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 방문 케리 국무 “알카에다도 파’ 주권침해”
케리, 샤리프 총리에 미국 방문 요청
파키스탄 정부가 미국에 무인기 공격 중단을 공식 요구하고 나섰다.
나와즈 샤리프 파키스탄 총리는 1일 수도 이슬라마바드에서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 만나 파키스탄 북서부 부족지역에 대한 미국의 무인기 공격 중단을 요구했다고 파키스탄 언론이 이날 보도했다.
샤리프 총리는 지난 5월 총선과정에서 무인기 공격중단을 미국에 요구할 것임을 공약한 바 있다.
그는 파키스탄의 만성적 전력난 해소를 위한 미국측 지원과 미국 시장 접근에 관한 바람도 나타냈다.
케리 장관이 이 자리에서 무인기 공격문제와 관련해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경제협력 문제와 관련해 파키스탄 북부 길기트 발티스탄 지역에서 진행 중인 ‘디아메르 바샤’ 댐 건설을 계속 지원할 것이라는 미국 정부의 입장을 반복했다.
2011년 10월 착공한 이 댐의 공기는 12년이고 공사비는 110억 달러에 이른다. 댐 완공으로 수력발전이 이뤄지면 파키스탄 전력난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케리 장관은 샤리프 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전날 밤 이슬라마바드를 찾았다.
그는 총리 면담에 이어 사르타지 아지즈 파키스탄 총리의 국가안보 및 외무담당 특별고문과 회담한 뒤 기자회견을 열고 파키스탄측 무인기 공격 중단 요구에 관한 입장을 밝혔다.
케리 장관은 무인기 공격이 주권침해라는 파키스탄측 주장을 겨냥해 알카에다 최고지도자 아이만 알 자와히리와 같은 테러리스트도 파키스탄 주권을 위협한다며 무인기 공격 지속의 필요성을 내세웠다.
그는 샤리프 총리에게 워싱턴을 방문해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무인기 공격문제 등을 논의하도록 요청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미국과 아프간 정부간 전략협정이 체결될 것임을 확신한다고 밝혔다.
미국은 아프가니스탄 주둔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군)이 내년 말 철수를 완료한 뒤 아프간에 잔류할 미군 규모에 대해 아프간 정부와 협정 체결을 추진했으나 현재 협상이 중단됐다.
아프간 탈레반이 지난달 미국 지원과 파키스탄 중재로 카타르에 정치사무소를 내면서 과거 집권시절의 국명과 깃발을 내건 데 대해 하미드 카르자이 아프간 대통령이 ‘탈레반이 망명정부 행세를 한다’며 강력 반발한 데 따른 것이다.
탈레반의 정치사무소 개설은 12년 된 아프간전 종결을 위한 탈레반과 미국 및 아프간 정부간 평화협상을 벌이기 위한 것이다.
케리 장관은 카르자이 대통령이 적절한 시점에 전략협정 재개를 선언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되면 평화협상도 궤도에 오를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