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 남북관계 1/21~31] 1982 전두환 ‘민족화합민주통일방안’ 발표 2013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결의안 채택

21일

1968 김신조 등 북 무장공비 31명 청와대 인근까지 기습

22일

1951 국군 중국군에 대한 전면 공격 시작

1959 반공청년단 결성

1982 전두환 대통령 국정연설에서 ‘민족화합민주통일방안’ 발표

* 주요 내용:남북대표가 가칭 민족통일협의회를 구성, 이 기구에서 통일헌법을 기초하고, 통일헌법에 따라 총선거 실시하여 통일국회와 통일정부 구성

* 민족화합을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로서 ‘남북한기본관계에 관한 잠정 협정’ 체결

* 잠정협정 7개항: 1) 호혜평등의 원칙 2) 무력 및 폭력 사용 지양 3) 상이한 정치 사회 제도 인정 및 내정불간섭 4) 군비경쟁 지양과 군사적 대치 상태 해소 5) 상호교류와 협력을 통한 상호개방 추진 6) 국제조약과 협정 존중 및 민족의 이익에 관한 문제 협의 7) 서울과 평양에 상주 연락대표부 설치

1992 북한 김용순 당 국제담당비서-미국 아놀드 국무차관 뉴욕에서 첫 차관급회담

-북미 수교문제 협의. 미국은 관계개선의 조건 5개항(핵사찰 수용, 남북대화 진전, 미국에 대한 선동 중지, 테러리즘 포기 선언, 한국전 당시 미군병사 유골 반환문제 해결) 제시

1995 경수로 사업지원기획단 통일원 산하 기구로 발족

23일

1961 사회대중당 김달호 영세중립화를 위한 통일방안 발표

1968 미국 정보수집함 푸에블로 호 원산 앞바다에서 북한에 끌려감

-83명(장교 6, 사병 75, 민간인 2명) 태운 채 북한 해안에서 40km 떨어진 동해 공해상에서 북한 초계정 4척과 미그기 2대에 의해 강제로 끌려감, 그 와중에 1명 총격 사망

-1968.2.2부터 판문점에서 28차례 북미 비밀협상. 미국이 북한요구대로 영해침범 시인과 사과 요지의 승무원 석방문서에 서명한 뒤 82명과 유해 1구가 1968.12.23 판문점 통해 돌아옴. 배와 장비 일체는 몰수당해 돌려받지 못함

1971 김대중 후보 연두회견에서 소련 등 동구권과 외교전개 필요 언급

1971 속초 상공서 KAL기 납북하려 한 범인과 조종사 격투 2명 사망

1975 국방부 북한의 대남비방방송 개시 발표

2013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결의안 2087호 채택

24일

1946 남한에 반탁투쟁위원회 결성. 신탁통치를 미국 10년 소련 5년 주장했다고 모스크바에서 방송

1963 로잔에서 남북단일팀구성 위한 남북한올림픽위원회대표회담, 도쿄올림픽단일팀 출전합의

1989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 6.25 이후 기업인으로는 첫 북한방문 2주간 체류

1992 북경에서 북일 항공회담. 1년간 양국간 직행전세기 운항 각각 80편씩 인정하기로 합의

25일

1954 베를린 4국(미영프소) 외무장관회의. 판문점 예비회담에서 결렬된 한국문제를 제네바에서 토의하기로 결정

1977 북한, 평양방송 통해 불가침협정제의 거부하고 남북정치협상회의 제의

26일

1950 한미상호방위원조협정 조인

27일

1948 김구, 유엔 한국위에서 남북주둔군 철수 후 자유선거 실시 주장

1959 소련 <프라우다> 평양특파원 이동준 기자 판문점에서 취재중 귀순

1964 북한 <로동신문> 소련의 평화공존 노선 반박

29일

1958 주한미군 핵무기 도입 공식 발표

1961 김회일 북한 교통상 남북철도연결 제안

1990 국방부 주한미공군의 기능 통합 및 기지 재조정 계획 발표

1990 북경아시안게임 단일팀 구성을 위한 제8차 남북체육회담 열림

2002 부시 미국대통령 일반교서 연설에서 북한을 ‘악의 축’으로 규정

30일

1991 북일 수교회담 시작

31일

1957 북한 적십자회 대한적십자사 총재에게 남북서신교류 제안

1970 북중 압록강-두만강의 항해협정 체결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