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구팔팔’ 장수만세②] ‘백년을 살아보니’ 김형석 연세대 교수
[아시아엔=박명윤 <아시아엔> ‘보건영양’ 논설위원] 명저 <백년을 살아보니>의 저자 김형석 교수는 “100세까지 후회 없이 건강하게 잘 살고 싶다면 인생의 황금기인 60-75세를 잘 보내야 한다”고 말한다. 60세 이전에는 인생이 뭐냐고 물어보면 자신이 없고, 진정한 행복이 무엇인지도 체험하지 못한다. 인생이 뭔지 알고 행복이 뭔지 알면서 발전하는 시기가 60-75세다.
은퇴 후 60세부터 75세까지는 인간적으로, 정신적으로 또 한번 성장하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무조건 부지런하고 배워야 건강할 수 있다. 나이 80세가 되면 존경스런 인생을 살았다고 주변 사람들이 말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스스로 쓸모없는 인생을 살았다고 부끄러움을 느끼는 사람도 있다. 따라서 노년기가 시작될 때부터 선택을 잘 해야 한다.
사람은 △젊었을 때는 용기가 있어야 하고 △장년기에는 신념이 있어야 하며 △늙어서는 지혜가 필요하다. 인간은 늙어가는 것이 아니고 성숙(成熟)되어 가는 과정이다. 노년기에 필요한 지혜는 책을 읽거나 공부를 해서 지식을 넓혀가는 일이다. 이에 70대에 갖고 있던 지식을 접거나 축소하지 말고 필요한 지식을 유지하거나 넓혀 가는 일이 중요하다.
김형석 교수는 일하는 것이 건강이라고 생각한다. 연세대학을 65세에 은퇴하고 15년 정도 사회교육 활동을 했다. 그리고 80세가 됐을 때 이제는 쉬어 볼까하고 외국으로 여행도 다녔다. 그러나 돌아다녀 보니 일하는 편이 더 낫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그래서 다시 일을 시작했으며, 일에서 일로 옮겨 다니다 보니 정신적 에너지가 계속 충전되고 있다고 한다.
어렸을 적 약골(弱骨)이었던 김형석 교수가 현재 98세 장수 철학자가 될 수 있었던 비결은 평소 건강한 생활습관을 실천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50대 중반부터 수영을 시작해 요즘도 일주일에 2-3회 수영을 하며, 하루에 50분 정도 집 근처 야산을 산책하듯 걷는다. 생각할 것이 있을 때는 앉기보다는 서서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식사는 세끼를 규칙적으로 먹으며, 아침에 우유 한 잔, 계란과 사과와 함께 감자와 빵을 번갈아가며 먹으며, 점심과 저녁은 밥과 반찬을 먹는다. 소식(小食)일 수 있지만, 위의 90%가 찼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충분히 먹는다.
김 교수는 매일 일기를 쓰고 있다. 일기를 쓸 때 꼭 작년과 재작년의 오늘 날짜 일기를 읽어보고 나서 쓰는 이유는 본인의 생각이 후퇴하고 있지 않나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어렴풋이 생각했던 것도 글을 쓰면 또렷해지며, 매일 원고지 30-40매 정도를 집필하여 책을 발간하고 있다.
지난 1960-70년대 철학자들이 쓴 <인생 에세이>로 명성을 떨쳤던 김형석·안병욱·김태길 교수는 모두 1920년생으로 동갑이고 가까운 친구로 지냈다. 김태길 전 서울대 교수가 2009년 89세로 먼저 세상을 떠났으며, 2013년에 별세한 안병욱 전 숭실대 교수도 2009년부터 병석에 있었다. 사실상 89세에 활동을 중단한 셈이다. 이들 중 김형석 교수만 지금도 정정하게 활동하고 있다.
나이가 들면 누구나 고독을 느낀다. 함께 살던 가족이, 주위의 친구들이 세상을 떠나는 때가 찾아온다. 외로움을 얼마나 잘 극복하는가에 따라 남은 삶의 질이 결정된다. 김형석 교수는 일과 신앙(信仰)으로 고독을 이겨나가고 있다. 자신의 사명이 무엇인지를 고민하면서 사명감을 가지면 고독으로부터 벗어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김형석 교수는 “늙는다는 것은 삶을 완결한다는 의미이며, 삶을 완결할 시간이 길게 주어진 것이 장수의 참뜻”이라고 말한다. 아흔이 넘으면 신체적으로 힘이 많이 들지만 정신적으로 의지가 남아 있기에 소명(召命)을 다할 수 있다고 한다. 자신이 신체를 독려할 수 있는 한계점까지 삶을 잘 완결한다면, 그것이 장수이다.
일본의 한 여론 조사 결과 가장 불쌍한 사람은 노년의 시기를 아무 일도 없이 보낸 사람들이며, 새로운 행복을 찾아 누린 사람은 △공부를 시작한 사람 △취미활동을 계속한 사람 △봉사활동에 참여했던 사람들로 나타났다.
‘100세 시대’를 맞아 당신은 건강한 장수를 즐기기 위해 무술년 어떤 방법을 찾을 것인가? 지금 바로 그것을 찾아나서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