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시아엔 해외필진 기고문의 한글번역본과 원문을 함께 게재합니다.
[아시아엔=글·사진 알리레자 바라미 ‘Asre Rowshan’ 편집인, ISNA 전 편집장] 전쟁은 인간의 정신과 육체에 극심한 부담을 준다. 집을 떠난 사람들뿐 아니라, 떠나지 않은 이들도 정신적‧육체적 긴장 속에 살아간다. 12일간의 이스라엘 공습 이후 찾아온 이 5일간의 휴전 기간 동안, 필자는 테헤란 시민들이 깊이 지친 모습을 보았다. 무엇보다도 정신적으로 말이다.필자와 가족은 그동안 집을 떠나지 않았지만, 대부분의 이웃들은 도시를 벗어났다가 다시 돌아왔다. 도심의 차량은 눈에 띄게 늘었지만, 전쟁 이전의 활기를 되찾지는 못한 듯하다.
이번 휴전은 화요일에 시작됐다. 이란에서는 한 주가 토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이어지기에, 휴전 이틀 뒤면 곧바로 주말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직장과 항공편은 여전히 전쟁의 여파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관공서들은 부분적으로 폐쇄되었고, 오늘 토요일은 새로운 한 주가 시작되는 첫날이지만, 정부 청사는 모두 닫혀 있었다. 전쟁 희생자들의 장례식이 전국적으로 동시에 거행됐기 때문이다.
이날 테헤란에는 수천 명의 시민이 거리로 나와 장례 행렬에 참여했다. 각 언론은 장례식 현장을 담은 사진들을 다양하게 보도했는데, 필자는 아래 사진을 보고 눈물을 흘렸다. 전쟁 속 어린이들의 사진이나 영상은 언제나 나를 울게 만든다. 나는 여기에 유독 민감한 편이다. 그래서 이런 장면을 마주할 때면 기사만으로는 부족해 시를 쓰기도 한다. 나는 내 나라에서 몇 권의 시집과 여러 문학상을 받은 시인이기도 하다.
오늘 나를 가장 울린 사진 속에는 다섯 살 소년이 있었다. 그는 두 명의 여동생, 부모, 조부모와 함께 잠을 자던 중 집에서 숨졌다. 나를 더욱 슬프게 만든 건, 그의 관을 한 사람이 들 수 있었을 만큼 작았다는 사실이다. 어쩌면 그의 시신은 형체조차 온전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이번 12일간의 전쟁으로 숨진 이란 어린이는 60명에 달한다. 하루 평균 5명 꼴이다.
이런 일들은 모두 사람들에게 심리적 압박을 가한다. 전쟁의 영향을 받은 이들의 삶의 계획, 일자리, 미래의 희망 역시 심각한 심리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있다. 주식시장은 하락했고, 공장의 발주량은 줄었으며, 항공편은 아직 정상화되지 않았다. 호주 멜버른에 거주하는 나의 친구는 형제와 아버지를 만나기 위해 테헤란을 찾았는데, 지난주 예정되어 있던 귀국 항공편이 무기한 연기되었다. 그는 과연 호주로 언제 돌아갈 수 있을까? 멜버른에 있는 그의 직장은 유지될 수 있을까?
불안을 더욱 키우는 건, 이 휴전이 과연 영구적인 것인지, 아니면 이스라엘이 또다시 이란을 공격할 것인지 알 수 없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번 전쟁을 통해 사람들은 서로에게 더 따뜻해졌다. 이 전쟁에서, 이란 국민들은 이란 정부보다 더 성숙하고 자랑스러운 모습을 보였다. 정부에 대한 항의는 여전히 계속되고 있지만, 그런 시민들조차 동포를 향한 연대의 손길을 멈추지 않는다.
이란에서는 지금 10일간 이어지는 종교 의식인 ‘무하람(Muharram)’이 진행 중이다. 그 열 번째 날은 ‘아슈라(Ashura)’라고 불리며, 1,000년 전 이라크에서 순교한 시아파의 지도자를 기리는 날이다. 그는 당시 폭군과의 우정의 조약을 거부하고, 오직 72명의 추종자들과 함께 정면으로 맞섰으며, 끝내 죽음을 택했다. 그래서 그는 지금도 많은 이들의 존경을 받고 있다.
오늘은 이 열흘간의 의식 중 셋째 날이다. 그래서 테헤란의 분위기는 더더욱 특별하다.

War and Psychology-Report on the Five-Day Ceasefire After the Israeli Attack, from Tehran
By Alireza Bahrami, Correspondent for AsiaN
War places immense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rain on individuals. Those who flee their homes endure both mental and bodily stress, and those who stay behind suffer in much the same way. During the five-day ceasefire following 12 days of relentless Israeli airstrikes, I observed how weary the people of Tehran had become—especially mentally.
My family and I did not leave our home, but most of our neighbors who had evacuated the city have now returned. While traffic has increased, the spirit of everyday life has yet to return to its pre-war rhythm.
The ceasefire began on a Tuesday, just two days before the Iranian weekend, which runs from Saturday to Friday. Despite the truce, the labor market and flight schedules remained disrupted due to the lingering effects of the war. Government offices operated only partially. Today—Saturday, the official start of the workweek—those offices were again closed, as mass funerals for the war dead were held across the country.
Thousands of people poured into the streets of Tehran to join the funeral processions. Media outlets published numerous photos from the ceremonies. One of them brought me to tears. I often cry when I see images or footage of children affected by war. This is a deeply personal subject for me. I write both articles and poetry about it. I am a published poet in my country, with several books and literary awards. When journalism fails to capture the depth of what I feel, I turn to poetry.
The photo that moved me most today was of a five-year-old boy. He was killed in his sleep at home, along with his two sisters, his parents, and his grandparents. What broke my heart was the size of his coffin—so small that one person could carry it alone. Perhaps his body was even disintegrated.
Sixty Iranian children were killed in this 12-day war. That’s an average of five children a day.
These tragic events are a source of severe psychological trauma. The disruption of people’s life goals and career plans adds another layer of emotional burden. The stock market has dropped, business orders have declined, and flights remain suspended. A close friend of mine, an Iranian-Australian who traveled to Tehran to visit his brother and father, had a return flight scheduled last week. It is now uncertain when he will be able to return to his home in Australia. Will he lose his job in Melbourne?
One of the most distressing psychological questions people now ask themselves is: will this ceasefire hold—or will Israel attack Iran again?
Yet despite the suffering, the war brought out a newfound kindness among people. In this conflict, the Iranian people demonstrated more unity, resilience, and compassion than their own government. Protests against the authorities continue, but those who protest also extend empathy and solidarity to their fellow citizens.
At the same time, Iran is currently observing the religious mourning period of Muharram, which lasts for 10 consecutive days. The tenth day, known as Ashura, commemorates the martyrdom of a revered Shiite leader who was killed in Iraq over a thousand years ago. Despite being vastly outnumbered—only 72 companions stood by his side—he refused to accept a treaty with a tyrannical king. Instead, he chose to die with dignity. That is why he is still venerated today.
We are now on the third day of this 10-day observance, which adds an even more solemn and reflective mood to the atmosphere in Tehr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