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슬라이드칼럼

[발행인 칼럼] ‘아시아엔’이 새 단장 했습니다

아시아엔 독자 여러분,

2011년 11월 11일 창간한 아시아엔이 2025년 3월 25일부로 사이트 개편을 완료했습니다. 그동안 일부 개보수와 한 차례의 개편을 거치긴 했지만 이처럼 사이트의 외관이 완전히 달라진 적은 처음입니다.

오랜 세월 똑 같은 외관의 사이트를 운영해오며 ‘우리가 정체돼 있었던 것은 아닌가’ 자문했고, 그에 따라 지난해 말부터 서버 확장 교체와 사이트 개편을 진행해온 것이 드디어 결실을 맺었습니다.

아시아엔 개편을 진행하며 가장 중점을 둔 것은 간결성이었습니다 독자 여러분께서 한 눈에 확인하실 수 있듯, 아시아엔 개편 사이트는 정돈되지 못한 인상을 줬던 외관을 간결하게 정리했습니다. 또한 PC 화면의 경우 어떠한 기사를 읽으시더라도 상단의 메뉴바가 연결돼 있어 원하는 카테고리로 이동하시거나 원하는 검색 기능을 편리하게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다른 주안점은 아시아엔 네트워크의 확장입니다. 아시아엔을 초창기부터 애독해주신 분은 아시아엔이 지난 2004년 설립된 아시아기자협회의 베테랑 언론인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창간했다는 사실을 잘 알고 계시리라 믿습니다.

아시아엔은 아시아기자협회 필진의 기고문을 중심으로 아시아의 소식을 아시아의 시각으로 전하기 위해 창간됐습니다. 그러나 매체를 운영해오며 우리 만이 할 수 있는 고유의 영역을 다소 소홀히 했던 것도 사실입니다. 그래서 아시아엔은 아시아기자협회 기고문을 통한 고유의 콘텐츠를 확보하고, 또 아시아 각국의 매체들과 콘텐츠 제휴를 맺어 국내 독자님들이 접하기 어려웠던 아시아의 숨겨진 소식들을 전하고자 합니다.

아시아엔은 개편이 완료됨에 따라 새로운 틀 아래에서 아시아엔 다국어판 역시 추가적으로 발행할 계획입니다. 오는 상반기 내에는 인도-파키스탄 지역을 아우르는 신디어판, 중앙아시아를 아우르는 러시아어판 등이 오픈 될 예정입니다.

아시아엔은 이러한 네트워크의 확장을 거쳐 궁극적인 목표인 아시아 고유의 뉴스플랫폼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입니다.

독자 여러분, 귀한 시간을 투자하시어 사이트 하단의 아시아엔 소개와 네트워크 페이지를 한번씩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시아엔이 지향하는 바가 일목요연하게 정리돼 있습니다.

서버 이전 및 사이트 개편으로 인해 접속 장애를 겪으셨음에도 아시아엔을 지속적으로 지지하고 구독해주신 독자 여러분께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사이트가 외관상 개편을 완료했음에도 실제 운영 중에 어떤 변수들이 발생할지는 미지수 입니다. 이 점에 대해서도 미리 독자 여러분의 양해를 구합니다.

독자 여러분의 변함없는 관심과 성원은 아시아엔이 성장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됐습니다. 발행인 이상기를 비롯한 아시아엔 구성원 일동은 새로운 공간에서 보다 나은 콘텐츠로 독자 여러분과 만날 것을 약속 드립니다.

독자 여러분 덕분입니다. 다시 감사드립니다.

아시아엔 발행인 이상기 올림

이상기

아시아엔 기자, 전 한국기자협회 회장

필자의 다른 기사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