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라운드업 7/3] 고이케, 아베에 압승···도쿄도의회 선거 자민당 참패·아랍4국, 카타르 추가제재 초읽기
[아시아엔 편집국] 1. 中 구이저우서 천연가스관 폭발 43명 사상
– 2일 오전 10시 44분 구이저우성 첸시난부이족먀오족 자치주의 칭룽(晴隆)현에서 천연가스관이 폭발, 8명이 사망하고 35명이 다쳤다고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3일 보도. 통신은 최근 계속된 폭우로 지반이 함몰되면서 가스관이 부러지는 사고가 발생했고 여기에서 가스가 새 나와 폭발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밝힘.
– 통신은 천연가스관이 잇달아 폭발하면서 부근 가옥이 흔들리고 주민 수백명이 긴급 대피했다고 덧붙임.
– 사고현장지휘부에 따르면 부상자 35명 가운데 4명은 위중한 상태로 사망자가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음.
– 사고발생후 구이저우성 지도부는 공안, 에너지, 소방, 의료 등 지원인력을 급파해 화재진압과 함께 천연가스 누출을 차단하고 사고원인을 정밀히 조사하고 있음.
2. 중국 두얼굴…’기후변화 리더’ 자처하며 석탄발전소 수백개 수출
– 기후변화 문제에서 미국을 대신해 세계리더를 자처하고 있는 중국이 다른 나라에 탄소 배출의 주범인 석탄화력발전소를 짓는 양면적 모습을 보인다고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1일(현지시간) 보도. NYT는 환경단체 우르게발트의 집계를 인용해 중국 기업들이 국내외에 700개 이상의 석탄발전소를 건설하거나 건설할 계획이라고 보도. 이는 현재 전 세계에서 건설되고 있거나 예정된 석탄 발전소의 규모가 62개국 1천600개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 상당한 수치.
– 중국의 대표 전력기자재 업체인 상하이전기(上海電氣)그룹은 이집트, 파키스탄, 이란에 총 발전용량이 6천285㎿에 달하는 대형 화력발전소를 세울 계획으로, 이는 상하이전기가 중국에서 건설 예정인 석탄발전소 발전용량인 660㎿의 10배.
– 중국의 석탄발전소 해외 수출은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야심차게 주도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정책의 하나로 추진되고 있음. 일대일로 구상에 따라 중국은 고속도로, 항구, 발전소 등 해외 기간시설 투자에만 9천억 달러(약 1천30조5천억원)를 투입할 예정.
– 문제는 석탄발전소 설립이 기후변화 대응에 정면으로 역행한다는 사실. 세계 최대 탄소배출국인 중국은 지난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파리협정을 탈퇴하자 협정의 준수를 주장하며 미국의 공백을 메우겠다는 의사를 확실히 했으나, 석탄발전소 수출이 중국이 그동안 해온 주장에 모순된다는 비판이 제기.
3. 고이케, 아베에 압승···도쿄도의회 선거 자민당 참패
– 2일 실시된 일본 도쿄도(東京都)의회 선거에서 고이케 유리코(小池百合子) 도쿄 도지사가 이끄는 지역정당 ‘도민우선(퍼스트)회’를 비롯한 고이케 지사의 지지세력이 전체 의석(127석)의 절반을 훌쩍 넘어 압승. 앞서 NHK와 교도통신은 이날 저녁 출구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고이케 지사의 지지세력이 승리할 것으로 예측.
– NHK에 따르면 기존 의석 57석인 집권 자민당은 이번 선거에서 23석을 얻는 데 그침. 반면 도민우선회는 49석을 획득해 도쿄도의회에서 제1당을 차지. 이뿐 아니라 도민우선회와 선거 협력을 하기로 한 공명당은 23석, 도쿄생활자네트워크는 1석, 도민우선회가 추천한 무소속 후보자도 6석을 획득. 이를 모두 더하면 고이케 지사를 지지하는 세력은 총 79석을 얻어 과반 의석인 64석을 훌쩍 뛰어넘음.
– 이날 선거는 사학 스캔들을 비롯해 각종 비리와 불상사로 궁지에 몰린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기사회생할지 아니면 반(反)아베 기치를 들어 올린 고이케 도쿄도 지사의 돌풍이 태풍으로 바뀔지를 두고 관심이 집중됐음. 정국 향방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이기 때문에 이번 결과로 향후 아베 정권 운영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임.
– 도쿄도의회 선거에서 자민당 참패의 빌미를 제공한 아베 총리로선 자신이 추진해 온 헌법 개정에 동력을 잃게 될 수 있고 고이케 지사는 향후 정치 행보에 더욱 힘을 받게 될 예정.
– 한편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3일 도쿄도의회 선거에서 자민당이 참패한데 대해 “자민당에 대한 준엄한 질타로, 심각하게 받아들인다”고 말함. 그는 이날 관저로 출근하는 길에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깊이 반성한다”며 이같이 밝힘.
4. 中 홍콩반환 20주년 ‘채권퉁’ 개통…세계 3위 채권시장 열렸다
– 중국과 홍콩 간 채권시장을 연계하는 ‘채권퉁(通)’이 3일 홍콩 주권반환 20주년에 맞춰 공식 개통. 홍콩증권거래소는 이날 캐리 람(林鄭月娥) 신임 홍콩 행정장관과 판공성(潘功勝) 중국 인민은행 부행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채권퉁 개통식을 열고 홍콩과 외국인 투자자들이 홍콩을 통해 중국 본토 채권을 사고 팔 수 있도록 함.
– 인민은행 산하 중국외환교역센터(CFETS)와 홍콩 증권거래소는 앞서 채권퉁을 위한 합작법인(BCCL)을 세우고 지난달 30일 채권퉁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웹사이트도 공식 오픈. 이로써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10조 달러 규모의 중국 채권시장에 외국인 투자자들이 직접 투자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됨.
– 웨이(岳毅) 중국은행 홍콩분사 총재는 “채권퉁은 외국인 투자자의 중국 채권시장 투자에서 편의를 제공하고 선택의 폭을 넓혀주는 것은 물론 중국 채권시장의 개방과 국제화를 견인하고 홍콩 채권시장과 위안화 시장 발전의 새로운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함. 다만 이번 채권퉁에는 홍콩을 통해 중국 채권에 투자하는 베이샹퉁(北向通)만 포함.
–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베이샹퉁에 따라 앞으로 1∼2년간 2천200억 달러(252조원) 규모의 자금이 중국 역내 채권시장에 유입될 것으로 예상. 장기적으로는 10년간 1조 달러(1천143조원)의 글로벌 투자금이 중국 채권에 배정될 가능성도 있음.
– 중국의 채권시장 규모는 지난 3월말 현재 65조9천억 위안(1경1천조원)으로 세계에서 세번째로 크지만 외국기관 473곳이 보유한 채권은 8천억 위안(133조6천억원) 수준으로 그 비중이 1.4%에 불과. 이중 85%가 중국 국채와 정책은행 채권에 집중돼 있음.
5. 아랍4국, 카타르 추가제재 초읽기…최후통첩 시한 48시간 연장
– 사우디아라비아 등 아랍권 4개국이 2일(현지시간)로 제시했던 카타르 단교해제 13개 선결조건에 대한 답변 시한을 이틀 연장. 그러나 카타르가 애초 시한을 넘어서까지 아랍권의 요구에 응하지 않은 만큼 단교 사태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음. 아랍권의 이러한 결정은 카타르 단교 사태의 중재자를 자처하는 쿠웨이트 군주(에미르) 셰이크 사바 알아흐마드 알사바의 요청에 따른 것.
– 사우디를 필두로 한 아랍권 4개국은 친이란 성향의 카타르가 테러세력을 지원하고 있다며 지난달 5일 단교를 선언. 아랍권 4개국은 지난달 22일 쿠웨이트를 통해 카타르에 이란과의 절연, 터키와 군사협력 중단, 알자지라 방송국 폐쇄 등을 내용으로 하는 13개 요구사항을 전달.
– 이들은 2일을 답변 시한으로 제시하면서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 카타르에 대한 추가제재에 나설 것이라고 위협. 그러나 카타르는 아랍권이 자국의 주권을 침해하고 있다며 13대 요구사항에 대해 협상할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음.
– 답변 시한 연장에도 카타르가 아랍권의 단교해제 조건을 수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커지면서 아랍권이 어떤 추가제재를 가할지에 관심이 쏠림. 아랍권은 추가 제재의 구체적 내용은 밝힌 바 없지만 지역 전문가들은 경제·금융 제재를 동원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음.
– 카타르를 걸프협력회의(GCC)에서 퇴출하는 방안도 고려될 수 있음. GCC 6개 회원국(사우디, UAE, 바레인, 쿠웨이트, 카타르, 오만)은 조세, 금융 정책을 공유. 카타르 금융기관의 걸프 지역 내 거래를 중단하고 자국 내 카타르 관련 자산을 동결하는 등 걸프 지역 내 금융 거래를 중단시키면 카타르 경제에 타격이 불가피.
6. “미군, IS 격퇴 후에도 이라크에 주둔할 것”…미군 고위 장성
– 미 일간 페이트빌 옵서버 등 미언론은 1일(현지시간) IS 격퇴전의 총지휘관 격인 스티븐 타운센드 중장을 인용, IS를 물리친 이후에도 미국은 이라크 정부군이 여러 위협에 대처할 수 있도록 훈련과 역량 배양 지원 등의 임무를 위해 이라크에 미군 병력을 주둔시켜야 한다고 지적.
– 제18 공수군단장이기도 한 타운센드 중장은 IS 소탕 이후에도 미군을 주둔시키는 것이 이라크 정부는 물론이고 미국과 동맹국들의 이익에도 부합될 것이라면서, 주둔 병력은 공수군단 소속 병력일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음. 타운센드 중장의 이런 발언은 이라크 정부군이 IS의 최대 근거지이자 이라크 제2의 도시인 모술에서 IS를 상대로 완전 승리를 눈앞에 둔 상황에서 나온 것으로 주목.
– 관측통은 타운센드의 발언은 IS 소탕에도 미군이 철수하면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이 부활해 이라크 국내 안보가 위태로워질 것이 뻔해 미군의 주둔이 필요하다는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 등 미국 고위 당국자들의 입장을 재확인한 셈.
– 이라크 주둔 미군 병력은 공식적으로 5천200여 명이지만, 바그다드 주재 미 대사관 경호 병력 등을 포함하면 실제 6천400명 정도로 추산. 이들 중 3분의 1이 지상전을 수행하는 육군 특전단(그린베레)을 주축으로 하는 특수부대원들로, 모술 탈환전 등에서 화력 지원, IS 지휘부 제거, 정보 수집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전해짐.
– 한편 하이데르 알아바디 이라크 총리는 5월 초 성명을 통해 “미군은 (IS 사태 이후엔) 향후 안보 위기에 이라크 군경이 완전한 준비 태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군사 고문 역할을 할 것”이라며 전투병력은 이라크를 떠나게 될 것이라고 밝혀 미국과의 이견을 표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