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가 전국적 비판의 중심에 서 있다. 다름 아닌 2025년부터 시행 중인 ‘동학혁명 유족수당’ 때문이다. 이게 말이 되는 일인가?
“우리 선조가 임진왜란 때 희생된 걸 다 알지 않느냐? 서로 보증을 서서 유족수당을 받자”고 농담처럼 말하곤 했다. 정여립 사건, 병자호란, 홍경래란의 피해자들까지 보상한다면, 이 나라가 어떻게 존속할 수 있겠는가?
유족들에게 묻고 싶다. 귀하들의 선조가 정말 동학농민혁명의 피해자인가를 증명할 수 있는가? 1989년 정읍 황토현에서 김남주 시인을 초청해 ‘갑오농민의 혼이여, 타올라라, 통일의 불길로’라는 문화행사를 했을 때, 안기부 정읍지부가 텐트를 치고 감시할 정도로 ‘황토현’이란 말조차 금기였던 시절, 동학 후손이라 자처한 사람이 있었는가?
재작년 잼버리 실패로 지역 분위기가 가라앉은 지금, 전북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중대한 시점에, 세인의 눈앞에 유족수당이라는 황당한 정책으로 입방아에 오르는 일은 어리석다.
전라북도는 이제라도 대승적 결단을 내려야 한다. 동학농민혁명의 후손들에게 현금을 지급하는 제도를 폐지하고, 대신 동학 지도자들과 농민들의 희생정신을 기리는 역사교육과 문화사업을 강화해야 한다. 자랑스러운 역사 인물로 추모하고 예우하는 길만이 후손과 지역 모두를 위한 미래의 길이다.
필자는 오랜 세월, 역사 현장을 추적하고 글을 쓰며 살아왔다. 1980년대 중반부터 동학을 공부하며 ‘황토현문화연구소’를 세웠고, 1995년에는 첫 책인 <동학의 산, 그 산들을 가다>를 펴냈다. 이후 2000년에는 <한국사, 그 변혁을 꿈꾼 사람들>(이학사)을 출간했다. 이 책에는 후백제를 창건한 견훤, 비운의 시인 정지상과 묘청, 망이 망소이 난, 요승으로 평가받는 신돈, 조선 건국의 주역 정도전 등이 등장한다.
동학은 더 이상 ‘보상’의 대상이 아니라, 우리가 되새기고 계승해야 할 ‘정신’의 대상이다. 현금이 아니라, 기억과 기림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역사의 진정한 가치는 돈이 아닌 뜻을 잇는 데에서 비롯된다.
131년 전에 일어난 ‘혁명(동학농민혁명) 주체’의 ‘후손(증손자?)’들에게 ‘수당’을 지급하기 보다는… 차라리 매해 ‘동학농민혁명 기념일(5월 11일)’에 ‘비폭력 혁명’을 전제로, 가칭 ‘혁명 대회’ 또는 ‘혁명 콘테스트(contest)’를 대규모로 개최한는 것이 ‘동학농민혁명’의 뜻을 ‘최고로 기리는’… 가장 훌륭한 ‘미래지향’적 방법이 될 것입니다.
‘최고의 전문가(정치학, 사회학, 역사학, 문화인류학 등)’를 평가위원으로 모시고, 혁명의 ‘의의’와 ‘방법’ 및 ‘구체적 로드맵’ 등을 평가하는 ‘검증의 절차’가 있어야 할 것입니다. 또한 ‘대다수 국민’이 혁명의 필요성을 충분히 이해해야, 이후 ‘혁명 성공’이 가능하기에 ‘100% 국민참여’로 ‘수상자 1인(또는 ‘1팀’)’를 결정해야 합니다.
수상자 1인(또는 ‘1팀’)에게는 ‘대대적인 홍보’와 함께 ‘충분한 지원’ 및 혁명을 추진할 ‘공간’이, 최고의 전문가(정치학-사회학-역사학-문화인류학 등)인 ‘평가위원’이 정한 ‘일정 기간’ 동안 ‘정확하게 제공’되어야 합니다. 그 정해진 ‘일정 기간’ 내에 ‘대다수 국민’에게 “지금 시대에 ‘진짜 혁명’이다!”라는 인식이 확실하게 뿌리 내리면, 모든 지원은 중단됩니다. 모든 지원이 중단되어도 “지금 시대에 ‘진짜 혁명’이다!”라고 ‘대다수 국민’에게 인식된다면… ‘대다수 국민’의 전폭적 지원으로 ‘혁명’은 이미 ‘시작’된 것이고… 확실하게 ‘절반의 성공’이 확보된 것입니다.
( https://blog.naver.com/ryu8689/223901454287 중 ‘7월 2일 추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