 그렇다면 한족과 조선족이 결혼하여 태어난 아이는 무슨 민족일까? 중국에서는 부모의 뜻에 따라 한족 혹은 조선족으로 결정하여 등록할 수 있다. 중국에서는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입시 선발기준이 지역별, 민족별로 다르다. 소수민족에게 점수 혜택을 주기 때문에 입시를 앞두고 민족을 바꾸는 경우도 적지 않다.

한족의 경우에는 1970년대 후반부터 시행했던 1가구 1자녀 정책으로 인구증가 속도가 느렸지만, 인구 1천만 이상인 좡족 이외의 소수민족은 1가구 1자녀 정책에서 제외되었기 때문에 한족에 비해 인구증가율이 높았다.

하지만 2016년 1월 1일부터는 한족 부부도 둘째 아이를 가질 수 있도록 법이 개정되었다. 중국정부에서는 소수민족의 고유 풍습을 존중하며 자신들의 언어와 문자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즉 소수민족 언어 보호정책을 쓰고 있다. 그러나 민족어보다는 중국의 표준어인 푸통화가 훨씬 사회생활에 유리하기 때문에 소수민족의 언어는 사용자가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특히 대학입시나 취업에서 표준어 사용이 중요해 소수민족도 우리가 일반적으로 배우는 중국어를 배우고 있다. 소수민족 중에는 민족어만 알고 표준어는 구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중국여행을 하다보면 같은 중국 사람인데도 의사소통이 되지 않아 통역을 하는 경우를 종종 발견할 수 있다.

소수민족은 중국 전체인구의 10%도 안 되지만 그들이 거주하는 지역은 전 국토의 62%나 된다. 소수민족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 지역은 윈난(云南, Yunnan) 성으로 약 35개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중국에는 5개의 소수민족자치구가 있다.

하지만 소수민족자치구라고 해서 소수민족이 한족의 숫자보다 많지는 않다. 상대적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소수민족이 많을 뿐이다. 대부분의 소수민족자치구는 변방에 위치해 경제발전 혜택에서 소외되어 있다. 최근에는 소수민족자치구에도 경제개발 바람이 불어 한족의 유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중국 소수민족 정책의 핵심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漢族不離少數民族, 少數民族不離漢族’. 한 마디로 “한족과 소수민족은 서로 분리되어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이 말의 속뜻을 짚어 보면, 서로 공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독립은 절대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현재 티베트족과 위구르족이 중국정부와 갈등을 겪고 있다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독립·자치 등을 이유로 소수민족 사회애서 시위를 벌일 때마다 중국정부는 강경진압으로 맞서고 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