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병돈 대기자 칼럼] 페루 vs 칠레의 4년 새똥전쟁을 아십니까?

인간의 탐욕이 부른 ‘미니 전쟁’

[아시아엔=민병돈 <아시아엔> 대기자, 전 육사교장] 거대한 남아메리카 대륙 페루의 태평양 연안은 길게 겹겹이 늘어선 바위들로 마치 아름다운 병풍을 두른 듯하여 보는 이들의 감탄을 자아낸다. 사람뿐 아니라 바다 새들도 이 절경을 즐기는 듯, 수많은 새들이 이곳에 살고 있다. 새들의 왕국이라 할 만하다.

동물이 있는 곳에는 동물의 배설물이 있기 마련이다. 그래서 그곳 바위들은 새똥으로 뒤덮이고, 새똥이 쌓이고 쌓여 산을 이룬다. 그 높이가 웬만한 빌딩을 연상할 지경에 이르렀다. 이에 주민은 쌓여만 가는 새똥 때문에 골치를 앓고 있었지만 속수무책이었고 정부 또한 마찬가지였다. 그러한 가운데 페루 정부는 물고기를 잡아먹고 사는 이 바다 새들의 똥 구아노(Guano)가 양질의 천연비료가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이 똥을 수거하여 농토에 비료로 쓰기도 하고 외국에 수출도 했다. 이에 따라 엄청난 경제 효과를 거두고 페루는 연평균 9%씩 경제성장을 이루게 되었다.

이렇게 되자 페루 정부는 구아노 수집에 박차를 가하며 수집범위를 확대해 나아갔다. 이어 인접한 칠레 국경 일대에 있는 거대한 구아노 집적지를 발견하여 이를 국유화하였다. 칠레 정부가 이를 가만히 지켜만 볼 리 만무였다. 칠레 사람들도 그동안 페루 정부의 구아노 수집 및 수출실적을 보고는 새똥을 수출하여 큰돈을 벌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칠레 정부는 페루 정부에게 구아노는 칠레에도 필요하니 함부로 가져가지 말라고 통보했다.

그러나 이미 구아노의 가치를 잘 알고 있는 페루 정부가 이를 순순히 받아들일 리가 없었다. 마침내 두 나라 정부 사이에 갈등이 빚어지고 갈등은 분쟁으로 이어지고 마침내 전쟁으로 발전하고 말았다. 그러나 전쟁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치밀하게 계획하고 준비해 온 대규모 병력 및 화력과 신속한 기동력을 발휘한 전쟁은 아니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쉽게 끝날 기미도 보이지 않았고 외국의 개입도 있었다.

이 두 나라 국민은 다른 남아메리카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원주민(인디오)과 유럽대륙에서 옮겨온 사람들 그리고 이 두 인종들 사이의 혼혈인들로 구성된 가톨릭교-스페인어 문화권을 이룬 사람들이다. 전쟁이 날이 갈수록 확대되고 치열해지자 인접국에도 전쟁의 영향이 미치기도 했다. 전쟁이 해를 거듭하자 결국 인접국들 정부가 나서서 종전을 호소하며 중재하기에 이르렀다.

두 나라 정부 대표들이 페루의 양콘에서 만나 회담을 시작하기는 했으나 좀처럼 종전을 위한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었다. 이미 바다새의 똥인 구아노의 경제적 가치를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지루하게 오랜 동안 계속된 협상에 양측 성직자들까지 나서서 독려함으로써 어렵게 어렵게 종전에 합의하게 되었다. 물론 여기에는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의 종전 방해공작도 있었다. 1883년 10월29일 ‘양콘 조약’을 체결함으로써 4년간 계속된 페루와 칠레 사이의 전쟁은 ‘새똥 전쟁’이라는 우스꽝스러운 이름을 남기고 막을 내렸다.

인간의 탐욕에서 비롯된 희극이요 비극이다. 그 아름다운 해안에서 평화롭게 살고 있는 새들은 그들이 바윗돌 위에 배설해 놓은 똥 덩어리들이 인간 사이의 전쟁 원인이 될 것을 알았다면 똥을 누기도 망설였을 지도 모른다. 만물의 영장, 인간이 부끄럽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