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 남북관계 1/11~20]1979 박정희, 남북최고당국자 회담 제의·2007 북미 베를린 양자협의

새해 초부터 북한의 4차 핵개발로 남북관계는 다시 경색되고 있는 상황이다.?남북관계는 긴장과 화해, 그리고 또다시 냉각과 대화를 되풀이 해왔다. 북한의 30대 초반의 김정은 국방위 제1비서의 일거수일투족에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그의 할아버지 김일성 주석은 김영삼 전 대통령과 남북정상회담 직전 사망했으며 아버지?김정일 국방위원장은 김대중, 노무현 두 전직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김정은 제1비서와?박근혜 대통령의 역사적인?남북정상회담은 과연 열릴 것인가?

과거 ‘남북관계사’를 되돌아보면 경색된 남북관계의 해결 실마리를 찾는 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아시아엔>은 손혁재 수원시정연구원장이 수집, 작성한 ‘오늘의 역사’ 가운데 남북관계 분야를 편집해 독자들께 전한다. 이 기획은 매월?세차례(1~10일, 11~20일, 21~말일)로 나누어 게재된다.-편집자

11일

1947 유엔총회 남북한 총선거 결의
1951 한국전쟁중 거창 양민학살사건 일어남

12일

1967 동베를린 사건, 이응로화백, 아들을 만나러 북한에 갔다가 동베를린간첩단 사건

1948 유엔 한국위 덕수궁에서 첫 회합, 서울에서 업무 개시, 북한 들어갈 수 있도록 소련 사령관에게 요청

1964 해방 후 첫 일본행 여객선 아리랑호 취항

1973 박정희 대통령 남북대화의 기본원칙 밝힘

-내용은 △한반도 전쟁 재발위험 제거 △남북한 평화적 관계 정립 △평화통일. 해결이 쉬운 것부터 시작해 실천이 축적되는데 따라 어려운 문제 해결

1977 박정희 대통령 연두기자회견에서 북한 측에 식량 무상원조 제의

1981 전두환 대통령 남북한 당국 최고책임자 상호방문 제의. 조건 없이 김일성 서울방문 초청

1988 북한 중앙방송 서울올림픽 불참 공식발표

1995 통일원 북한내 이산가족에게 제3국 통한 송금 가능 확인

2001 노근리사건 한미양국조사단 노근리사건이 미군에 의한 양민학살임을 인정

13일

1958 평화통일 주장했던 조봉암 등 진보당 간부 7명 간첩혐의로 구속

1969 서독 특별사절단 내한, 동베를린 사건 둘러싼 양국관계 논의

1979 남북조절위 서울측 조절위 및 직통전화 재개 촉구 성명

15일

1946 국군의 모체인 남조선 국방경비대 창설

1987 백령도 앞 공해에서 북한 경비정 선원 10명 탄 제27동진호 납치

1991 각종 국제경기 단일팀 구성 위한 제2차 남북체육회담 개최

1992 김우중 대우그룹 회장 경제협력 추진 위해 평양 도착. 김우중 회장 방북 결과 △1992년 상반기 가동 목표로 아시아 최대규모의 남북합작 봉제공장 해주에 건설 합의 1946 국군의 모체인 남조선 국방경비대 창설

16일

1946 미소공동위원회 예비회담 열림

1976 양일동 통일당 당수, 민주당한반도의 비핵지대화와 민간 주도의 남북대화 주장

1995 북한 외교부 부대변인 경수로 공급계약서에 한국형 명기 거부

1995 삼성그룹 방북조사단 나진-선봉 지역 개발 합의 발표

2007 북미 베를린 양자 협의(~1.18)

17일

1951 정부와 국회 유엔 정전안 반대(중국도 정전 거부)

1955 한미군사원조협정서 조인

1967 박정희 대통령 연두교서에서 통일정책 언급 “통일의 길은 경제건설과 민주역량의 배양으로 우리의 경제, 우리의 민주주의가 북한으로 넘쳐흐를 때 그것은 곧 통일이다.”

1994 정부 남북한의 핵재처리시설 보유금지 등 포함 한반도비핵화선언을 국제조약화하자는 미국정부 요구 거부

18일

1954 휴전협정에 따른 정치회담 예비회담(연락관 회의) 결렬

1958 6.25 때 파손된 한국은행 본점 재건 완료

1966 박정희 대통령 연두교서에 선경제후통일론 제시 “통일의 길이 조국근대화에 있고, 근대화의 길이 경제자립이다.”

1973 북한 3대혁명소조운동 시작

1974 박정희 대통령 남북상호불가침협정 체결 제의 △남북 쌍방이 무력 침략을 하지 않을 것 △상호 내정간섭을 하지 않을 것 △현행 휴전 협정의 내용 존속

1978 박정희 대통령 선평화후통일 밝히고 교류확대 문호개방 촉구

1979 박정희 대통령 남북최고당국자 회담 제의

1980 최규하 대통령 남북총리회담 적극추진의사 표명

1990 북경 아시안게임 단일팀 구성 위한 제7차 남북체육회담 개최, 남측은 친선교환경기 정기 개최 및 시설답사반 교환 등의 요구 철회

1995 폐연료봉 처리 관련 북미 전문가 회담 평양에서 열림(~1.23)

19일

1949 정부 남북협상 반대 성명

1981 북한 김일 부주석 조국평화통일위 성명으로 1.12 제의 거부

-북한이 남북한최고책임자 상호방문제의를 거부하면서 요구한 남북대화재개의 전제조건 △현 남한정부 퇴진 △김대중 비롯 정치범석방 △반공관계법 폐지와 반공기관 해체 △6.23선언 철회 △주한미군 철수

20일

1975 김영삼 신민당 총재 4개국(미소일중)에 의한 남북상호승인 제안

1979 박정희 대통령 연두기자회견에서 북한에 대화 제의 “때와 장소에 관계없이 그 사이 남북한이 상호 제시하여 온 모든 분야의 제문제에 대하여 직접 협의하기 위한 대화의 장을 설치할 것”

1986 북한의 경제회담 대표단-적십자회담 대표단-국회회담 대표단 성명

-팀스피리트 훈련을 비난하고 지금까지 남북회담은 군사 훈련 종료 후 회담의 분위기가 호전된 시점에서 계속한다는 입장을 밝힘

1992 최호중 부총리, 통일원 장관 남북합의서 채택의 후속조치 보고

-후속조치로 늦어도 상반기 안에 △남북 군사당국자 간 직통전화 설치 △군사력균형 실현 남북협상 착수 △남북 직교역항 지정수송로 연결 △청산결제은행 개설 등 추진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