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청의 원인·진단·치료 방법과 보청기
[아시아엔=박명윤 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난청(難聽, 청력장애)은 전음성 난청, 감각신경성 난청, 혼합성 난청 등으로 구분한다. 외이와 중이의 이상에 의해 난청이 발생하는 경우는 전음성 난청이며, 내이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는 감각신경성 난청이 발생한다. 이들 모두에 이상이 생기면 혼합성 난청이 발생한다.
‘전음성 난청’의 원인은 선천성 외이도 폐쇄증, 외상성 고막천공, 중이염, 이경화증 등이다. ‘감각신경성 난청’의 원인에는 노인성 난청, 소음(騷音)성 난청, 돌발성감각신경성 난청, 청신경 종양 등이 있다. ‘혼합성 난청’은 외이 혹은 중이의 이상으로 전음성 난청이 있는 환자가 내이나 청신경에 이상이 생겨 감각신경성 난청이 동반한 경우이다.
외이도 및 중이 질환에 의해 소리의 전도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전음성 난청’은 치료에 의해 청력 개선이 가능하다. 환자는 자신의 귀가 막힌 느낌(이충만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으며, 자신의 목소리가 크게 울려 들리는 것을 검험하기도 한다. 대개의 경우 수술적 치료나 보청기 사용으로 만족할 만한 성과를 기둘 수 있다.
‘감각신경성 난청’은 소리의 전도 과정은 정상이지만 이를 받아들이는 내이 청신경 또는 뇌에서 이상이 발생하여 생긴다. 가장 흔한 감각신경성 난청은 내이나 청신경의 노화 현상으로 인한 노인성 난청이다. 환자는 사람들의 말소리가 들리기는 하나 그 뜻을 이해하기 어렵다.
난청의 진단은 난청 클리닉에서 난청의 발생시기, 원인, 동반되는 증상과 관련된 문진을 하고, 이비인후과 전문의로부터 외이와 중이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진찰을 받는다. 또한 난청의 종류와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각종 청력검사와 뇌파검사 및 방사선 촬영 등을 시행한다. 각종 청력검사와 뇌파 검사상 청신경 종양 등과 같은 신경질환 또는 뇌혈관 이상 등과 같은 뇌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뇌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나 뇌혈관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난청 치료에는 약물요법, 수술요법, 보청기 처방 등이 있다. 외이도 폐쇄와 같은 선천적 이상에 의한 전음성 난청은 수술적으로 외이도 및 중이의 성형술로 청력이 호전될 수 있다. 외이도염이나 급성 혹은 심출성 중이염으로 인한 전음성 난청은 약물요법으로 염증이 소실되면 청력이 회복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고막 천공을 동반한 만성 화농성 중이염, 만성 진주종성 중이염, 외상으로 인한 이소골 탈구나 고실 경화증 등으로 인해 발생한 전음성 난청은 수술요법으로 난청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심각한 내과적 질환이나 고령으로 수술요법이 힘든 경우에는 적절한 보청기를 처방 받으면 만족할 만한 청력의 증진을 얻을 수 있다.
미세혈관 순환의 장애가 원인인 돌발성 감각신경성 난청은 약물치료 등으로 청력의 호전을 가져올 수 있으며, 내이의 세균 감염으로 인한 감각신경성 난청도 적절한 약물요법으로 회복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들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빠른 진단과 치료를 통해 최대한 청력을 증진시켜야 한다.
감각신경성 난청 중 가장 흔한 노인성 난청, 소음성 난청, 이독성 약물 중독으로 인한 난청, 선천적 혹은 유전적 난청 등은 약물이나 수술요법으로 회복을 기내하기 어려우므로 적절한 보청기 착용으로 사회생활을 보다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청기 착용과 관련해 난청의 정도를 구분한다. 순음 청력검사(純音聽力檢査, pure tone audiometry)에 따라 정상 청력, 경도 난청, 중도 난청, 중고도 난청, 고도 난청, 전농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순음 청력검사는 방음시설이 되어 있는 검사실 안에서 헤드폰을 착용한 상채로 현재 본인의 청력상태를 알아보는 검사로써 청력 소실의 유무, 정도, 형태를 규명하고 치료 및 청력소실에 따른 재활교육의 기본 자료로 제공한다.
대화에 전혀 지장이 없는 ‘정상 청력’은 0-25dB, 작은 소리나 속삭이는 소리를 듣기 어려운 ‘경도 난청’은 26-40dB, 보통 대화를 겨우 알아듣는 ‘중도 난청’은 41-55dB, 보통의 대화음을 잘 알아듣지 못하는 ‘중고도 난청’은 56-70dB, 큰 소리로 말하면 겨우 알아듣는 ‘고도 난청’은 71-90dB, 그리고 큰 소리로 말해도 알아 듣기 힘들거나 전혀 듣지 못하는 ‘전농’은 91dB 이상이다.
보청기는 소리 전달 시스템의 방식에 따라 아날로그와 디지털형으로 구분하며, 외형에 따라 완전귓속형(CIC), 일반귓속형(ITC), 귓속형(ITE), 귀걸이형(BTE)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형에 비해 디지털 형은 어려 주파수에서 환자에게 필요한 만큼의 음을 증폭 또는 압축 시킬 수 있는 기능이 있어 청력의 증진과 편리성이 우수하지만 가격이 비싸다.
보청기는 환자의 청력 상태에 따라 아날로그 형으로도 충분할 수도 있고, 디지털 형을 맞추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근래의 디지털 보청기는 주변 수음 제거 기능과 방향성 마이크 등의 기능으로 말소리를 보다 명확하게 들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환자의 신체적 특성, 귀 모양, 청력도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보청기를 전문의와 상담한 후 처방 받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