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한글작가대회 한-우즈벡 작가 “‘문학의 힘’ 재확인 기뻐”
‘문학의 힘’…우즈벡서 2년간 한국어 가르친 한국 작가와 두번째 방한 우즈벡 작가와의 만남
“제9회 세계한글작가대회가 맺어 준 문학적 우정으로 황폐화된 ‘아랄해 비극’ 전 세계에 알리자”
제9회 세계한글작가대회가 18일 막을 내렸다. 우즈베키스탄을 주빈국으로 초대한 가운데 국제펜한국본부(이사장 김용재)가 광주에서 개최했던 이번 행사는 김홍신, 현기영, 한강 작가의 문학특강과 ‘한글문학의 세계 확장성’ 등 다양한 주제의 문학 포럼, 광주청년작가 포럼, 용아 박용철 생가 탐방 등 여러 의미 있는 프로그램들을 소화해 문단 안팎으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아시아엔>은 폐막식 직후 포질 파르호드(38 ? Fozil Farhod) 우즈베키스탄 소설가와 이은선(40) 한국 소설가의 대담을 통해 국경을 초월한 문학적인 연대와 작품 활동으로 지구촌 환경 문제를 해결해 나가자는 두 사람의 의지를 확인했다.
2010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한 이은선 소설가는 2006년~2007년 우즈베키스탄 세계언어대학에서 한국어를 가르친 바 있고, 포질 파르호드 작가는 우즈벡 작가동맹 홍보위원장으로 한국 방문은 이번이 두 번째다.
다음은 이날 대담 요지다.
이은선(이하 ‘이’) : 행사가 마침내 끝났다. 이번 행사를 어떻게 봤는지 궁금하다.
포질 파르호드(이하 포질) : 정말 대단한 행사였다. 500명도 넘는 한국작가들과 함께 이번 행사에 참여하게 돼 행복했다. 우리 일행을 초청해 준 국제펜 한국본부에 감사드린다.
이 : 우리 두 사람은 우즈베키스탄 문학과 한국문학을 주제로 했던 문학포럼 제1세션에서 나란히 주제발표를 했다. 포질 작가님이 발표했던 우즈벡 문학의 과거와 현재를 통해 많은 공부가 됐다.
포질 : 나는 이은선 작가님이 발표한 ‘문학으로 무엇을 할 것인가 – 아랄해를 중심으로’라는 발제문을 들으면서 깜짝 놀랐다. 한국작가가 우즈베키스탄 아랄해의 환경문제를 고민하고, 그것을 작품으로 발표까지 했다는 걸 처음 알게 되면서 온몸에 전율을 느꼈다. 아랄해 문제를 다룬 <발치카 No 9>(문학과지성사)는 어떻게 쓰게 됐는지 궁금하다.
이 : 2006년 코이카 국제봉사단원으로 우즈베키스탄엘 가게 됐다. 떠나기 전에 우즈베키스탄에 대한 여러 자료를 조사하다 아랄해 문제를 알게 됐다. 잘못된 치수 정책으로 1960대까지만 해도 우리나라 국토면적의 70%쯤(68,000㎢) 됐던 그 어마어마한 크기의 아랄해가 10%만 남고 다 말라 버렸다는 이야기를 듣고 놀랐다. 그런데 더 놀란 건 그 말라버린 바다가 사막화되고, 그로 인한 염분 모래바람이 또 다른 환경재앙을 일으키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그래서 우즈벡엘 가면 아랄해를 찾아 그걸 소재로 반드시 작품을 쓰겠다고 결심하게 됐다.
포질 : 아시다시피 이번 행사 개막식에서 우리 우즈벡 여성 두 사람이 ‘그리움’이란 시를 낭송했다. 그 시 역시 아랄해의 아픔을 노래한 우리나라 국민 시다. 우리나라의 많은 작가들도 아랄해의 아픔을 소설과 시로 자주 묘사한다. 국경을 초월해서 이렇게 여러 나라 작가들이 아랄해 문제를 다뤄 준다면 언젠가는 아랄해의 비극도 해결되리라고 믿는다.
이 : 맞는 말이다. 문학의 힘은 그런 것이다. 포질 작가님은 소설집 2권을 출판한 걸로 들었다. 어떤 책들인가?
포질 : 2015년 단편소설 7편을 모아 발표한 첫 책은 <마크툽>(Мактуб ? 편지)이라는 단편집이었다. 기계화 시대에서 갈수록 메말라 가는 사람들의 정을 소재로 쓴 작품들이다. 그리고 2019년에 펴낸 두 번째 소설집은 <쿠클람 쿠이>(Куклам куйи ? 봄의 멜로디)라는 작품인데, 단편소설 9편과 중편소설 1편을 담아냈다. 책 제목이 말해주듯 삶의 희망을 소재로 쓴 작품들이다. 지금은 2019년 신동엽문학관의 초청으로 한국에 다녀간 느낌을 주제로 장편소설을 쓰고 있었는데, 이번에 광주 행사 내용까지 추가해서 개작하려고 한다.
이 : 나는 한국작가로서 우즈베키스탄을 소개했다. 아마 그래서 이번에 주빈국인 우즈베키스탄을 주제로 한 문학세션에 초청된 것 같다. 포질 작가님은 다음 작품을 통해 우즈베키스탄 독자들에게 한국을 소개하는 매우 의미 있는 일을 하실 것 같다. 기대가 크다.
포질 : 이은선 작가님의 <발치카 No 9> 소설집을 우즈베크어로 번역해서 출판하는 일을 추진할 생각이다. 우리 우즈벡 독자들에게도 좋은 반응을 얻을 것 같다. 최근에 불가리아에 다녀오신 걸로 알고 있다. 어떤 일 때문이었나?
이 : 불가리아 소피아대학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들이 한국 분이신 김소영 교수님의 추천으로 2023년 1학기 동안 <발치카 No 9>를 현지어로 번역해서 공부했다고 한다. 그 수업 과정의 일환으로 작가초청 특강 자리를 마련해 줘서 가게 됐다. 학생들에게 내 작품을 소개하며 아랄해 환경 문제를 강조했는데, 그 학생들도 많이 놀라는 표정이었다. 말하자면 한국과 불가리아, 우즈베키스탄을 아우르는 문학수업이 된 것 같아 작가로서 행복했다.
포질 : 다시 한 번 감사한 마음이다. 내 소설집도 언젠가는 한국에서 번역 출판돼 한국 학생들과 많은 이야기를 나누면 좋겠다. 특히 이번에 돌아가서 한국을 소재로 쓰게 될 소설작품이 한국에서 출판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2024년 내년은 우즈벡 작가동맹 창립 90주년이다. 또 국제펜 한국본부 창립 70주년이다. 이런 기념비적인 해를 맞아 양국 작가들의 교류가 활발해질 것 같다. 그때 이은선 작가님도 꼭 우즈벡에 오시면 좋겠다.
이 : 오랜만에 고향을 찾는 기분으로 꼭 갈 생각이다. 그때 가서 포질 작가님의 새 작품집도 받아보고 싶다. 이렇게 만나서 정말 반가웠다. 내년에 다시 만나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 남은 일정 잘 소화하고 행복하게 귀국하시기 바란다.
포질 : 감사하다. 끝으로, 이런 자리를 빌어 감사 말씀을 드려야 할 분이 있다. 내가 두 차례나 한국을 방문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만들어 준 준 최희영 작가님께 감사드린다. 최 작가님이 아니었으면 이런 기회가 없었을 것 같다. 2019년 <우즈베키스탄에 꽂히다>를 출간하신 직후 나를 신동엽문학관에 추천해 준 사람도 그분이었고, 이번에 제9회 세계한글작가대회 주빈국으로 우즈베키스탄을 강력히 추천한 분도 최희영 작가님이다.
이 : 맞는 말씀이다. 최희영 작가님은 지난 6년 동안 여러 일로 우즈베키스탄을 25차례나 다녀오신 걸로 알고 있다. 그런 작가님이 있기에 이렇듯 양국 문학교류도 급물살을 타는 것 같다. 나 역시 최 작가님께 고마운 마음이다. 또 개막식에서 ‘그리움’이란 시를 낭독해 주고, 이번 행사 내내 통역과 번역을 도와 준 우즈벡 쌍둥이 자매 포티마(Fotima) 씨와 주흐라(Zuhra) 씨에게도 고마운 마음을 전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