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책산책] ‘이기적 논어 읽기’···심리학으로 버무린 논어의 지혜

[아시아엔=김혜원 인턴기자] 현대사회에서 ‘욕망’을 빼고 무슨 말을 더 할 수 있을까. 더 많은 돈, 더 좋은 직장, 더 안락한 삶. 크고 작은 어떤 일도 모두 우리 마음 속 무언가로부터 시작한다. 특히 오늘날 사람들은 그 어느 때보다도 솔직한 세대를 살고 있다. 마음껏 욕망을 좇고 표현한다.

그럼 욕망을 드러내고 이를 이루는데 거리낌 없는 사회는 우리를 더 행복하게 만들어 주었나?

욕망이 실현되면 될수록, 가슴 속에선 또 다른 욕망이 피어난다. 그럼 우린 여러 욕망 가운데 어떤 것을 우선해야할지 고민에 빠진다. 자유에 대한 갈망과 권력욕은 상종(相從)할 수 없고, 진실을 알고자 하는 욕망과 안전을 추구하는 욕망이 부딪힌다.

욕망은 끝없이 살을 붙인다. 끝내 거대해진 욕망은 마음 속 깊이 자리했던 ‘도덕마저도 뒷방 늙은이 내쫓듯’ 몰아내고야 만다. 이를 증명하듯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는 뇌물로 얼룩진 정치인과 성범죄에 연루된 유명인 이름이 쉴 새 없이 오르내린다.

이런 갈등 속에 있는 사람들에게 한의사 김명근은 ‘논어’에서 답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 말한다. ‘현대 심리학의 눈으로 본 논어’라는 부제가 붙은 <이기적 논어 읽기>(개마고원, 2015)는 공자의 논어를 심리학의 관점에서 풀어준다.

‘논어’라는 말에 지레 딱딱하고 어려울 거라 짐작하는 독자도 있을 거다. 하지만 책 머리말을 본 순간, 그 걱정이 기우라는 사실을 금세 알게 될 것이다. 저자 김명근은 “논어를 통해 도덕을 닦고, 대단한 사람이 되자는 게 아니라”, “좀 마음 편하게 살고 싶다는 아주 이기적인 이유로 논어를 읽는다”고 말한다.

<이기적 논어 읽기>는 △소유 △경쟁 △비교 △독선 △다름 △자존 △옳음 △곧음 △어짊 △배움 등 총 10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군자가 되면 자연스럽게 그렇게 된다는 것과, 그렇게 하면 군자가 된다는 말은 전혀 다르다.”(18쪽)

“그런데 동물과 사람은 큰 차이가 있다. 동물은 자기가 먹고 살만큼만 확보되면 더 이상 욕심을 부리지 않는다. 그게 인간과 다르다. 그렇다면 인간에겐 ‘적절하다’는 기준이 없는 것일까? 무조건 많으면 좋은 걸까?”(34쪽)

“곧음 마당에서 ‘부족하면 차라리 위축되는 편이 낫다. 떳떳함을 가장하면 왜곡이 나온다’는 식으로 말한 바 있다. 마찬가지다. 내가 부족해서 어짊을 행할 수 없으면 마음 아픔을 감수해야 한다. 그 아픔을 간직하면서 지내다보면 어짊을 행할 방법이 슬며시 떠오른다. 현명해지는 것이다. 그래서 ‘현명한 사람은 어짊을 이롭다고 느낀다’고 말한 것이다. 하지만 마음 아픔을 피해 핑계를 만들다 보면 자신의 공감능력을 스스로 줄이게 된다.”(297쪽)

이 책은 논어와 심리학을 엮어 풀어낸 점이 특히 인상적이다.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두 학문은 저자의 손을 거쳐 많은 시너지를 내며 흥미를 자극한다. 논어를 본격적으로 공부하기에 앞서 한번 일독하길 권한다. 논어에 대한 이해와 흥미가 진하게 전해올 것이다.

편집국

The AsiaN 편집국입니다.

필자의 다른 기사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