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깐묵상] 권력적 구조의 모순과 한계

“인격과 실력을 겸비한 사람은 욕심이 없고, 가시가 잔득 돋혀 자질이 안 되는 사람이 유독 열심과 욕심을 내는…(중략) 독선적이고 고집이 세며 인격이 미숙하고 타인의 희생에 무감각한 사람들이 윗 자리를 자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본문 가운데) 사진은 가시나무

사사기 9장
“이에 모든 나무가 가시나무에게 이르되 너는 와서 우리 위에 왕이 되라 하매 가시나무가 나무들에게 이르되 만일 너희가 참으로 내게 기름을 부어 너희 위에 왕으로 삼겠거든 와서 내 그늘에 피하라 그리하지 아니하면 불이 가시나무에서 나와서 레바논의 백향목을 사를 것이니라 하였느니라”(삿 9:14-15)

나무들이 모여서 나무의 왕을 선출하는데, 왕 후보에 오른 나무는 세 나무였습니다. 감람나무, 무화과나무, 포도나무입니다. 나무들이 이 세 나무를 각각 찾아가서 나무의 왕이 되어달라고 간청하지만 세 나무 모두 자신이 왕이 되는 것을 고사합니다.

왕위를 거절한 이유는 세 나무가 다 같았습니다. 내가 존재하는 목적에 현재 충실하게 잘 살고 있으며, 그 삶에 만족한다는 것입니다. 왕이 되어 군림하는 일보다 훨씬 더 가치있는 소명과 사명을 이미 발견했기에 굳이 다른 나무들 위에 우쭐대고 싶지 않다는 것입니다.

결국에는 가시나무가 나무들의 왕이 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가시나무는 자기 그늘, 즉 자기의 수하에 들어오는 대상과 자기 수하에 들어오지 않는 대상을 철저하게 구별하고, 자기 편에 서지 않는 나무들을 척결과 청산의 대상으로 삼습니다.

요담의 이 비유는 타락한 권력 구조의 실상을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습니다.

세울 만한 사람은 손사래를 치고, 세워지면 안 되는 사람이 그 자리에 욕심을 내곤 합니다. 인격과 실력을 겸비한 사람은 욕심이 없고, 가시가 잔득 돋혀 자질이 안 되는 사람이 유독 열심과 욕심을 내는 아이러니를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대개는 꼭 그 자리에 올라가겠다는 야욕으로 가득한 사람이 높이 올라가고야 맙니다. 욕심이 없고 어질고, 공감능력이 뛰어나고 주변을 살피는 시야가 넓은 사람들은 주로 낮은 곳을 자처합니다. 독선적이고 고집이 세며 인격이 미숙하고 타인의 희생에 무감각한 사람들이 윗 자리를 자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강력한 위계 시스템은 다수의 성숙한 아랫사람이 소수의 미숙한 윗사람을 견디고 이해하는 방식으로 조직이 유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권력적 방법으로 세상은 절대 바뀌지 않습니다. 악순환을 부추길 뿐입니다. 왜 예수님께서는 당신을 왕으로 삼고자 하는 사람들을 피하셨겠습니까? 왜 십자가를 지셨을까요? 사랑만이 유일한 답이기 때문입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