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타르 단교] 사우디 등 중동 7개국 카타르와 단교는 이란 견제용?

[아시아엔=편집국] 카타르 사태의 원인은 오래된 종파갈등이 원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사우디아라비아·바레인·UAE·이집트·예멘 및 리비아 동부 정부·몰디브는 5일 카타르와의 국교 단절 및 육해공 통행 전면 차단을 선언했다. 이들 국가는 자국이 ‘적’으로 돌린 이집트 무슬림형제단·시아파 무장 정파 헤즈볼라 등을 카타르가 지원한다는 점을 단교 결정의 중대 사유로 발표했다.

‘테러리스트 지원’을 표면적인 이유로 내걸긴 했지만 이미 이란을 둘러싼 입장차로 이들 국가간 긴장은 오랫동안 계속돼왔다. 이란을 앙숙으로 보는 사우디 등과 달리 카타르는 친이란 성향의 독자 외교노선을 채택했다.

이번 단교사태의 발단은 지난달 23일 공개된 셰이크 타밈 빈하마드 알타밈 카타르 국왕의 연설이다. 연설 내용은 이란이 중심이었다. 카타르 관영통신 QNA는 카타르 국왕이 “이란에 대한 적대 정책을 정당화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카타르 측은 이후 해킹으로 인한 가짜뉴스라고 해명했지만 사우디 등은 때를 놓치지 않고 카타르 언론 접속을 차단하는 강경책을 내놨다.

논란을 더 부채질한 건 카타르 국왕의 이후 대처였다. 카타르 국왕은 사우디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에 전화를 걸어 양국 관계를 더 강화하기로 했다.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사우디와 UAE 매체는 카타르를 거세게 비판했고 결국 단교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블룸버그 등 외신들은 단교 결정의 시점도 중시했다. 도널드 트럼프는 지난달 사우디를 방문해 이란을 ‘테러 지원국’이라며 테러 격퇴를 전면으로 공표했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행정부에서 미국과 관계가 매우 가까워진 사우디와 UAE는 이란이 중동 지역에 뻗치고 있는 영향력을 약화하는 노력에 걸림돌이 되는 모든 것을 없애려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카타르에 대한 압박도 이 일환에서 나왔다는 것이다.

한편 이란은 사우디 등 5개국 및 리비아 동부정부의 카타르 단교 결정에 우려하는 입장을 즉각 표명했다. 로하니 이란 대통령실 하미드 아부탈레비 참모부장은 자신의 트위터에 “외교 관계를 단절하고 국경을 닫는 건 긴장을 해결하는 방법이 아니다. 공격과 점령 행위는 불안정성 외에 야기하는 것이 없다”고 비판했다.

페르시아만 이란령(사우스파)과 카타르령(노스필드)에 걸쳐있는 세계 최대 매장량의 가스 유전을 공유하고 있어 이란과 카타르 양국을 경제 공동체로 발전시켰다.

또한 1980년대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카타르는 이라크를 지원하는 수니파 국가들과는 달리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했다. 이는 2010년 12월 이란-카타르가 안보협정을 체결하기에 이르는 배경이 됐다.

이듬해 이란이 바레인 저항세력을 도우며 내정 간섭을 했을 때도 카타르는 경제 협력을 이유로 비판적 입장을 끝내 보이지 않았다. 카타르가 2014년께 이란령 가스전에서 시추 작업을 도와 산유 수입이 극대화하면서 양국 관계는 더 돈독해졌고 그 반대 방향으로는 사우디 등과의 관계 악화는 불가피했다.

카타르는 위성방송 알자지라를 사용해 종파적 대립을 부추기는 급진적 메시지를 확산시키기도 했다. ‘아랍의 봄’ 확산 당시 알자지라는 민중 봉기를 상세 보도함으로써 국제적 위상을 쌓고 전세계 시청자를 크게 늘렸다. 카타르 정부는 이같은 알자지라의 인기를 이용해 극단주의자들의 시각을 퍼뜨렸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