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란법’ 시행 앞두고 대기업 권력기관 출신 사외이사 ‘영입 러시’
사외이사 119명 중 47명(39.5%)으로 전년과 비슷···장차관 출신은 되레 늘어
[아시아엔=편집국] ‘김영란법’ 시행을 앞두고 대기업들이 권력기관 출신인사를 사외이사로 선호하는 현상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
올해 주주총회에서 선임하는 10대 재벌그룹 사외이사 10명 가운데 4명은 청와대나 장·차관 등 정부 고위직, 검찰 등 권력기관 출신이다. 특히 올해는 전직 장·차관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9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10대 그룹이 올해 주총에서 선임(신규·재선임)하는 사외이사 119명 가운데 47명(39.5%)은?장·차관, 판·검사, 국세청, 공정거래위원회 등 권력기관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권력기관 출신 비중은 지난해 39.7%(50명)와 비슷했다.
판·검사(12명), 공정위(8명), 국세청(7명), 금융위원회(2명) 등 정부 고위직이 18명으로 가장 많았다.이 뒤를 이었다.
특히 가운데 장·차관을 지낸 인사의 선임이 현저하게 많아졌다. 정부 고위직 18명 가운데 장·차관 출신은 12명(66.7%)으로 지난해(6명·27.2%)의 배였다.
삼성생명은 박봉흠 기획예산처 전 장관과 김정관 지식경제부 전 차관을, 삼성SDI는 노민기 노동부 전 차관을 사외이사로 각각 재선임한다.
기아자동차는 이달 20일 주주총회에서 이귀남 전 법무부 장관을 사외이사로 신규 선임하는 안건을 올린다.
SK C&C(하금열 전 대통령실장), SK텔레콤(이재훈 산업자원부 전 차관) 등 SK그룹 계열사들도 정부 고위직 출신을 사외이사 자리에 앉힌다.
한화생명과 한화손해보험은 각각 문성우 법무부 전 차관과 김성호 보건복지부 전 장관을 사외이사로 선임할 예정이다.
두산인프라코어가 신규 선임하는 사외이사는 모두 고위공직자나 권력 기관 출신들이다.
한승수 전 국무총리와 윤증현 기획재정부 전 장관, 박병원 대통령실 전 경제수석비서관, 김대기 전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이 이들의 이름이다.
김대기 전 수석은 SK이노베이션 사외이사도 맡을 예정이다.
국세청 출신으로는 서울지방국세청장을 지낸 이병국(현대차)·전형수(GS글로벌)·이주석(대한항공) 씨와 박차석 전 대전지방국세청장(롯데제과) 등이 사외이사 자리에 오를 예정이다.
김준규 전 검찰총장(현대글로비스), 홍만표 전 대검 기획조정부장(LG전자), 변동걸 서울중앙지법 전 원장(삼성정밀화학) 등이 법조계 출신도 검찰과 판사 출신도 다수 차지했다.
또 두산중공업은 김동수 전 공정거래위원장을, 롯데제과는 강대형 공정위 전 부위원장을 사외이사로 선임한다.
그룹별로 보면 LG그룹이 사외이사 13명 가운데 1명만 검찰 출신으로 선임해 권력 기관 비중(7.7%)이 가장 낮았다.
반면 두산그룹은 9명의 사외이사 가운데 8명(88.9%)을 권력 기관 출신으로 선임했다.
현대차와 현대중공업, 한진그룹의 권력 기관 출신 비중은 각각 50.0%였다.
GS(40.0%), 삼성(39.3%), SK(35.0%), 한화(33.3%), 롯데(30.8%)가 뒤를 이었다.
사외이사 제도는 애초에 오너 일가로 구성된 경영진의 방만 경영과 독단적 결정을 감시·견제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이같은 도입 취지에서 벗어나 권력과 재벌이 상부상조하는 시스템으로 변질됐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특히 올해는 ‘김영란법’ 국회통과 후 시행을 눈 앞에 두고 있어서 이들 ‘관변인사’의 사외이사 영입이 더욱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