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동지’···세시풍속과 동지팥죽

동지팥죽엔 동치미가 제격

오늘(12월 22일 목요일)은 24절기(節氣) 중 스물두 번째 절기인 동지(冬至)이며, 일 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24절기는 황도(黃道)상 위치에 따라 계절적 구분을 위해 만든 것으로, 황도에서 춘분점(春分點)을 기점으로 15도 간격으로 점을 찍어 총 24개의 절기로 나타낸다.

동지 다음 절기는 소한(小寒)과 대한(大寒)으로 겨울 중 가장 추운 때이며, 겨울이 지나면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立春)이 온다.

동지를 민간에서는 아세(亞歲) 또는 ‘작은 설’이라 하였다. 태양의 부활이라는 큰 의미를 지니고 있어 설 다음 가는 작은설로 대접하는 것이다. 이 관념은 오늘날에도 여전해서 “동지를 지나야 한살 더 먹는다” 또는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살 더 먹는다”는 말처럼 동지첨치(冬至添齒)의 풍속이 전하고 있다. 동지는 날씨가 춥고 밤이 길어 호랑이가 교미한다고 하여 ‘호랑이 장가가는 날’이라고도 부른다.

동지가 되면 동지하례(冬至賀禮)를 행하며 버선을 선물했다. 동지부터 해가 조금씩 길어지듯이 노인에게 기운이 돌아오라는 뜻으로 목이 긴 버선을 지어 바치기도 했다. 이것을 ‘동지버선’이라하며, 목숨이 길어지는 장수의 의미다. 또 동지부적(冬至符籍)이라 하여 ‘뱀 사(蛇)’를 써서 거꾸로 붙여 잡귀를 막는 속신이 있다.

궁중에서는 원단(元旦)과 동지를 가장 으뜸 되는 축일로 생각하여 동짓날 군신(君臣)과 왕세자(王世子)가 모여 잔치를 하는 회례연(會禮宴)을 베풀었다. 해마다 중국에 예물을 갖추어 동지사(冬至使)를 파견하여 이날을 축하하였고, 지방의 관원들은 임금에게 전문(錢文)을 올려 진하(陳賀)하였다. 관상감(觀象監)에서는 새해의 달력을 만들어 궁에 바쳤다.

동짓날에 왜 팥죽을 먹을까. 동지는 음기(陰氣)인 귀신이 성하는 날이어서 양기(陽氣)의 기운이 왕성한 붉은 팥죽이 귀신을 물리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동짓날 팥죽으로 먼저 조상께 제사지내고 난 다음 집안 곳곳에 팥죽을 한 그릇씩 놓아둔다. 또 팥죽을 대문이나 벽에 뿌리면 재앙을 면하고 귀신을 쫓아낸다고 믿었다.

우리나라에서 동지팥죽을 먹었다는 첫 기록은 고려시대 때 등장한다. 고려말기의 학자 이제현의 시문집 <익재집>(益齋集)에는 “동짓날은 흩어졌던 가족이 모여 적소두(赤小豆)로 쑨 두죽(豆粥)을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동지팥죽은 한해의 마무리를 잘하고 새해 농사의 풍작과 가정의 무고를 바라는 조상들의 마음이 담겨 있는 따뜻한 음식으로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팥(red bean)은 우리에게 친숙한 곡물이며, 먹는 방법도 다양하고 영양소도 풍부하다. 건강에 좋은 식품인 팥에는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 식이섬유 등이 풍부하게 들어있다. 쌀을 주식으로 하는 한국인에게 부족할 수 있는 비타민B1과 칼륨이 풍부하다. 칼륨은 나트륨을 소변으로 배출하는 효능이 있어 혈압관리에도 효과가 있다. 팥에는 식이섬유가 풍부해 당뇨병 치료에 도움을 준다.

팥에 함유된 폴리페놀(polyphenol)은 암을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다. 팥을 붉게 보이게 하는 안토시아닌(anthocyanin)은 항산화 성분의 하나이며, 노화 예방에 도움을 주고 염증을 막는 데도 효능이 있다. 비타민B1은 모세혈관에 영양을 공급해 혈액순환을 촉진하므로 두피가 건강해지고 탈모를 예방할 수 있다. 팥은 해독(解毒)과 피로회복에도 좋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