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정부는 왜 ‘하바로프스크 전범재판’ 학술대회를 열었을까?
‘하바로프스크 재판 : 역사적 의미와 현대의 도전’ 주제로 6~7일 열려
[아시아엔=김원일 모스크바대 정치학 박사, 전 모스크바한인회장] “하바로프스크 재판에 대한 논의는 역사적 과오가 되풀이 않게 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푸틴 대통령 기념사)
“일본이 2차대전 당시 소련을 상대로 박테리아 생물학무기를 이용한 전쟁을 준비했었다. 이제라도 일본정부가 당시 전쟁범죄 사실에 대한 인정과 책임자 규명을 해야 한다.”(세르게이 나르쉬킨 러시아역사학회장 개회사)
“이제라도 일본의 전쟁범죄에 대해 국제법적인 책임을 물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국제사회에서 논의가 진행되어야 한다.”(이고르 크라스노프 러시아연방 검찰총장 발표문)
“역사학자와 법학자들이 일본의 전쟁범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진실을 밝히고 일본의 개인과 국가에 도덕적, 법적 책임을 지울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알렉산드르 에뱌킨쩨프 러시아과학아데미 국가와법연구소 부소장)
필자는 지난 9월 6-7일 러시아 하바로프스크 영빈관에서 열린 ‘하바로프스크 재판-역사적 의미와 현대의 도전’을 주제로 한 국제학술대회에 공동주최자인 러시아역사학회 초청으로 발표자로 참가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러시아연방정부와 극동지역 지방정부들의 적극 지원과 러시아국영통신사 ‘리아 노보스티’ 등 언론사, 러시아 기업 및 기관들 후원으로 매우 성대하게 개최되었다.
행사 개회식에는 푸틴대통령이 기념사를 보내왔고, 알렉산드르 코즐로프 북극극동개발부 장관, 발레리 팔코프 과학 고등교육부 장관 등 연방정부 장관급인사 10여명, 미하일 덱쨔료프 하바로프스크 임시 주지사 등 극동지역 고위정부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코로나19 상황에도 중국, 이스라엘, 인도, 몽골 등 각국과 러시아 전역에서 역사학, 국제관계학, 국제법학, 교육학 등 여러 분야 전문가 200여명이 참석해 발표와 토론을 벌였다.
세션별 학술회의에서 발표자들은 하나같이 731부대를 중심으로 진행된 일본의 생체실험과 생물학무기 연구개발을 집중 조명했다. 이들은 “일본은 이제라도 생물학무기 개발과 731부대 생체실험에 대한 진실규명에 나서야 한다”며 “도덕적, 법적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몇몇 발표자들은 “일본이 역사를 바르게 평가하지 않은 채 후손에게 제대로 된 교육을 실시하지 않고 있다”며 “일본 교과서에는 일본제국주의 침략과 점령지에 대한 폭력적 지배 및 착취에 대해서 적혀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들은 “일본의 잘못된 교육정책으로 일본이 침략자가 아니라 오히려 전쟁 피해자라고 생각하는 일본인들이 늘고 있는 실정”이라며 “독일이 나치시대 잘못을 반성하고 있는 것에서 배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발표자들은 “일본 언론들은 일본의 역사적 과오에 대해서 제대로 살피지도, 기사화하지도 않고 있다”며 “이러한 일본 교육과 언론 잘못이 작금에 일본사회의 우경화를 더욱 부추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대회 참석 학자들은 “러시아 기밀문서 해제와 함께 2차대전 당시 일본의 전쟁범죄 사실들이 새롭게 계속 드러나고 있다”며 △하바로프스크 재판 기념 학술회의 정례화 △2차대전 기밀문서의 지속적인 해제 등을 러시아정부와 주최측에 요청했다.
한편 주최측은 러시아 국방부, 외무부 및 각종 정보기관에서 그동안 보관하고 있던 2차대전 당시 소련군이 확보한 각종 기밀자료와 일본의 생물학무기 개발 자료들을 행사장에 전시해 참석자들 관심을 끌었다.
또 대회 참석 러시아학자들은 “러시아 교과서에도 일본의 전쟁범죄 기록이 실려있지 않다”며 “이제라도 러시아 교과서에 일본의 침략행위와 전쟁범죄에 대해 상세히 기록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번 행사는 규모에서나 참석자 면면에서도 단순한 국제학술대회 이상이었다. 러시아가 정부 차원에서 주도해 대규모 정책포럼 형식으로 개최됐다.
한 참석자는 “러시아정부가 보관 중이던 일본의 생물학무기 관련자료를 대거 공개하고 정부 고위급 인사들이 발표에 나서 일본의 전쟁범죄 사실인정과 도덕적, 법적 책임 문제를 제기한 것은 흔한 일은 아니다”라며 “최근 어려움에 처한 러일관계에서 러시아가 역사문제를 제기해 일본에 대한 외교적, 정치적 압박을 가하려는 것 아닌가 생각된다”고 했다.
한편 러시아 정부 주도의 대규모 국제행사 개회식에는 한국대사관이나 영사관 직원들이 아무도 참석하지 않았다. 필자 옆 좌석엔 하바로프스크주재 중국 총영사와 영사가 함께 앉아 있었다. 한국 학자들은 7일 학술행사에서 2명이 한국에서 줌을 통해 온라인발표를 했다. 중국 학자들은 현장발표에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