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아시아

[이란 현지보도 제7신] “전쟁과 일상이 공존하는 테헤란 거리, 우리의 삶은 계속된다”

* 아시아엔 해외필진 기고문의 한글번역본과 원문을 함께 게재합니다.

[아시아엔=글·사진 알리레자 바라미 이란 ‘Asre Rowshan’ 편집인, 이란 ISNA 전 편집장] 오늘(6월 19일) 테헤란 거리를 네 시간 동안 걸었다. 굳이 집 근처의 군부대를 지나가는 경로를 택했다. 이 부대는 이스라엘의 이란 침공 초기에 공습을 당한 곳이다. 그런 연유로 부대 주변에는 경찰과 경비 병력이 배치돼 있었다.

부대에서 약 500미터 떨어진 골목길에서도 사복경찰의 존재가 느껴졌다. 골목 안 쪽에는 완전히 붕괴된 4층짜리 건물의 잔해가 나뒹굴었다. 충격에서 벗어나기도 전에 그 다음 골목에서 똑같은 장면과 마주쳤다. 소총을 휴대한 경비병이 주위를 살피고 있었다. 그제서야 이 곳이 불과 며칠 전 우리 가족을 공포에 떨게 만들었던 세번째 폭발이 발생한 장소라는 것을 깨달았다. 전쟁은 내 도시와 내 집, 내 가족에게 이처럼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웠다.

테헤란의 한 공원에서 탁구를 치고 있는 노인들. 이들은 1970년대 팔레비왕조와 혁명 이후 세워진 이란이슬람공화국 정부를 겪은 세대다.

이런저런 상념에 빠진채 길을 걷다가 보니 집 근처의 공원에 이르렀다. 가장 먼저 눈에 띈 것은 벤치에 앉아 팟캐스트를 들으며 그림을 그리고 있던 한 소녀였다. 소녀 옆 벤치에는 고양이 한 마리가 평화로이 누워 있었다. 천조각을 널고 있는 두 노인의 모습도 눈에 들어왔다. 전쟁통 속에서도 이처럼 고요한 풍경이 펼쳐질 수 있을까? 우리의 삶은 분명 계속되고 있다.

이란의 수도 테헤란 거리는 분주한 도시와 디스토피아 영화에서나 볼법한 폐허 사이의 어딘가에 서 있는 듯하다. 그럼에도 우리는 그 모든 고난을 견뎌내며 삶을 이어가고 있다. 어떤 이들은 도시를 떠났고, 어떤 이들은 어딘가에 몸을 숨겼다. 꽃집에서 부케를 고르는 여성, 다시 문을 연 페인트상점 주인, 창문을 정성스레 닦는 여인처럼 전쟁 따위가 일상을 방해할 수 없다는 듯 일상의 삶을 이어가는 이들도 있다.

손님들로 북적이는 테헤란 시내의 한 아이스크림 가게

전쟁 7일째의 테헤란 거리는 비교적 조용했다. 목요일 아침 벌어진 이란의 미사일 보복 여파인듯 하다. 국내외 보도에 따르면 이란이 레이더 회피 기능을 탑재한 미사일을 발사해 200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한다. “이스라엘의 침공이 멈추기 전까지 그 어떤 외교도 무의미하다”는 이란 외무장관 발언의 영향일지도 모르겠다.

이란 당국은 지난 48시간 동안 해외인터넷 접속을 완전히 차단시켰다. 이란 내 웹사이트와 어플리케이션 이외에는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게 된 셈이다. 이란 정부는 “드론 공격들이 인터넷 접속에 기반한 것”이라며 온라인망을 차단해 드론의 눈을 멀게 했다. 테헤란 방공망도 지난 며칠간 이스라엘의 드론 공습에 대응하기 위해 가동됐었다.

대외적인 측면에서 살펴본다면 오는 금요일(20일) 열릴 (미국과의 중재를 맡고 있는) 유럽 3국과 이란 간의 회담이 중요해 보인다. 이라크의 시아파 유력지도자의 경고도 간과할 수 없다. 이라크 고위성직자는 드널드 드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 최고지도자의 암살 가능성을 시사한 것에 대해 “그 어떠한 도발도 이 지역 전체를 불바다로 만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란 태생의 그는 수십 년간 이라크에서 거주해 오며 이란과 관련해서는 별다른 입장을 표명하진 않았던 사람이다.

테헤란 지하철에서 공연하는 한 밴드. 사람들을 행복하게 만들기 위해 신나는 노래를 연주한다고 했다. 이들의 요청에 따라 얼굴을 가리고 촬영했다.

“이런 상황이 언제까지 지속될까?” “금요일 협상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될까?”

목요일 테헤란에서 만났던 모든 이들과의 대화에서 나온 공통의 질문이다. 우리는 분명 기로에 서 있다. 그러나 이 곳의 소식을 전하는 사람으로서 “살아남는다면”이라는 전제를 달고 싶지는 않다. 그 대신 이렇게 말하고 싶다.

“나는 살아 남을 것이다. 살아 남아서 이란의 소식을 다시금 전할 것이다”

관련기사: [이란 현지보도 제1신] 불타는 침묵의 도시 테헤란..”우리는 매일 밤 불안을 안고 잠에 든다”
[이란 현지보도 제2신] 이스라엘 폭격에 희생된 교사·학생 남매
[이란 현지보도 제3신] 이스라엘 공습 3일째: 테헤란 주택가 붕괴 잇따라
[이란 현지보도 제4신] 이스라엘, TV방송국 공습…”여성 앵커는 마지막 폭발까지 자신의 임무를 다했다”
[이란 현지보도 제5신] “살아 있는 한, 나는 여기 상황을 외부로 계속 전할 것이다”
[이란 현지보도 제6신] 명절 때보다 더 적막하지만 어느때보다 분주한 사람들
[이란 현지보도 제7신] “전쟁과 일상이 공존하는 테헤란 거리, 우리의 삶은 계속된다”


War and Life-Report from Tehran on the Seventh Day of War
By Alireza Bahrami, Correspondent for AsiaN

Today, I walked for four hours through the streets of Tehran. I deliberately chose a route that passed by a large military barracks near my home — one of the sites targeted by Israel during the early days of its invasion of Iran. The presence of police officers and security guards was clearly visible around the area.

About 500 meters from my house, on a nearby side street, I noticed several plainclothes officers. Curious, I looked down the alley and saw a four-story building that had collapsed under Israeli bombardment. Shockingly, I encountered the same devastation on the next street. A soldier there stood silently, an automatic weapon slung across his chest. At that moment, I realized that this must have been the location of the third series of explosions that had terrified my family days earlier.

War has revealed its terrifying face — not just to my city, but to my home and loved ones. These thoughts stayed with me as I approached a large park nearby.

At the park, I saw a young girl listening to a podcast while sketching on a bench, a cat resting peacefully beside her. A little farther on, two elderly men were hanging pieces of cloth. I sat on another bench to watch them. Once they were done, they began playing a game of pin-prick — a quiet moment of life continuing.

The streets of Tehran no longer resemble either a bustling capital or the set of a dystopian film. They are somewhere in between. Yet what is most remarkable is that life — against all odds — goes on. Many residents have fled. Others remain indoors. And some, it seems, refuse to let the war disrupt their routines: two women selecting bouquets at a flower stall, a man reopening his paint shop, a woman meticulously cleaning her windows.

The seventh day of war passed relatively quietly in Tehran, perhaps due to Iran’s retaliatory missile attack on Thursday morning. Reports claim that Iran used advanced, highly destructive, radar-evading missiles, injuring over 200 people, according to both domestic and foreign sources. Or perhaps the calm is tied to the Iranian Foreign Minister’s message to European negotiators — that diplomacy is futile until Israeli aggression ceases.

Still, the night before, Israeli strikes targeted areas outside Tehran, and officials warned of possible attacks near a village in northern Iran on the morning of the eighth day. Yet, on this seventh day, Tehran’s air defenses were relatively inactive — possibly for another reason.

For the past 48 hours, international internet access in Iran has been cut off. Only domestic websites and apps remain accessible. The government stated that many recent drone attacks on Iranian infrastructure were orchestrated via SIM-based internet guidance. Disabling global internet access, therefore, effectively disarmed these drones. Much of Tehran’s anti-aircraft fire in recent days had been aimed at such threats.

On the diplomatic front, attention turned to Friday’s planned negotiations between Iran and the European troika, held in consultation with the United States. Another key development was a warning from a prominent Iraqi Shiite leader.

This followed an unusually provocative speech by U.S. President Donald Trump, who hinted at the possibility of assassinating Iran’s Supreme Leader — a threat echoed by Israel’s Defense Minister. In response, the Iraqi leader warned that any such escalation could ignite a regional firestorm.

This cleric, though born in Iran, has lived in Iraq for decades and rarely comments on Iranian affairs. One of the few exceptions was his endorsement of General Qassem Soleimani’s mission to defeat ISIS — a campaign that succeeded, only for Soleimani to be assassinated in Baghdad under orders from President Trump during his previous term.

Everyone I spoke with on Thursday in Tehran asked the same two questions: How long will this last? And will Friday’s talks bring any real change?

I will not end this report by writing, “If I survive, I will write again tomorrow.” Instead, I say this with certainty: I will survive. And I will write again.

알리레자 바라미

이란 'Asre Rowshan' 편집인, 이란 ISNA 전 편집장

필자의 다른 기사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본 광고는 Google 애드센스 자동 게재 광고이며, 본 사이트와는 무관합니다.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