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 장군들④ 김석원] 구한말 무관학교 입교···성남고 설립해 백범·이순신 숭모 가르쳐

일본군 대좌까지 복무, 해방 후 근신하다 육사 8기 특별반 임관

[아시아엔=김국헌 전 국방부 정책기획관] 김석원 장군은 구한말 무관학교에 입교하였다가 한일합방 후 일본 육사로 편입되어 27기로 임관, 일본군 대좌까지 복무하였다. 김석원은 해방 후 일본군 출신은 근신해야 된다는 생각에서 군에 바로 들어가지 않고 있다가 육사 8기 특별반으로 임관, 1사단장으로 1949년 1월 개성지구를 담당했다.

1949년 5월부터 38선 일대에서 북한의 국지도발이 시작됐다. 1사단은 송악산 전투에서 용전하였는데, 육탄 10용사가 나온 것이 이때다. 당시 남북교역에 군 수뇌부가 관련된 사건이 있었는데 이 사건으로 총참모장 채병덕과 1사단장 김석원은 정면충돌했다. 일본 육사 26, 27기의 대좌 출신이 많았음에도 49기의 병기소좌 채병덕을 육군의 수장으로 기용한 이승만 대통령과 국방부장관 신성모의 어리석음에 대해서는 변명과 용서의 여지가 없다.

6.25가 터지자 김석원은 수도사단장으로 진천, 안강, 기계 지연전을 이끌었다. 북한군의 8월 공세 때는 3사단장으로 영덕, 포항을 방어하였다. 학도의용군이 활약한 대표적 전투다. 학생들이 3사단을 택한 것은 김석원이 한국군에서 가장 용장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이들의 용전 희생은 영화 <군번 없는 용사>에 잘 그려져 있다. 그러나 카이젤 수염을 기르고 일본도를 들고 지휘하면서 돌격전술에 익숙한 김석원은 미군 고문관들과 융화되기 어려웠다. 김석원은 이후 전선에는 크게 기용되지 못하고 1956년에 예편, 육영사업에 전념하게 된다.

김석원은 1938년 성남고등보통학교를 개교하였다. 구한말에 황실과 선교사 등에 의해 설립된 배재, 양정, 휘문, 보성, 중앙, 중동에 이은 7대사립의 하나였다. 북한에는 정주의 오산학교, 평양의 숭실학교 등이 있었다. 성남학교는 중일전쟁에서 참전한 김석원 중좌에 미나미 총독이 “귀관이 바라는 것이 무엇이냐”고 묻자 “학교를 설립하고 싶다”는 청을 받아들여 일제하 유일하게 설립된 사립학교였다.

성남학교의 교훈은 특이하게도 “義에 살고 義에 죽자”였다. 봄철의 청명(淸明)에는 효창동의 백범 묘소와 백정기 등 5열사 묘소를 전교생과 함께 참배하였다. 자유당 시절 백범의 묘소를 참배하는 사람은 요주의 인물이었다. 이승만 대통령이 이런 옹졸한 처사를 지시할 리가 만무한데도 자유당의 졸병들은 이런 패륜을 저질렀다. 김석원은 이에 개의치 않고 매년 백범 묘소를 참배하였다.

경찰도 김석원 장군의 위엄이 워낙 대단하였기 때문에 차마 가로막지를 못했다. 김석원은 윤봉길의사의 손자도 성남학교에서 보살펴주었다. 김석원이 4월28일 충무공 탄신일에 아산 현충원에서 헌화할 때는 박정희 대통령은 자리에서 일어나 경의를 표했다. 김석원은 군의 대선배이기도 하였지만 김석원의 차남이 박정희의 일본 육사 동기생으로 김석원은 친구의 부친이기도 하였기 때문이다. 박정희의 김석원 장군에 대한 각별한 예우는 선배에 대한 예절이 어떠해야 되는가를 보여주는 수범(垂範)이었다.

그러나, 김석원의 애국충절과 육영의 공로는 민족문제연구소에 의해 ‘親日軍人’이라는 한마디로 폄하되었다.

이들이 무어라 하건 5만 성남인에게는 김석원 장군은 진정한 애국자요, 교육자였다.

軍政의 核心은 인사다. 군의 문민통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바른 人事가 要訣이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