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만 파워 실버시대②] ‘유치원’이 ‘노치원’으로

인천의 한 어린이집 건물에 요양원이 개원했다. <사진 한겨레>

한국은행이 2021년 기준 우리나라 연령대별 소득 불평등도를 조사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70세 이상의 지니계수(Gini’s coefficient, 소득분배의 불균형 수치)가 20-40대보다 최대 1.7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세대의 빈부 격차가 젊은 세대보다 훨씬 심하다.

전문가들은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노인간의 빈부 격차뿐만 아니라 세대간 빈부격차가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본다. 고령층은 상대적으로 소비성향이 낮은데, 이들이 점점 더 오래 살다 보니 나라의 막대한 부가 그저 잠겨 있는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

세계 최고령 국가인 일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일본의 600만 치매 노인이 가진 자산이 2020년 기준 250조엔(약 2280조원)에 달해 일본 국내총생산(GDP)의 절반에 가까운 규모다. 또한 80세가 넘어서야 상속이 이뤄지는 경우가 전체 상속의 70%에 달한다.

이에 일본은 실버세대의 부를 회춘(回春)시켜 경제에 활력을 주기 위해 생전 증여제도 확대에 관한 대책들을 내놓고 있다. 종전에는 부모 사망 3년 전에 증여한 재산만 비과세(非課稅) 대상이었는데, 이 기간을 7년으로 늘려주기로 했다. 즉, 자식이 돈이 필요할 때 미리미리 증여하라는 취지다.

국내 금융전문가들은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인구 고령화를 겪고 있으므로 앞으로 금융회사들의 가장 큰 승부처는 고령층 자산관리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우리나라 가계자산의 약 70%를 차지하는 부동산까지 합친 세대별 자산을 따져보면, 60세 이상이 가진 순자산이 전체의 46%에 달한다.

서울연구원(Seoul Institute)이 2021년 세대별로 보유한 금융자산(은행 예·적금과 전·월세 보증금)에 부동산과 자동차 등 실물자산까지 조사했다. 1940-54년에 태어난 산업화 세대는 가구당 평균 3억3936만원의 순자산을 가졌고, 1955-64년 태어난 1차 베이비붐 세대의 순자산은 전체 세대 중 가장 많은 평균 4억966만원이었다. 이들을 합친 노인세대가 전 세대 자산의 절반 가까이 가진 셈이다.

우리나라 노인들이 다른 세대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부를 축적한 것은, 우리나라가 압축성장하던 때 경제활동 최전선에 있었던 덕분이다. 우리나라 주거용 부동산 가격이 1975년에서 2022년 사이 2318% 올랐다. 같은 기간 일본은 107% 상승했다.

많은 부를 가진 실버세대의 등장에 기업들은 경영전략을 수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KB국민카드는 고액 자산가 고객 중 의료검진서비스 등을 받으러 병원을 오갈 때 도움받길 원하는 수요가 있다고 보고 최근 연회비 100만원짜리 프리미엄 카드를 출시하면서 의료기관 동행서비스를 혜택 중 하나로 집어넣었다.

우리나라는 고령자의 학력, 건강, 경제 수준이 크게 높아지면서 이들이 우리 사회의 소외계층이 아니라 핵심 소비계층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앞으로 이들을 겨냥해 최적의 상품을 내놓기 위한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다.

65세 이상 고령자가 인구 전체의 30%에 달하는 일본에서는 ‘데이 서비스(day service)’란 돌봄시설이 있다. 데이 서비스는 노심(老心)을 잡기 위해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있다. 예를 들면, 요리를 테마로 해서 만든 돌봄시설인 ‘쿠킹 스튜디오’가 있다. 요리를 하려면 머리와 손을 써야 하고, 몸도 움직여야 해서 뇌를 활성화는 효과가 있다.

기존 돌봄서비스는 여성이 90%를 차지할 정도로 압도적으로 많으며, 남성은 동요 부르기나 종이접기 같은 프로그램이 시시하다며 싫어했다. 이에 남성 노인을 위하여 게임을 테마로 돌봄 시설을 만들어 슬롯머신, 블랙잭, 마작(麻雀) 테이블까지 갖춘 시설(데이 서비스 라스베가스)을 개원했으며, 남성 비율이 90%를 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어르신 주야간보호센터가 있다. 경증 치매나 노인성 질환이 있는 고령자들을 돌봐주는 시설이다. 그림 그리고, 노래 부르고, 낮잠도 자고, 급식까지 주는 일과가 유치원(幼稚園)과 닮았다고 해서 ‘노치원(老稚園, 노인들이 다니는 유치원)’이라고 불린다. 서울 강동구 소재 빌딩 5층에 위치한 90평짜리 어르신 주야간보호센터는 민간시설로 노치원 원생이 30명이다. 이곳 노치원 원생들의 평균 연령은 85세이며, 왕언니는 95세이고, 막내는 75세다.

노치원에서는 요양보호사들이 선생님이다. 1교시는 아침 체조시간이다. 요양보호사는 어르신을 문 바로 앞에 있는 화장실까지 안전히 모시고 가는 것도 중요한 업무이다. 점심시간엔 선생님이 음식을 담은 식판을 나눠줬으며, 식후에는 치약을 묻힌 칫솔과 양치컵도 준비해 줬다. 오후 1시 30분 실내 체육시간에는 원생들이 팀 대항 공놀이를 했다. 공놀이가 끝나자 미술 시간이 시작됐다.

노치원은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가 시행되면서 확산되기 시작했다. 모든 국민은 매달 건강보험료에 추가로 장기요양보험료(건보료의 12.8%)를 내고 있은데, 이를 재원으로 건강보험공단이 노인장기요양 등급을 받은 고령자들을 지원하고 있다. 이용료는 이용 시간, 노인 장기요양 등급, 비급여로 시설에서 책정하는 식비와 간식비 등에 따라 달라진다.

보통 하루 8시간 이용 기준으로 하루 식비와 간식비 5000원을 포함한 한 달 이용료는 120만원대다. 하지만 이용자는 하루 1만원내의 본인 부담금만 내면 된다. 장기요양보험에서 최대 85%까지 지원한다. 시설마다 프로그램은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체조와 율동 같은 신체활동과 음악과 미술 같은 인지활동이 많은 편이다.

주야간보호센터는 어르신들이 집밖으로 나와서 다른 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게 해주기에 과중한 가족 부양 부담을 줄여준다. 다만 국가가 운영하는 비율은 1% 미만이고 대부분 민간이 운영하고 있다. 이에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철저히 감독하는 것이 중요하다. 내년이면 노인 인구 1천만명 시대가 열린다. 우리 사회가 이를 맞을 준비가 돼 있는지 진지하게 고찰해야 한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