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크③인간조건의 탐구자] 인간 승리, 그리고 여담 ‘육사 골프연습장’

“뭉크의 작품 ‘절규’는 현대문명이 초래한 정신적 공황을 너무나 절실하게 표현한 우리 자화상이며 그래서 그를 우리 시대의 ‘모나리자’라고도 부른다. ‘절규’의 배경은 우리 마음속에 자리한 북구 하늘의 어둡고 칙칙함과 달리 강렬한 적·청·황색으로 비현실적 느낌을 준다. 노르웨이 오슬로의 홀멘콜렌 언덕에서 지난해 12월 7일 오후 3시 45분 석양의 불타는 하늘을 접하기 전까지는 그 색깔들이 뭉크의 상상의 산물인 줄만 알았다.” 최병효 주노르웨이 전 대사가 어느 매체에서 쓴 글이다. 노르웨이 출신의 뭉크(Edvard Munch, 1863-1944)는 현대미술사에 많은 영향을 끼친 표현주의의 거장이다. 지난 5월 22일 시작한 ‘에드바르 뭉크: 비욘드 더 스크림(Beyond the Scream)’ 전시회가 9월 19일(목)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막을 내린다. <아시아엔>은 최병효 전 대사의 글을 세 차례에 걸쳐 싣는다. <편집자>
 
“Life” (정면, The Munch Room, Oslo City Hall)

[아시아엔=최병효 주노르웨이 대사, LA총영사 역임, <그들은 왜 순국해야 했는가> 저자] 뭉크는 우울하고 암울한 그림들뿐 아니라 밝고 아름다운 그림도 많이 그렸는데, 특히 노벨평화상 수상식이 열리는 오슬로 시청 벽에는 사과나무, 즐겁게 일하는 노동자 등을 주제로 한 많은 밝은 대형 그림들과 각종 천정화가 그려져 있다.

여담으로, 문재인 대통령이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의 북구 3개국 순방 중 2019년 6월 12일 노르웨이를 방문 ‘오슬로 포럼’에서 ‘국민을 위한 평화’라는 주제로 한반도 평화에 관한 기조연설을 하는 것을 국내 지상파 방송들이 중계하는 것을 보았다. 장소는 나도 몇 번 가봤던 오슬로대학 강당으로, 연단 뒤와 옆의 벽면 전부에 모두 뭉크가 그린 대형 유화 ‘The Sun'(1910-11년작, 크기 35m²=10.6평)을 포함하여 ‘History’, ‘Alma Mater’ 등 ‘노르웨이의 기념비적 작품(Norwegian Monumental Painting)이라는 11개의 그림(합계 68평 크기, 1916년 완성)이 걸려 있다.

뭉크는 이 작품들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선언하였다고 한다. “나는 이 장식품들이 완전하고 독자적인 사상의 세계를 형성하기를 바랬다. 그리고 그 작품들의 시각적 표현이 분명히 노르웨이적이면서도 동시에 보편적으로 인간적이기를 원했다.”(I wanted the decorations to form a complete and independent world of ideas, and I wanted their visual expression to be both distinctively Norwegian and universally human)

문재인 대통령의 연설 전과 연설 중에도 자연스럽게 그 벽화들이 화면에 보였는데 방송이나 연설에서 이 벽화들에 대한 언급이 없어서 많이 놀랐다.

연설 시작 전에, 뭉크의 유명한 그림으로 온 벽이 장식된 뜻 있는 장소라고 언급하는게 자연스러운데 우리 언론은 이를 모르는지 그런 것은 관심 사항이 아닌지 아무 언급이 없었다. 문재인 대통령 연설은 아무런 내용도 없는 지루한 것이었다.

연설을 시작히며, 뭉크의 기념비적 그림들 앞에 서게 되어 영광이라고 한마디 했더라면 노르웨이 청중들의 박수를 받았을 것이고, 노르웨이 정부에 대한 예의이기도 했을 것이다. 그 그림에 대한 관심 표명이 없었으니 한국인들의 문화에 대한 무관심을 노출한 부끄러운 일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1930년대 히틀러가 집권 후 뭉크, 피카소, 마티스, 고갱, 파울 클리 등의 그림을 퇴폐적이라고 금지하고, 1939년 9월 폴란드 침공에 이어 1940년에는 노르웨이를 점령함에 따라 서둘러 강당 벽에서 그 그림들을 떼어내어 오슬로에서 1시간 반쯤 떨어진, 나도 가끔 스키를 타러 갔던, 산간지역 Kongsberg의 광산에 숨겨둔 사연이 있다고 한다.

국가 정상의 해외 순방시에는 다방면에서 상호 이해를 증진하도록 수준 높은 준비가 필요한데 우리는 아직 중간 이하의 외교를 하고 있다는 느낌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당시 일부 국내 언론은 “김정숙 여사가 단독일정으로 Munch Museum을 관광한 것이 폭로됐다”고 비판하기도 했는데 정부나 언론이나 그 수준이 그 수준이 아닌가 해서 씁쓸하였다.

오슬로대학 강당 벽면에 걸린 뭉크의 대형 유화들(정면이 ‘The Sun’)

모쪼록 이런 세계적인 작가들의 국내 전시가 있을 경우에는 시간을 내서 가보며 개인의 문화적 소양을 높이는 것이 애국하는 일의 하나라는 생각이 든다. 70년대와 80년대 영국에서 보니 우리 대사관 직원 중에는 부임 직후부터 주말 이틀 모두 골프를 치느라 시간이 없어 3년 근무 중 British Museum에도 못 가 보고, 서울로 귀국하기 작전에야 부랴부랴 시간을 내어 그곳을 찾는 사람도 있었다. 한국에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야 가능한 골프가 시간이 많은 은퇴자들이나 기업들에게는 사업상 좋은 운동일지 모르나, 현직의 젊은 공무원이나 군인, 언론인, 학자들에게까지 그리 중요한 것인지 나로서는 예나 지금이나 의문이 크다.

지난 수년간 겨울을 제외하고, 나는 매주 한두 번 중랑천을 따라 자전거를 타고 화랑대역까지 가서 의자에 앉아 잠시 쉬는데 바로 앞의 육사 정문이 눈이 크게 들어온다. 역 건너편으로는 서울여대가 역시 크게 보인다. 그 대학의 작은 뒷 산 너머에서 하숙을 하며, 1968년 대학 1학년을 서울공대 광산학과 건물에 급조된 교양과정부에서 허송세월 했던 인연이 있는 곳이다.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정문 풍경. 정문을 압도하는 교정 내 웅장한 골프연습장. 2024년 9월 육사 골프연습장 풍경이다.

그런데 매번 눈에 거슬리는 것이 육사 정문 바로 안쪽에 있는 길이 220m를 자랑하는, 1백억대의 국가 예산이 들었을 것 같은, 크고 높은 골프연습장이다. 대한민국의 안보를 짊어질 젊은 생도를 교육하는데 골프가 그리 중요할까? 매일 그 높고 큰 골프연습장을 바라보며 학습하는 생도들의 머리 속에 무엇을 심어주고자 하는 의도일까?

육사 내 어디 있는지 보이지도 않는 조그마한 ‘홍범도 흉상’을 철거하는 일이 국가적 과제처럼 떠올라 시끄러웠지만 육사 정문을 압도하는 흉물을 철거해야 된다는 목소리는 들은 바 없으니 나 혼자만의 잘못된 생각인가 하는 의구심도 든다. 하지만 ‘육군사관학교’가 아니라 ‘육군골프사관학교’라는 별칭이 붙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금하기 어렵다. 강호제현江湖諸賢의 관심이 필요할 듯싶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