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상익의 시선] 기억마저 아스라이···”엄마, 엄마, 엄마”
80대의 친척 아저씨가 카톡으로 글을 보내왔다. 우렁이 새끼들은 제 어미의 살을 파먹으며 크는데 어미 우렁이는 한 점의 살도 남김없이 새끼들에게 다 주고 빈껍데기만 흐르는 물길 따라 둥둥 떠내려간다고 했다. 그 모습을 본 새끼 우렁이들이 “우리 엄마 두둥실 시집가네”라고 하며 슬퍼한다고 했다.
그와 반대로 가물치는 알을 낳은 후 바로 눈이 멀어 배고픔을 참아야 하는데 이때 알에서 나온 새끼들이 어미 가물치가 굶어 죽지 않도록 한마리씩 자진하여 어미의 입으로 들어가 굶주린 배를 채워주며 그 생명을 연장시켜 준다고 한다. 그렇게 새끼들의 희생에 의존하다 어미 가물치가 눈을 다시 회복할 때쯤이면 남은 새끼는 열마리 중 한마리 꼴도 안 된다고 한다. 그래서 가물치를 ‘효자 물고기’라고 한다는 것이다.
사실인지 몰라도 재미있는 얘기다. 바로 내가 엄마의 속살을 다 파먹은 우렁이 새끼같은 존재다. 엄마는 시대의 비극 그 자체였다. 세상이 지옥 자체였던 엄마는 왜 태어났는지 모르겠다. 세살 때 온 가족이 몇달을 걸어서 용정으로 갔다. 동네에서 불쌍하다고 주는 감자 한두 알로 연명했다고 했다. 일곱살 때 지주집으로 팔려 갔다고 했다. 갓난아기를 하루 종일 업고 있으니까 허리가 부러지는 것 같이 아팠다고 했다.
엄마는 그런 속에서 아버지, 엄마, 동생이 보고 싶어 밤마다 울었다고 했다. 그런 생활 속에서도 공부가 하고 싶어 글이 적힌 종이쪽지를 저고리 섶에 숨겨놓고 외웠다고 한다. 일본 소설 <오싱 이야기>가 바로 어렸던 내 엄마의 환경인 걸 나중에야 알았다. 엄마는 북에서 결혼하고 혼자 내려오자 남북이 분단되어 가족이 또 생이별을 했다.
6.25전쟁 때 다른 자식 다 잃고 나 혼자 뒤늦게 태어났다. 엄마는 배운 것 없고 기술도 없었다. 전쟁 때 군대에 갔다가 제대한 아버지는 간신히 일자리를 얻었지만 그나마 쥐꼬리 만한 월급은 다 외상 술값으로 날아갔다.
아버지도 시대에 상처를 입고 절망한 사람이 아니었을까. 아버지는 소주잔에 눈물을 타서 마시며 세상 바깥만 맴도는 것 같았다. 내가 젖을 뗄 무렵부터 엄마는 품을 파는 뜨개질을 시작했다. 엄마의 최대의 공포는 내 새끼 가르칠 돈이 없는 것이었다.
함경도 회령에서 내려온 엄마는 강했다. 나는 엄마가 사람들과 싸우는 악다구니 속에서 자랐다. 못 나고 못 배우고 돈 없고 돌아갈 고향도 없는 혼자가 엄마의 처지였다. 엄마는 참 많이 무시당하는 것 같았다. 남들에게 자주 얻어맞기도 하고 “너 같은 년은 못 생겨서 똥갈보도 못해” 하는 저주 같은 욕을 먹는 것도 들은 적이 있다.
나는 엄마가 제대로 된 음식을 먹는 걸 본 적이 없다. 철에 맞는 옷을 입는 것도 못봤다. 수은주가 영하 10도 아래로 내려가도 난로 없는 다다미방에서 그냥 잤다. 엄마의 소원은 내가 많이 배우는 것이었다.
이상했다. 내가 유년 시절 엄마는 길을 지나다 변호사 사무실을 보면 멀리서 그 간판에 대고 합장을 했다. 못 배웠다고 무시하는 사람에게 엄마는 내 아들은 너보다 백배 천배 가르치겠다고 종주먹을 휘둘렀다. 나는 엄마의 그런 깊은 상처와 한을 외면할 수 없었다. 내가 공부를 한 이유이기도 했다.
내가 입시나 고시를 칠 때 엄마는 산속 얼음이 얼어붙은 물 속으로 들어가 기도했다. 고드름이 된 머리로 절을 하며 빌었다. 내가 경기중학교에 합격했을 때와 사법고시에 합격하던 날 두번 나는 엄마의 행복한 얼굴을 봤다.
우렁이 새끼처럼 나는 엄마의 속살을 다 파먹고 컸다. 그런데 나는 친척 아저씨가 보낸 글 중의 효자 가물치같은 존재가 되지 못했다. 세상에 눈을 더 돌리고 엄마를 제대로 살피지 못했다. 정말 나쁜 아들이었다.
엄마는 영원히 나와 함께 있을 것 같았다. 세월이 가고 엄마의 임종이 얼마 남지 않았을 때였다. 엄마가 문갑 속에서 수표와 돈뭉치를 꺼내주면서 말했다.
“아들, 죽기 전에 5억원을 만들어 주려고 했는데 조금 모자라. 다 채우지 못했지만 어쩔 수 없어. 받아.”
그 현찰 중에는 내가 어머니에게 매달 준 용돈까지 그대로 다 들어 있었다. 엄마가 덧붙였다.
“아들, 법을 하는 사람은 돈 때문에 양심을 팔아서는 안돼. 정직하게 살아. 아들이 돈 때문에 타락할까 봐 엄마가 모은 거야.”
우렁이는 엄마의 살을 파먹지만 나는 엄마의 피와 생명을 먹은 거 같았다. 우렁이는 껍데기만 남은 엄마가 물에 흘러갈 때 “우리 엄마 두둥실 시집가네”라고 했는데 나는 뭐라고 했더라. 고맙다고 했나 미안해라고 했나.
내 엄마였어서 사랑해라고 했던가. 이제는 기억도 아스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