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대권행보에 ‘탄력’
새누리당이 30일 전국 15곳에서 치러진 재·보선에서 압승함으로써 갓 출발한 김무성 대표 체제가 힘을 받게 됐다. 나아가서 김무성 대표의 대권가도도 비교적 더 크게 열린 셈이다.
7·14 전당대회를 통해 당 대표로 선출된 후 불과 보름 만에 치러진 재·보선에서 승리함으로써 ‘김무성 대표 체제’는 리더십을 평가받아 일단 순항하게 됐다.
후보 공천은 이완구 비대위원장(원내대표) 체제에서 이뤄졌지만 김 대표가 선거전을 전면에서 진두지휘했고 완승이라는 결과를 끌어낸 것이다.
특히 김 대표는 6·4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이 ‘박근혜 마케팅’에 의존했던 선거 전략에서 벗어나 혁신, 경제살리기, 지역일꾼론 등을 내걸고 승리를 일궈냈다는 점에서 당의 자생력을 키웠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더구나 세월호 참사와 잇따른 인사실패의 후폭풍이 가시지 않는 등 여권으로서는 녹록지 않은 선거 여건이었다는 점에서 이번 승리는 당 지도부의 운신폭을 크게 넓혀 주었다.
당초 새누리당이 패배할 경우 여권내 갈등이 증폭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김무성 체제의 조기 안착에 차질이 빚어지는 것은 물론 당 지도부로서는 세월호 책임론과 인사 파동 등을 이유로 청와대 책임론을 제기할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친박계가 청와대를 방어하고, 이 과정에서 김 대표와 친박계 좌장격인 서청원 최고위원과의 갈등이 표면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없지 않았다.
그러나 새누리당이 사실상 대승함으로써 여권내 갈등 소지는 상당부분 해소된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연착륙에 성공한 김무성 대표로서는 넓어진 정치적 입지속에 한결 유연한 리더십을 펼칠 것으로 보이고, 표면적으로 계파를 초월한 당·청 공조 체제속에서 혁신과 경제살리기에 박차를 가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을 가능성이 크다.
선거 승리에 따라 당·청간 협력·공조 모드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김무성 체제가 힘을 받음에 따라 향후 당·청관계에 ‘양날의 칼’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김 대표가 2016년 총선, 2017년 대선을 겨냥해 당·청 관계에서 보다 강한 입장을 취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 김 대표가 지휘하는 새누리당과 청와대의 관계가 어떻게 흘러갈지가 관심의 대상이다.
당 대표 선거에서 패배한 후 칩거하다 선거를 목전에 두고 당무에 복귀한 서청원 최고위원이 향후 어떤 스탠스를 취할지도 주요 변수다.
김 대표는 조만간 그동안 보류했던 당직 인사를 마무리, ‘김무성 체제’를 완성하는 한편, 8월 중순이나 말께 당 소속 전체 의원들이 참석하는 연찬회를 통해 당의 구체적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탕평인사를 강조해온 김 대표가 자신의 체제를 구축하면서도 당직 인선에서 친박 인사를 어떻게 활용할지도 향후 당내 지형을 가늠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이번 선거에서 승리해 3선 국회의원으로 여의도에 다시 돌아온 친이(친이명박)계의 나경원(동작을) 의원과 청와대 홍보수석을 지낸 친박계 핵심 이정현(순천·곡성) 의원의 역할도 주목된다.
나경원 의원은 최대 승부처였던 서울 동작을에서 야권 연대에 맞서 승리를 이끌었고, 이정현 의원은 1988년 소선거구제 도입후 처음으로 광주·전남지역에서 승리를 거머쥔 공로를 바탕으로 정치적 지분을 내세울 수 있기 때문이다.
대중적 인기에다 정치적 상징성까지 갖추고 있는 이들은 당내 역학 변화의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 안철수 공동대표가 사실상 ‘아마추어 정치인’의 면모를 탈각하지 못했다. 7·30 재·보선 참패의 책임을 지고 31일 대표직에서 전격 사퇴하는 것은 거의 불가피한 수순이다.
지난 3월26일 야권 통합으로 출범한 김·안 투톱 체제의 도중하차로 당은 직무대행 선출 또는 비상대책위 구성 등 ‘비상체제’로 전환될 전망이다.
두 대표의 퇴진이 현실화된다면 김·안 대표 체제는 내년 3월로 예정된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통합신당 창당 후 4개월여만에 막을 내리게 되는 셈이다.
두 대표 외에 지도부가 총사퇴할 가능성도 있다. 일단 당헌에 따라 박영선 원내대표가 대표 직무대행을 맡게 된다.
이에 따라 박 원내대표는 대표직무대행을 수행하면서 비대위 체제 전환 등을 통해 선거 참패 후당을 추스르고 재건 작업을 지휘하게 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그렇게 될 경우 박영선 원내대표에게는 뜻하지 않은 기회가 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