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외신 속 아시아] 알자지라 “아프리카 에볼라환자, 검증안된 백신 치료”

<CNTV> 사설

중국은 왜 시진핑 주석의 연설에 열광하는가

By Li Shouen

시진핑 중국 주석의 신년사가 끝난 후 중국언론뿐만 아니라 많은 외신들이 그가 사용한? “꽤나 고생스럽다(Pretty strenuous)”, “좋다(Thumbs up)” 등에 열광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반응은 예년의 신년사와 사뭇 다른 분위기다. 실제로 중국 네티즌들은 시 주석의 신년사 영상과 전문을 스크린샷으로 저장해 중국 유명 미디어플랫폼인 ‘위챗’을 통해 공유했다. 정치에 무관심한 중국 국민들이 시진핑 주석의 신년사에 이토록 열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시 주석의 신년사에 등장한 어휘는 일반 국민에게 생소한 정치 및 경제 용어 대신 국민들이 평소 사용하는 것으로, 국민들이 이해하기 쉬웠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시 주석은 젊은 세대들이?인터넷에서 주로 사용하는?“좋다(Thumbs up)”등을 사용하며 인터넷의 중요성과 젊은 세대를 이해하기 위해 자신이 노력하고 있다는 사실을 과시했다. 올해 시 주석의 신년사 핵심단어는 단연 ‘국민’이었다.?모두?16번이나 사용됐다.

최근 몇 년간 중국에서는 예전엔 상상할 수 없던 일이 많이 일어났다. 그 중 하나가 부패 척결운동이다. 이는 중국사회에서도 부정부패 척결이 가능하다는?자신감을 국민들에게 심어줬을 뿐 아니라 국제사회에도 긍정적으로 비춰졌다. 시 주석은 부정부패?척결을?2015년에도 지속적으로 해나가겠다고?밝혔다.

중국은?초강대국으로 부상하며 중국 국민과 국제사회로부터 인정을 받고 있다. 중국의?급부상이 국제사회에 위협요소로 작용할?것인지, 아니면 중국의 강대국으로의 발전에 국제사회가 부정적인 태도로 나올 때?중국이 과연 이를 어떻게 극복해나갈지 의문이 많다. 이를 가라앉히려는 듯 시진핑 주석은?신년사에서 “중국은 국제사회와?적극 협력해가며 책임있는 역할을 다하겠다”고?약속했다.??

Why are Chinese giving a “thumbs up” to President Xi’s New Year speech?

Editor: Zhang Dan

By Li Shouen

Shortly after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delivered his 2015 New Year speech, popular Internet terms that he included, such as those that translate to “pretty strenuous” and “thumbs up”, swept across all types of news media in China and even overseas.

The most eye-catching difference to previous New Year addresses is the reaction from the Chinese public, which was unprecedentedly interested in the speech. Internet users shared screenshots of the New Year address, the full-text version, and related commentaries via China’s most popular new media platform?WeChat.

Why has the usually politically insensitive Chinese popular become so enthusiastic about this address?

The language President Xi used is similar to that used by ordinary people, without perplexing political and economical terminologies, so it is understandable and acceptable.

By using popular expressions that were created by young Internet users such as “thumbs up”, Xi clearly expressed that he understands and appreciates the Internet’s importance, and told the youth “I understand you” in a humorous way.

The word “people” was a major focus of Xi’s speech; it featured 16 times (in the original Chinese version).

Things that were hard to imagine would ever happen happened. China’s anti-corruption campaign has made an impression worldwide and given confidence to Chinese people. And Xi’s speech definitely indicated that this trend will continue in 2015.

China is a rising power. This is recognized by Chinese people and the outside world. As a major power, will China pose a threat to the world? If the world takes a hostile attitude to China’s rise, will that bring harm to China? These are questions weighing on the minds of the Chinese and people worldwide. In his speech, President Xi reassures all those who are anxious about these issues by promising that China will be a helpful and responsible nation.

http://english.cntv.cn/2015/01/04/ARTI1420365557199100.shtml

 

<Al-jazeera>

종교의 자유 막는 인도의 ‘반개종법’

By Saurav Datta

크리스마스 기간은 축제의 기간이 되어야 하지만 크리스찬 공동체가 살고 있는 인도 우타르프라데시주는 예외다. 크리스마스 이브, 크리스찬들은 교회가 불타는 것을 보며 두려움에 떨었다. 그들에게 더 절망적인 것은 이웃도시 엘리가르에서 진행되는 ‘집단 역개종’(grand ghar wapsi)행사였다. 이는 힌두교의 깨달음을 전한다고 알려진 다람 자그란 사미티(DJS)의 행사로 크리스마스 당일 크리스찬 4천명과 이슬람교도 1천명을 힌두교로 개종시키는 행사다.

힌두교 무장 정치집단인 사미티(Samiti)는 “크리스찬 선교사들과 이슬람교도들이 힌두교도들을 강압적으로 유인해 개종시켰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이러한 부당한 처사를 바로잡기 위해 나섰다”며 “아는 결코 종교적 자유를 억압하는 것이 아니다”라고?밝혔다. 이를 보고받은 인도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중앙정부가 힌두교 무장집단의 행사를 금지하도록 지시했다.

인도의 반개종법(인도에서는 아이러니하게도 이 법이 ‘종교의 자유’에 관한 법으로 명시돼 있음)에 따르면?개종을 시키는 것은 불법이며 개종하는 신도들도?정부에 보고하도록 돼 있다. 구자라트주의 법에 따르면 목사, 수녀 등은 타종교 신도들이?개종할 의향을 가질 수 있는 종교행사 개최때는?반드시?주 정부와 경찰에 보고해야 한다. 이를 어길 경우? 3년 이하의?징역과?1만5천 달러의?벌금을 물어야 한다. 개종을 하는 이가 여성이거나 카스트 계급 중 하위신분에 속하는 경우 벌금은 두 배로 증가한다. 이러한 법률로 인해?개종하려는?사람들은 개별적인 개종 대신?단체로 개종의식이 진행될 때?개종하고 있다.

반개종 법안은 반기독교적일 뿐만 아니라 인도의 국가통치철학인?’세속주의’에도 어긋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India’s mass conversion problem

By Saurav Datta

“Homecoming” in the Christmas season is supposed to be a joyous occasion, accompanied by camaraderie and cheer. Not so for the small community of Christians in Agra, a town in the northern Indian province of Uttar Pradesh. On Christmas Eve, the flock of believers were cowering in fear, because a couple of churches were burnt.

More portentous was the grand ghar wapsi (homecoming, or mass-reconversion) programme announced by the Dharam Jagran Samiti (loosely translated into Hindi-Religious Awakening Front) in the neighbouring town of Aligarh, where Christmas was to be “celebrated” by bringing 4,000 Christians and 1,000 Muslims back into the folds of Hinduism.

This Samiti, a not-so-small wing of the Vishwa Hindu Parishad, a militant Hindu organisation, contended that far from propagating religious intolerance, it was only righting historical wrongs and injustice perpetrated by Christian missionaries and Muslim clerics who, in order to bolster the numbers of their respective faiths, had lured and coerced Hindus to stray from their original religion.

When these turn of events created a furore in parliament, the Narendra Modi-led central government instructed the local administration to thwart the Samiti’s grandiose plans, and Christmas day went peacefully.

Starting from the premise that the freedom of religion and religious chose of “those who are converted” (note; the laws never say “those who convert”) need to be protected from incursions of proselytisers – the various anti-conversion legislations, ironically termed as “freedom of religion” laws – make it mandatory for the convertees to inform the head of the district administration.

The laws of Gujarat, Madhya Pradesh and Himachal Pradesh make it incumbent upon neighbours or villagers to inform the administration and the police of any activities of pastors, nuns and clergymen which could give rise to a suspicion of proselytising motives. Without defining what all would, and could, possibly count as “inducement” or “fraud”, these laws impose stringent criminal sanctions on violators.

Anyone found guilty is visited with imprisonment extending to three years, and with a financial penalty of fifty thousand rupees (approximately $15,000).

The punishment is doubled if those who convert are women, or members of the lower castes and tribal communities. These laws are invoked and enforced only when a group of people, not individuals, seek to move out of Hinduism.

Besides being overtly anti-Christian, the proposed anti-conversion law would negate the constitution’s secular values.

http://www.aljazeera.com/indepth/opinion/2015/01/india-mass-conversion-problem-20151274531627294.html

 

<Al-jazeera>

아프리카 에볼라 환자, 검증 안된 백신으로 치료받아

By Robtel Pailey

영국 <가디언>은 이탈리아 엔지오 ‘이머전시’가 시에라리온 라카 에볼라치료센터 환자들에게 검증되지 않은 치료제인 ‘아미오다론’을 투여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영국 의료진은 지난해 11월, 이머전시의 이같은?처방에 대해 문제제가를 한 바 있다. 아미오다론은 심장박동을 조절하기 위한 약으로, 에볼라 감염 동물 치료 등의?실험은 거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약은 시에라리온 보건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며, 에볼라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진 53개 약품 목록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영국 의료진은 “아미오다론에 포함된 독성이 에볼라 치료소 내 사망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영국개발협력부는 이머전시 비정부기구에 아미오다론 투여 중지를 요청했다.

이머전시와 비슷한 의료행위는 세계적으로 빈민층과?질병 취약층을 상대로 빈번히 일어났다. 그 중 가장 유명한 사례는 1932년 미국 공중위생국이 저지른 ‘터스키기 연구’이다. 이 연구는 매독에 걸린 흑인남성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 대상 흑인 600명 중 399명이 매독에 걸린 상태였으며 201명은 매독에 걸리지 않은 사람들이었다. 대부분이 문맹이거나 빈곤층으로, 무료로 건강진단을 해준다는 연구진들에게 속아 연구에 참여하게 됐다고 밝혔다.?연구진들은 임상실험참가자 600명에게 무료 건강 진단과 친인척 장례 비용까지 제공한다고 약속했다. 연구진들은 당시?”이 연구는? ‘매독’이 아니라 ‘나쁜 피’를 치유하기 위한 것”이라며 연구의 본래 목적을 감추고?감염자들에게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애초 연구진들은 참여자들에게 이 연구가 6개월 동안 진행될 것이라 밝혔지만 실제로는 40년 동안 진행됐다. 1947년, 매독 치료에 쓰이는 페니실린이 개발됐지만 연구 대상 남성 600명에게는 치료제가 제공되지 않았다. 1973년, 실험참가자들은 연구소를 상대로 집단소송을 내 연구소와?9백만달러 배상에?합의했다. 이 사건 외에도 구미의? 대규모 제약회사, 연구소는 물론 일부 정부도 의약품 개발을 목표로 오랜?동안 빈민들을 실험대상으로 착취해왔다.

하지만 이같은 왜곡된?의료행위의?반대편에는 한줄기 희망은?있다. 하버드의대 아툴 가완디 교수는 2014년?’약물의 미래’ 강의를 통해?”환자의 ‘건강’보다 환자의 ‘행복(well being)’이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그의 말처럼 의료행위는 ‘치료’ 보다 ‘보살핌’을 목표로 해야 한다. 비인간적인 약물검사는 엄벌 받아 마땅하다. 의심스러운 약물투여에는 정밀조사가 수반돼야 하며 의료과실이나 위법행위가 있을 경우 형사고발도 뒤따라야 한다.

Treating Africans with an untested Ebola drug

By Robtel Pailey

Robtel Neajai Pailey is a Liberian academic, activist and author based at SOAS, University of London.

It was reported in The Guardian last week that Emergency, an Italian NGO, administered an untested heart drug known as Amiodarone, to patients at an Ebola treatment centre in Lakka, Sierra Leone. The British medics sent to work at the centre raised alarm as early as November about Emergency’s approaches to palliative care.

Amiodarone, a drug licenced to regulate the heartbeat, has never been tested outside of a lab setting to treat humans or animals infected with Ebola. It was neither approved by the Sierra Leonean health ministry nor listed among the 53 drugs that have an antiviral effect on Ebola.

In a report to UK Med, the British healthcare professionals argued that “the toxic side effects of Amiodarone could in fact be contributing to increased morbidity within the ETC [ebola treatment centre]”. Apparently, the NGO stopped using the drug after receiving a request from the Department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DFID), which had been alerted by the British medics.

As unconscionable as Emergency’s practices appear, there is a long history of unethical drug testing on poor and vulnerable communities across the globe.

Perhaps one of the most famous cases of unethical experimental treatment was in 1932 when Public Health Service in the United States began the “Tuskegee Study of Untreated Syphilis in the Negro Male” at a time when there was no known cure for syphilis.

The study initially included 600 black men – 399 with and 201 without syphilis – most of whom were poor and illiterate sharecroppers enticed with incentives such as free medical exams, meals on examination days, and promises that their relatives would receive burial stipends in the event of their deaths.

The men were deceived into thinking that they were being treated for “bad blood”. They neither received proper treatment nor were they informed of the true nature of the study. Instead of lasting for six months, as originally projected, the study went on for 40 years.

When penicillin was developed to treat syphilis in 1947, treatment was withheld from all 600 subjects. In 1973, a class action suit was filed on behalf of the men in the study and settled out of court for $9 million.

For too long, the bodies of poor and vulnerable communities have been exploited to serve the medical fetishes of big pharmaceutical companies, research institutions and Western governments. The goal of medical practice should be “caring”, and not simply “curing”.

Yet, there is a growing tide against this warped practice. In his 2014 Reith lecture series entitled ‘The Future of Medicine’, renowned surgeon, writer and public health researcher Dr Atul Gawande argued convincingly that the well-being of a patient is more important than his/her “health”.

Therefore, the goal of medical practice should be “caring”, and not simply “curing”.

Unethical drug testing must be matched with harsh punishment, now and after Ebola. We must insist on a probe of the dubious treatment regime adopted by the Italian NGO Emergency, followed by criminal prosecution in the event of malpractice.

http://www.aljazeera.com/indepth/opinion/2014/12/treating-africans-with-an-unte-2014123195838317148.html

요약/번역 노지영 기자 nojabes@theasian.asia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