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맹정음 창제 박두성③] 1888년 오늘 탄생 송암이 고마운 까닭

박두성 선생(1888~1963)과 그가 창제한 훈맹정음


한글의 세계화 시대에 발맞추어 한글 점자도 세계로 나가게 될 것이다. 질병으로 인해, 사고로 인해 중도 실명이 나날이 늘어가니, IT 시대의 한글점자에 대한 연구는 더욱 발전해야 할 것이다. 한글 점자를 개발한 송암 박두성(1888년 4월26일~1963년 8월25일)은 2002년 문화관광부 제정 ‘이달의 문화인물’과 인천시 문화인물 1호로 선정됐다. 오는 4월 26일은 송암 탄생 134년이 되는 날이다. 이에 <아시아엔>은 ‘훈맹정음’을 창안해 시각장애인들에게 빛을 비춰준 송암 박두성의 생애를 외손녀인 유순애 배재대 명예교수의 글을 통해 되돌아본다. <편집자>

칠판과 백묵이 없는 교단에서 송암은 자상하면서도 준엄한 맹인교육 선구자의 길을 걸었다. “너희는 눈만 보지 못하지, 맛을 보고, 생각해보고, 들어보고, 웃어보고, 만져보고, 걸어보고, 무엇이든 볼 수 있다”고 가르쳤다. “어떤 민족이 노예가 되더라도 언어를 가지고 있는 한 그 감옥의 열쇠를 쥐고 있는 것이다”라고도 하였다.

일제 치하, 암울한 시기에 일인들의 지휘감독을 받는 교육공무원으로서 모든 행동거지가 제약을 받고 어찌해야 좋을는지 몰라 지혜를 구하러 오는 이들에게, 송암은 이렇게 가르쳤다. “치마 벗어라, 하면 치마만 벗지, 알아서 고쟁이까지 벗지는 맙시다”, 현재에도 귀감이 가는 말씀이다. 학교 당국에서 “내일은 양복을 입고 출근하라” 지시가 내리면, 양복 밑에 버선을 신고 출근하는 뱃장도 있었다.

박두성의 책상 위에 가보면 언제나 헌 장부에서 점자지만큼 자르고 남은 쪽지에 깨알 같은 글자로 무엇인가를 빽빽하게 써서 그 종이에 구멍을 뚫어 실로 매어 놓은 뭉치가 가득했다. “선생님, 저거 무엇하실 겁니까?” 하고 물으면, “금싸라기다. 후일에 우리나라의 생활이 여유가 생기면 이 금싸라기를 점역해서 맹인에게 읽혀야 한다”고 하셨다.

“눈을 잃었다는 것은 참 불행한 일입니다. 그러나 잃은 것만 따져보고 한탄할 것이 아니라, 남은 것이 무엇인지도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앞을 못 보는 이들은 눈은 못 보아도, 두뇌나 신체 등 다른 곳은 이상이 없습니다. 무엇이나 가르쳐 주면 잘 배우고 잘 받아들입니다. 그들을 산송장 만들지 말고, 공부시켜서 훌륭한 사람들로 만들어야 합니다. 이네들을 아무렇게나 내버려 두는 것은 가정과 사회의 손실입니다. 가르치고 깨우쳐 주면 틀림없이 큰 인재가 그들 중에서 나옵니다. 실망하지 말고 그들을 교육하는 일에 협력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것은 내가 맹교육 20년의 경험에 따라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송암 박두성 선생 친필

송암이 맹아부에 재직할 때, 맹아부에서는 봄, 가을 두 번 소풍을 갔는데, 오늘날과 같이 통학버스를 타고 가는 것이 아니라, 좀 먼 곳이라도 손에 손을 잡고 걸어 다녔다. 길을 가다가 몰지각한 상인들이 “아이, 재수 없어! 장님들을 떼로 만났으니, 오늘 재수는 옴 붙었다” 하며 침을 뱉고 지나가는 것을 보면 박두성은 그 광경을 못 본 체하고 지나가는 것이 아니었다. 송암은 그 장본인을 붙들어 “여보, 무엇이 재수가 없나? 그런 소리 하는 것 아니에요. 저네들과 당신이 무엇이 다르오? 다만 앞을 못 볼 따름이니 불쌍히 여기고 도와주어야지! 어찌 보던 저들은 공부해서 모두 유식해요. 책을 읽어서 아는 것도 많고….” 하였다.

또 한번은 창경궁 안에 동물원과 식물원이 있을 때에 맹학생들을 데리고 그리로 소풍을 갔는데, 송암의 친구가 “여보게, 장님들을 데리고 창경궁에 오다니 말이 되나?” 하니, 송암은 “동물들이나 새들의 울음소리를 듣거나 색다른 꽃냄새를 맡는 것도 맹인들에게는 좋은 경험이 된다”고 하였다. 이것이 바로 송암 선생의 맹교육관이다.

1918년 3월 24일, ‘맹 본과’ 제3회 졸업식을 하고 9월 2일에는 ‘맹 본과 직업 과목 주당(週當) 할당시간’을 증가시켰다. 여기에도 이론이 분분했다. 일본인 원장은 “정안인도 살기 힘겨운데 장님들 직업교육을 시킨들 자립할 수 있겠소? 그저 일어나 해독시켜 일본 문물이나 귀띔해 주면 그만이지” 했다. 이에 기분이 언짢아진 송암은 “모르는 소리요. 언어란 수단이지 목적은 아니외다. 우리 조선말만 익혀도 직업인이 될 수 있어요. 가령 맹인 한 사람이 하루에 양곡 3홉씩을 먹는다고 하면 1년에 한섬, 6만명이 6만섬을 소비하게 되니, 만일 맹인들에게 적절히 교육하여 적당한 직업을 부여하여 자활할 수 있다면 그만큼 경제적으로 국가의 도움이 아니겠어요? 그러므로 맹교육에서 직업교육의 위치는 모든 교과의 핵심이 되어야 할 것입네다. 일본말 시간을 줄이는 한이 있더라도 안마, 침구, 마사지 시간을 늘려야겠어요.” 다분히 설교조인 송암의 절실한 제의에 일인 원장은 꿀 먹은 벙어리가 되었다.

해가 바뀌어 1919년 3.1운동이 일어난 후 일제의 탄압은 더욱 심해졌다. 제생원에서 명맥만 이어오던 조선어(朝鮮語) 과목을 없애기를 시도했다. 일인 맹아부장 오쓰까는 “장님들이 3년이란 짧은 기간에 배울 것도 많은데, 어려서부터 알고 있는 조선어까지 어떻게 교육할 수 있겠소?” 이에 마음이 매우 언짢아진 송암은 “눈이 없다고 사람을 통째로 버릴 수 있겠어요? 앞 못 보는 사람에게 모국어를 안 가르치면 이중의 불구가 되어 생활을 못하게 되는 것이외다. 눈 밝은 사람들은 자기만 노력하면 얼마든지 읽고 쓸 수 있지만, 실명한 이들에게 조선말까지 빼앗는다면 눈 먼데다 벙어리까지 되란 말이오?” 송암의 절실한 항의에 기세등등하던 일인 부장은 무색하여졌다.

이 사건은 알고 보면 대단한 쾌거로서, 전국에 우리말과 글을 없앤 것으로 일인들은 알고 있지만, 굽은 나무가 선산 지킨다고 제생원 맹아부에서는 우리말을 배우고, 우리 점자한글을 가르치고 배우는 일이 해방될 때까지 계속되었으니, 생각할수록 참으로 가슴벅찬 일이다.

1912년 3월 24일, 제10회 졸업식을 가짐으로써 송암이 길러낸 제자가 79명에 달했다. 당시 인구 2000만 중에서 79명, 그것은 소수임이 분명하나 아흔아홉 마리 제자리 있는 양보다 집 잃은 한 마리 양이 더욱 애처롭듯이, 교문 떠난 눈먼 어린 양 떼들은 갈 바를 몰랐다. “뭉치면 살고, 헤어지면 죽는다”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졸업식 후 신체장애인단체로서 조선맹아협회(朝鮮盲啞協會)를 발족함으로써 대외적으로 교섭단체가 생겼으니, 맹아계에 한 획을 긋게 되었다. 이 자리에서 송암은 “눈과 귀는 형제이므로 비록 상처는 다를망정, 같은 불행 앞에 제생원이라는 한 울타리에서 자라난 너희들은 뭉쳐야 산다”고 격려하였다.

1922년 송암은 이제 35세의 장년기에 들어섰다. 사람이 공사에 몰두하면 가사에는 등한시해지기 마련이다. 송암도 예외가 아니어서 조용히 있다가도 별안간 ‘어찌하면 좋단 말인가!’ 하기 일쑤였는데, 이에 놀란 부인 김경내(金景乃)가 “왜 그러세요?” 말한다. 이런 땐 송암은 거의 “맹인들 일이외다” 하며 평소 즐겨 쓰는 고어(古語) 투가 나오고 수심에 잠겼다.

송암은 26세 때에 제생원에 부임했고, 1922년 4월 신학년과 더불어 기숙사 사감으로 위촉되어 제생원 문 옆의 방으로 이사하니, 사감에서 문지기까지 겸하게 되었다. “곡식은 주인의 발소리에 자라고, 맹아는 안내자의 사랑으로 자란다”는 철저한 애맹(愛盲) 정신은 문지기보다 더한 잡직도 감수할 수가 있었다. 그리하여 사감의 자리를 이어받는데 서슴지 않았다. 결국 이불 밖에서 이불 속으로 들어갈 때까지 맹아의 안내자가 됨으로써, 송암의 맹교육은 본 궤도에 오르게 된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