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깐묵상] 나눔과 베품···제삿날이 곧 잔칫날

‘화목제(和睦祭)’라는 말은 히브리어로는 ‘살렘’으로, ‘화해하다, 조정하다’라는 뜻이다. 하나님과 관계가 단절된 사람이 화목제를 드려서 하나님과 관계를 다시 조정하는 제사를 말한다. 화목제는 제사를 드리는 목적에 따라 ‘감사제’ ‘서원제’ ‘자원제’로 구분한다. 감사제는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할 때, 서원제(誓願祭)는 하나님께 무엇을 서원할 때, 자원제(自願祭)는 자발적으로 하나님을 즐겁게 하고자 할 때 드렸다. 자원제는 일명 낙헌제(樂獻祭)라고도 불렀다.


레위기 7장

“감사함으로 드리는 화목제물의 고기는 드리는 그날에 먹을 것이요 조금이라도 이튿날 아침까지 두지 말 것이니라”(레 7:15)

소 한 마리는 몇 인분일까요? 200g을 1인분으로 쳤을 때, 400kg의 소 한 마리를 잡으면 775인분이 나온다고 합니다. 한 사람이 매일 삼시세끼를 2인분씩 4개월 동안 먹으면 소 한 마리를 다 먹을 수 있습니다.

레위기 7장에는 화목제를 드리고 난 후 남은 고기를 처리하는 규정이 나옵니다. 제물의 내장과 기름만 태우고 나머지 고기는 먹도록 되어 있습니다. 문제는 제사를 드린 당일에 고기를 다 먹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예외의 경우를 고려하더라도 이튿날까지는 다 먹어야 합니다.

소, 양, 염소 한 마리를 무슨 수로 하루만에 다 먹을 수 있을까요? 비둘기를 제물로 선택하면 고기 처리가 쉬워지겠지만 안타깝게도 비둘기는 화목제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이 규정입니다. 무조건 소나 양이나 염소 중에 하나를 잡아야 합니다.

이 엄청난 양의 고기를 하루에 먹을 수 있는 방법은 단 하나밖에 없습니다. 나누어 먹어야 합니다. 양이나 염소같은 경우에는 수십명, 소는 수백명이 같이 먹어야 합니다.

누군가 화목제를 드렸다면 그날은 온 동네가 고기 파티를 벌이는 날입니다. 사람들이 화목제만 잘 드려도 주변에 굶고 지내는 사람은 없어지는 것입니다. 화목제가 왜 화목제(peace offering)인지 이해가 가시나요? 하나님을 향한 감사와 경배가 사람들 사이에서 어떻게 표현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제사가 화목제입니다.

예수님은 화목제물로 이 땅에 오셨습니다. “지극히 높은 곳에서는 하나님께 영광이요 땅에서는 하나님이 기뻐하신 사람들 중에 평화로다”(눅 2:14) 하나님께 영광은 반드시 사람들 중에 평화로 나타납니다.

성찬이라는 것도 화목제물 되신 예수님의 몸을 나누어 먹는 의식입니다. 소는 기껏해야 수백명이 나누어 먹을 수 있지만 예수님의 몸은 온 인류가 다 나누어 먹어도 남을만큼 풍성한 양식입니다.

“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살아 있는 떡이니 사람이 이 떡을 먹으면 영생하리라 내가 줄 떡은 곧 세상의 생명을 위한 내 살이니라”(요 6:51)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