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직교회 조정민 목사는 이렇게 말했다
[아시아엔=편집국] 서울 강남구 논현동 건물 지하에서 예배를 드리는 베이직교회 조정민 목사가 최근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했다. “목사 아니어도 예배 인도와 설교 할 수 있다”는 제목으로 실린 27일자 인터뷰 기사에서 조정민 목사는 이렇게 말했다.
“저희 교회는 헌금이나 돈 이야기를 절대 하지 않는다. 헌금은 다른 교회에 가서 해도 되고, 다른 단체에 가서 해도 된다고 말한다. 도움이 절실한 이웃이 있으면 그곳에 해도 된다고 말한다. 교회에 헌금한다고 이웃에 인색한 크리스천을 본 적이 있다. 그건 본말이 전도된 것 아닌가.”
베이직교회는 지난 4월부터 주일예배를 한달에 한번만 논현동 예배당에서 드린다. 나머지 주일엔 각자 형편에 따라 흩어져서 예배를 드리도록 했다. 이름하여 ‘뭇별예배’다.
다음은 백성호 종교전문기자의 인터뷰 일부 대목이다. 전문은 아래 링크 참조.
A 현실 종교의 핵심적 문제점이 뭔가.
Q “‘마일리지 시스템’이다. 내가 자꾸 포인트를 쌓아야 한다. 선행을 쌓고, 규칙을 지키며 뭔가를 계속 모아야 한다. 그 포인트에 따라 내가 보상을 받을 거라고 믿는 시스템이다.”
A 그게 왜 문제인가.
Q “‘마일리지 시스템’은 결국 종교성을 강화한다. 종교성이 뭔가. 종교에 대한 일종의 신념체계다. 그건 이데올로기에 더 가깝다. 그런 신념이 어디에서 나오겠나. 인간의 생각에서 비롯된다. 다시 말해 에고의 연장선, 에고의 확장선 상에 있는 게 종교성이다. 거기에는 ‘영성’이 없다.”
조정민 목사는 ‘크리스천’은 ‘작은 그리스도’란 뜻이라고 했다. “비올라보다 작은 악기를 바이올린이라 부른다. ‘크리스천’이란 말은 기독교인이 스스로 붙인 이름이 아니다. 안디옥 사람들이 안디옥 교회 신자들의 삶을 보고 ‘저들은 크리스천이다’‘그리스도를 닮은 사람, 곧 작은 그리스도’라고 부르면서 생겨난 말이다. 진정한 크리스천이라면 자신의 삶을 통해 ‘내 안의 그리스도’가 드러나야 하지 않겠나. 목회자라고 하더라도 남을 가르치려고 들어선 곤란하다.”
베이직 교회에는 ‘담임 목사’ ‘부목사’란 호칭이 없다. 조 목사를 비롯한 동역 목회자들도 그냥 ‘목사’라고만 부른다. 교회 안에서 교인들의 직분도 없다. 평신도, 집사, 권사, 장로로 이어지는 층계가 없다. 대신 서로가 서로를 ‘형제’와 ‘자매’로만 부를 뿐이다. ‘베이직(BASIC)’교회의 명칭도 ‘본질을 지향한다’는 의미도 있지만 ‘Brothers And Sisters In Christ’(그리스도 안에서 형제와 자매)의 첫글자에서 따왔다.
Q 왜 ‘담임목사’란 호칭을 쓰지 않나.
A “상징적 시도다. 교회 안에서 교역자들이 서로 형제ㆍ자매가 돼야 진정한 공동체가 탄생하지 않을까 싶다. ‘집사ㆍ권사ㆍ장로’ 등을 없앤 것도 교회의 직분이 신앙의 목표가 돼선 안 된다는 자극적이고 강도 높은 조치다. 그게 정답이라기보다 지금은 충격이 필요한 시기라고 본다. 베이직 교회를 2013년에 시작했다. 저희 교회는 헌금이나 돈 이야기를 절대 하지 않는다. 헌금은 다른 교회에 가서 해도 되고, 다른 단체에 가서 해도 된다고 말한다. 도움이 절실한 이웃이 있으면 그곳에 해도 된다고 말한다. 교회에 헌금한다고 이웃에 인색한 크리스천을 본 적이 있다. 그건 본말이 전도된 것 아닌가.”
마지막으로 조 목사는 고(故) 김수환 추기경 일화를 꺼냈다. “김 추기경님이 남미에 가셨을 때다. 식사 기도를 안 하고 밥을 드셨다. 그 자리에 있던 누군가가 물었다. ‘추기경님, 왜 기도를 안 하고 밥을 드십니까?’ 그러자 김 추기경님은 이렇게 답했다. ‘밥 먹고 나서 기도하면 왜 안 됩니까?’ 우리 안에 ‘하나님의 생명’이 있으면 바깥의 형식이나 격식이 두렵지 않다. ‘하나님의 생명’이 없을 때 격식에서 벗어나는 걸 두려워한다. 그거라도 붙잡아야 하니까. 그게 강화되면 율법주의가 된다.”
인터뷰를 마치자 점심시간이 됐다. 동료 교역자가 떡볶이와 만두, 김밥을 사왔다. 사무실 책상에 펴놓고 모두 함께 먹었다. 젊은 목사에게 물었다. “기성교단의 큰 교회에 가면 승진과 앞날이 보일 텐데, 베이직 교회에서 새로운 시도를 하는 게 불안하지 않나?” 이런 답이 돌아왔다. “불안한 점도 있다. 그렇지만 신학교 다닐 때 고민하던 교계의 문제점이 있다. 그걸 현장에서 풀어가는 시도를 한다는 게 매우 뜻깊다.” 건물 밖으로 나오자 장맛비가 쏟아졌다. ‘후두둑, 후두둑’ 빗소리의 청량감이 더 크게 느껴졌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538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