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도를 넘은 행보가 점점 더 극단으로 치닫고 있다.
트럼프는 25일(현지시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 마지막 일정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신에게 비판적인 언론들을 싸잡아 비난했다. CNN, 뉴욕타임스(NYT), MSNBC 등 이른바 ‘좌파 성향’ 매체들에 대해 “가짜뉴스를 만들지 말라”며 공개적으로 맹비난한 것이다.
트럼프의 이 같은 반응은, 지난 21일 미국이 감행한 이란 핵시설 공습과 관련해 정보 당국의 초기 피해 평가 결과가 기대에 못 미쳤다는 언론 보도가 심기를 거슬렀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제는, CNN과 뉴욕타임스 등의 보도가 ‘가짜’가 아니라는 점이다. 이들 언론은 국방정보국(DIA)의 내부 문서를 입수해, “이번 작전에는 B-2 스텔스 폭격기가 대거 동원됐지만, 실제로 이란의 핵 프로그램을 수개월 지연시키는 데 그쳤다”고 보도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분석도 이를 뒷받침한다. 이란 핵시설의 실질적 피해는 거의 없었고, 벙커버스터 폭탄의 침투 깊이가 약 60m에 불과해 90m 지하에 위치한 핵시설을 파괴하기엔 역부족이었다는 것이다.
결국 전문가들은 이란이 보유한 고농축 우라늄 408kg, 즉 핵폭탄 9기 분량은 ‘안전하게’ 보호되고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한다.
그렇다면 진짜 ‘가짜뉴스’는 과연 누가 퍼뜨리고 있는가?
트럼프는 22일에 이어 이날도 “이란의 핵 프로그램은 분명히 파괴됐다”, “그들은 다시는 핵을 가질 수 없을 것”, “우리가 비행기로 핵시설을 공격했을 때 전쟁은 실질적으로 끝났다”고 주장했다. 정작 가짜뉴스의 진원지는 다름 아닌 트럼프 자신인 셈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트럼프의 이번 공습이 외교적 금도를 넘은 무리한 폭거라는 점이다. 당시 미국과 이란 간 핵협상은 5차까지 진행된 상태에서 일시적 소강 국면에 접어든 상황이었다.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인 2001년, 미국은 이란, 이라크, 북한 등을 ‘불량국가(rogue state)’로 지칭하고, 이들이 ‘테러를 지원하는 정권(regimes that sponsor terror)’이라며 ‘악의 축(axis of evil)’이라는 낙인을 찍었다.
그러나 오늘날 상황을 되짚어보면, 오히려 ‘불량국가’나 ‘악의 축’의 이미지는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이 더 잘 어울리는 듯하다.
그렇다면 미국은 왜 이러한 비난을 감수하면서까지 전쟁에 집착하는 것일까? 그 답은 간단하다. 바로 군산복합체(military-industrial complex)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다.
대표적으로 벙커버스터, JDAM 등 고가의 폭탄을 제조하는 업체는 미국 최대의 군수산업체인 보잉(Boeing)이다. 전쟁은 곧 그들의 주머니를 불려주는 가장 빠르고 확실한 수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