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길청 경제칼럼] ‘노령인구 대책’이 지방선거 결과 좌우할 수 있다

[아시아엔=엄길청 글로벌사회경영평론가] 언론에서 우리나라 농촌인구 분포를 보도하면서 “2017년 12월 현재 60대가 134만명으로 55.3%, 70대가 73만명으로 30.1%”라며 “초고령화가 심각한 문제”라는 해석을 달았다.

이러한 현상의 이면에는 아이 출산이 줄어들고 젊은이의 도시유입이 늘어나는 것도 영향이 있다. 이와 함께 노인들이 꾸준히 장수하고 있는 사회적 요인도 무시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노인을 사회적 비용이나 부담으로만 인식하는 대신 전향적인 시각이 필요하다.

향후 도시고 농촌이고 노인인구는 필연적으로 늘어나게 되어 있다. 노령인구는 갈수록 소중한 사회적 자산 혹은 미래 잠재력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바야흐로 100세 시대가 다가온 것이다. 이런 추세로 가면 60, 70대 연령대가 어디에 속하게 될지는 섣불리 예단하기 어렵다. 미국의 경우도 템파와 피닉스, 달라스는 주택구입 노령인구가 급속히 늘고 있다. 2009~2015년 템파는 주택구입 노령인구가 61%, 피닉스는 59%, 달라스는 46% 각각 늘었다. 보스톤의 워터스톤에 고급으로 잘 지은 시니어리빙단지는 입주자 평균나이가 82세다.

일본은 지금의 우리와 흡사하던 2004년의 경우 저축액 평균이 △30대 5000만원 △40대 7000만~8000만원 △50대 1억2000만~1억5000만원 △60대 1억5000만~1억6000만원 △70대 1억5000만~2억원으로 나이가 들수록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요즘 들어 우리나라도 50대 이상의 취업인구 증가율이 젊은이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노인들이라고 하여 놀면서 대책 없이 나라 돈이나 젊은이 몫을 축내는 세대가 아니다. 농촌에 살더라도 약간의 토지자산이나 주택을 가진 이들이 많다. 도시에 사는 60~70대는 우리나라 산업화의 주역으로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 기간이 그래도 꽤 긴 편이어서 개인들의 자산구조도 타연령대보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다. 현재 연금수급자만 보아도 이 세대에 집중되어 있다.

장차는 이런 분들이 어떤 경제활동을 하느냐에 따라 농촌과 도시 경제가 좌우될 수 있다. 게다가 이제 인공지능이나 로봇 등이 등장하면 노인 중에서 이들 지능기계를 잘 다루면 육체적·정신적 제약을 넘어 농축산·어업·상공업·금융 등 뭐든지 일할 수 있게 된다.

60, 70대의 알찬 자산들이 지속적·효과적으로 지역경제 활동에 순환하여야 공동체가 되살아나고 젊은이들에게 활력을 줄 수 있다.

시니어경제는 이제 지역의 새로운 생존동력이 돼야 한다. 농협·수협·신협·우체국 등 지역성 짙은 금융기관의 경우 철수 대신 축소시켜 임금은 낮고 경험은 많은 시니어들을 투입해 영업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

금융서비스 강국인 스위스나 싱가포르의 고액 자산가들 중에는 노인층이 많다. 심지어 이런 환경을 이용하기 위해 해외에서 이주해 오기도 한다. 저명한 대체투자가인 짐 로저스는 싱가포르로, 스웨덴 가구회사 이케아의 창업자 가족들은 스위스로 이주했다.

지역에서는 시니어들의 활발한 대외활동을 유도하는 환경조성이 중요하다. 뉴욕은 여유 있는 노인들이 사는 동네 주변에 산책로를 많이 만들어 지역소비를 촉진시키고 있다. 교외의 부유층 노인지역은 급행 철도를 시내 다운타운으로 연결·운행하고 있다. 추운 지역인 헬싱키는 노인들의 쇼핑을 돕기 위해 전차식 대중교통을 편안하고 느리게 운행하고 있다.

이제 60, 70대를 단순히 연령인구 분포로만 봐서는 안된다. 그들의 경험과 의지, 그리고 경제기반 및 사회적 역량을 중심으로 살펴 총체적인 시너지를 높일 방안을 강구할 시점에 와있다.

6.13 지방선거에서 제대로 된 노령인구 대책을 내놓는 정당이 좀더 많은 당선자를 낼 가능성은 그 어느 때보다 높을 것이 틀림없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