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나경원 자유한국당 ‘필사즉생’ 각오 없인 ‘극일’도, ‘집권’도 불가능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

[아시아엔=김덕권 원불교문인협회 명예회장] 1592년 왜(矮)의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임진왜란(壬辰倭亂)을 일으킨 지 427년 만에, 또다시 2019년 일본의 아베 신조가 제2의 왜란(倭亂)을 일으켰다. 라디오에서 한 야당의원이 대담(對談)을 통해 “일본이 없으면 살아 갈 수 없다”는 망언(妄言)을 서슴지 않는 것을 보고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과연 우리나라가 일본 없이는 살아갈 수 없을까?

우리 국민치고 충무공 이순신장군을 존경하지 않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순신 장군은 전쟁에서 그야말로 극한적인 열악한 환경의 위기에 몰려 있음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불굴의 신념으로 위기를 극복하는 정신력을 만들어냈다. 그러한 정신력을 바탕으로 모든 전쟁에서 승리하는 위대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장군의 위대한 정신력은 바로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명량대첩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1597년 9월 벌어진 이 명량대첩에서 13척의 배를 인계받아, 그 10배에 해당하는 133척의 왜적 선을 상대로 세계에서 유례 없는 기적 같은 승전을 나라에 안겨주었다.

이처럼 불가능해 보이는 전투에서 장군이 승리하게 된 배경은 무엇일까? 명량대첩에 참전하기 전 “필사즉생(必死卽生), 필생즉사(必生卽死)”라는 유명한 그의 말에서 배경을 찾을 수 있다. 이 말은 ‘살고자 하면 반드시 죽고, 죽고자 하면 반드시 살 것이다’라는 뜻이다.

충무공의 이 말은, 바로 생사 갈림길에서 장군이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유일한 길이었을 것이다. 우리들은 여기에서 당시 장군에게 승전의 길이 전혀 없는 비참한 상황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아마 길이 없어 더 이상 앞으로 나갈 수 없는 상태에서 철저히 자기 자신을 분석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지 않았을까?

이처럼 ‘필사즉생 필생사즉’이라는 말은 그냥 나온 것이 아니다. 죽음은 인간으로서는 그 누구도 피할 수 없다. 그런데 이 마음이 합해지면, 개개인의 죽음이 곧 전체의 죽음과 같은 개념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닐까? 즉, 이 말은 부분과 전체가 하나 같이 죽음의 의미가 그대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그래서 장군에게는 죽음의 두려움은 없었을지도 모른다. 이순신은 바로 이 점을 깨닫고 죽음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군대조직화의 힘으로 승화시켜 갔다. 이순신은 이처럼 생사가 본래 하나이며, 또한 국가와 내가 하나임을 그대로 그의 삶을 통해 우리들에게 보여주었다.

우리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후예다. 살고자 하면 반드시 죽고, 죽고자 하면 반드시 살 것이다. 두드리면 반드시 열릴 것이고, 열려면 반드시 두드려야 한다. 콩을 심으면 반드시 콩이 나고, 팥을 심으면 반드시 팥이 나온다. 싸워 보지도 않고 ‘일본이 아니면 살아갈 수 없다’고 한 어느 야당의원의 말은 패배주의의 극치를 보여주는 것 같아서 여간 마음이 아픈 것이 아니다.

지난 8월 5일자, 조선일보에는 ‘한국당혁신위 꼰대·웰빙 이미지 벗자’는 기사가 실렸다. 자유한국당 ‘신정치혁신특별위원회’가 혁신을 통해 당이 미래정당, 청년정당으로 가기 위해 꼰대, 기득권, 웰빙 정당 이미지부터 탈피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특위는 한국당을 혁신하기 위한 ‘3대 비전’과 이를 실천하기 위한 ‘세부과제’를 담은 45쪽짜리 혁신안(案)을 마련해 지도부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혁신안에 따르면, 특위는 우선 한국당의 3대 비전을 첫째, 국민과 함께(People), 둘째, 강력한 경제정책(Policy), 셋째, 열린 정당·인재 정당·미래 정당(Process) 등 이른바 ‘3P’로 제시했다. 또 투쟁력을 갖추기 위해선 ‘웰빙 정당, 강남우파 이미지 탈피가 선행돼야 한다’고도 했다.

그리고 당내 화합·통합 기반을 확립하기 위해 ‘계파적 분열주의를 배격하고 싸움질하는 정당 이미지를 타파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나 아무도 특별위의 혁신안이 성공하리라고 믿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내용이 구태의연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아무래도 ‘필사즉생 필사즉사’의 정신과 ‘사무여한(死無餘恨)의 각오가 결여되어 보이는 탓이 아닐까?

“하루 일하지 않으면 하루 먹지 않는다”(一日不作 一日不食)는 금언(金言)을 남긴 백장 회해(百丈 懷海, 749~814) 스님이 스승 마조(馬祖)에게 물었다. “부처의 본뜻은 어느 곳에 있습니까?” 이에 마조가 말한다. “바로 자네의 목숨을 내던진 곳에 열반(涅槃)이 있다.” 불가에서는 형식적으로 열반을 ‘사람이 죽는 것’을 말한다.

건강한 야당이 있어야 나라가 산다. 지금처럼 사사건건 발목만 잡고 막말만 하는 정당으로는 아무리 발버둥 쳐봐도 건강한 야당이 못 된다. 만약 한국당이 살길을 마조에게 물었다면 “목숨을 내던진 곳에 열반이 있다”고 하지 않았을까? 국가를 위해서도 진보를 위해서도 보수는 살아야 한다. 보수가 살기위해서도 필연적으로 열반이 필요하다.

품격 있는 보수의 가치를 만들기 위해서도 자유한국당은 열반에 들어야 한다. 황교안 대표도 열반에 들어야 하고, 황교안 대표의 대선의 꿈도 열반에 들어야 하며, 당권장악의 의지도 열반에 들어야 한다. 물론 ‘친박’도 ‘비박’도 열반에 들어야 한다.

보수의 절대가치는 ‘자유와 민주주의’다. 또 ‘기업과 시장의 자유를 통해서 인간의 창의성을 바탕으로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유도 금메달리스트 김재범 선수가 이런 말을 했다. “‘죽기 살기’로 했다가 2008년 베이징올림픽 때 은메달을 땄고, 2012년엔 ‘죽기로’해서 금메달을 땄다.”

자유한국당의 청년혁신위원회가 아무리 발버둥을 쳐도 한국당 전원이 열반에 들지 않으면 안 된다. 먼저 누구보다도 한국당 황교안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 등 국회의원부터 “필사즉생 필생즉사”의 충무공처럼 생사를 걸어야 한다.

제2의 왜란을 당해서 다시는 굴욕적인 패배를 맛보지 않으려면 보수의 품격을 되찾고 여야가 합심 합력하여 싸워야 극일(克日)이 될 수 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