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라운드업 10/23] ‘디폴트 위기’ 헝다, 전기차 중심 재편 계획
1. ‘디폴트 위기’ 헝다, 전기차 중심 재편 계획
– 300조원이 넘는 부채를 짊어진 채 채무불이행(디폴트) 위기에 빠진 중국 헝다(恒大·에버그란데)가 향후 10년에 걸쳐 그룹 핵심인 부동산 사업을 대폭 축소하고 전기차 위주로 사업을 재편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음. 중국 정부가 주택 가격 안정 차원에서 자국 부동산 산업을 억제하고 나선 가운데 주력인 부동산 사업의 명맥만 유지한 채 사실상 전기차 회사로 탈바꿈하겠다는 구상으로 평가.
– 중국 관영 증권시보는 22일 인터넷판 기사를 통해 이날 밤 쉬자인(許家印) 헝다 회장이 부동산 사업 축소를 골자로 한 회사 사업 재편 방향을 제시했다고 보도. 쉬 회장은 작년 7천억 위안(약 129조원)이던 부동산 사업 매출이 10년 이내에 2천억 위안(약 36조9천억원) 수준으로 70% 이상 줄어들 것이라고 밝혔음. 그는 이를 통해 향후 10년 안에 헝다를 전기차 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회사로 변화시키겠다고 강조.
– 최근 중국 매체들은 헝다가 전기차 사업을 갓 시작한 샤오미(小米)에 헝다차를 파는 방안을 협의 중이라고 보도한 바 있음. 쉬 회장의 이번 발언은 헝다가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자회사인 헝다차를 매각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뜻을 시사한 것. 헝다차는 지난 2019년 설립. 작년 말까지 투입된 자금은 474억 위안(약 8조8천억원)에 달했지만, 이 회사는 아직 단 한 대의 자동차도 생산하지 못하고 있음.
– 한편, 한편 쉬 회장은 향후 완공된 부동산 상품만을 파는 후분양 방식을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음. 중국의 부동산 업계는 대체로 한국처럼 완공하기 전에 먼저 고객들에게 주택 등 상품을 분양해 자금을 미리 확보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 헝다가 자금 회전에 불리한 후분양으로 사업 방식을 전환하기로 한 것은 파산 위기가 불거진 상황에서 불확실성을 감수하고 헝다의 선분양 주택을 사려고 하는 고객이 급감했기 때문.
2. 중국 게임산업 규제, 대규모 해직사태로 번져
– 중국 공산당과 정부가 게임산업을 ‘유해 업종’으로 간주하고 강력한 규제를 가하는 가운데 대기업 바이트댄스(중국명 쯔제탸오둥<字節跳動>) 산하 게임 스튜디오가 대규모 직원 감원에 들어갔음. 중국 게임업계에 충격을 안긴 이번 해직 사태는 당국의 기술기업 규제가 실직 등 경제 불안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남을 전망.
– 홍콩 일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3일 회사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바이트댄스의 모바일 게임 스튜디오인 오하유(Ohayoo)가 일반 직원 수십 명을 해고하는 절차에 들어갔다고 보도. 오하유 측은 79명의 직원에게 퇴직하거나 회사 내 다른 자리로 전직하라고 요구했지만, 전직 가능 자리가 제한적이어서 결국 많은 이들이 회사를 떠날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음.
– 짧은 동영상 플랫폼인 더우인(?音)과 그 해외판인 틱톡의 대성공으로 중국 인터넷 업계에서 급부상한 바이트댄스는 적극적으로 게임사업에 진출해 기존 최강자인 텐센트(騰迅·텅쉰)의 아성에 도전해왔음. 이런 점에서 오하유의 이번 대량 해고 사태는 중국 게임업계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고 SCMP는 전했음.
– 과거부터 중국은 게임을 강력히 규제해왔지만, 올해 들어 중국의 게임업계 규제 수위는 대폭 올라갔음. 핵심 관영지인 경제참고보는 지난 8월 ‘정신적 아편’이라는 극단적 표현까지 쓰며 텐센트 등 게임 관련 기업들을 비난하는 기사를 실어 파문을 일으켰는데 이는 중국의 당국의 게임산업에 대한 시각을 적나라하게 드러냈음.
– 중국은 최근 들어 온라인 게임 접속 때 실명 인증을 의무화하고 미성년자들의 게임 시간을 주말과 휴일에 한정해 주당 3시간으로 제한. 또 지난 7월 이후로는 신규 게임 판호(版號·중국 내 게임 서비스 허가)를 아예 내주지 않고 있음. 또한 게임 내용까지 강력히 검열하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장르와 내용의 게임 창작 환경도 크게 위축.
3. 일본 물가 1년6개월 만에 상승
– 일본의 소비자물가지수가 1년 6개월 만에 처음으로 상승세를 기록. 일본 총무성은 지난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 0.1% 오른 99.8을 기록했다고 22일 밝혔음. 원자재 가격 상승이 전체 물가 상승세를 주도한 것으로 전해졌음. 블룸버그통신은 특히 휴대전화 요금 인하 효과를 제외하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4%에 이른다고 자체 추산.
–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정권의 압박으로 일본 이동통신사들이 저가 요금제를 출시하는 등 요금을 인하했으나, 이는 일시적이고 곧 그 효과가 사라질 것이라는 판단. 이에 따라 일본에도 인플레이션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 씨티그룹의 이코노미스트들은 내년 봄 휴대전화 요금 인하 영향력이 사라지면 일본의 물가 상승률이 1.5%에 이를 거라는 전망을 내놨음.
– 앞서 지난 18일 모건스탠리는 국제 유가 강세와 엔화 약세가 더 이어지는 경우 물가 상승률이 내년엔 2%대까지 오를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은 바 있음. 오카산증권의 아이다 다쿠지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블룸버그에 “휴대전화 요금 감면 효과가 오는 4월께 사라지면, 인플레이션 지표가 뛰어올라 일본인들도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체감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음.
– 이에 따라, 오랜 기간 확장 재정을 펼쳐온 일본 중앙은행이 정책 방향을 수정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음. 이런 가운데 일본 중앙은행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기간에 경기 부양을 위해 시행했던 대출 프로그램의 중단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음.
4. 필리핀 두테르테 “‘마약과의 전쟁’ 모든 책임은 내가 진다”
–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이 재임 기간 6천명 이상이 숨진 ‘마약과의 전쟁’에 대한 모든 책임은 자신이 지겠다고 밝혔음. 그러면서도 국제형사재판소(ICC)의 조사를 받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 두테르테 대통령은 지난 21일 밤 한 행사의 연설에서 “만약 (마약과의 전쟁과 관련해) 감옥에 가야 할 누군가가 있다면, 그건 바로 내가 돼야 한다”며 “내가 모든 책임을 진다”고 말했음.
– 두테르테 대통령의 발언은 필리핀 법무부가 마약과의 전쟁 당시 용의자 수천 명이 숨진 경위를 다시 들여다볼 계획이라고 밝힌 뒤 하루 만에 나왔다고 로이터는 전했음. 두테르테 대통령은 취임 직후인 2016년 7월부터 대대적인 마약 범죄 소탕 작전을 펼쳤고, 이 과정에서 6천명이 넘는 사망자가 나오면서 국제사회에서 인권침해 비판이 나왔음.
– 내년 5월 두테르테 대통령의 임기가 끝나는 가운데 ICC는 지난달 15일 마약과의 전쟁을 반인륜 범죄로 규정하고 정식 조사에 나서겠다는 소속 검사의 요청을 승인한 바 있음. 이와 관련, 두테르테 대통령은 “나를 재판하는 곳은 필리핀 법원이어야만 한다”고 덧붙였다고 EFE 통신은 전했음. 이는 ICC 법정에 서는 것은 거부하겠다는 뜻으로 해석.
– 한편 두테르테 대통령은 마약범들에 대한 강력한 단속 의지를 거듭 밝혔음. 그는 연설에서 “다시 말하겠다. 젊은이들에게 마약을 팔아 이 나라와 젊은이들을 파괴한다면 미래를 파괴하는 것”이라며 “이 나라를 파괴한다면 너희들을 죽일 것”이라고 말했음.
5. 미얀마 군정, 아세안 정상회의 배제 결정에 거듭 반발
– 내주 열리는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정상회의에 배제당한 미얀마 군사정권의 반발이 계속되고 있음. 23일 로이터·AFP 통신 등에 따르면 군정 외교부는 전날 밤 성명을 내고 아세안 결정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또 다시 밝혔음.
– 외교부는 성명에서 “미얀마 정부의 수장은 아세안 10개국 정상회의에 참석할 수 있는 동등하고 완전한 권리를 누린다”고 말했음. 외교부는 이어 “미얀마는 아세안 헌장의 규정과 목적 그리고 소중한 원칙에 반하는 논의와 결정에 따른 어떠한 결과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덧붙였음.
– 앞서 아세안 외교장관들은 오는 26~28일 온라인으로 열릴 정상회의를 앞두고 지난 15일 화상회의를 열어 미얀마 군정 수장인 흘라잉 최고사령관 참석을 불허하기로 했음. 2월 1일 쿠데타 이후 유혈 사태 속에서 지난 4월 열린 아세안 특별 정상회의에서 나온 합의 사항을 군정이 지키지 않은 점을 일부 회원국이 문제 삼아 ‘흘라잉 배제’를 주장한 데 따른 것.
– 아세안은 4월 정상회의에서 쿠데타로 촉발된 유혈 사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즉각적인 폭력 중단, 특사 파견 등 5개 합의사항을 채택. 회의에는 흘라잉 최고사령관도 참석. 그러나 이후에도 군경에 의한 시민 학살 등 유혈 참사는 계속됐음. 이 때문에 외교장관 회의에서는 ‘내정 불간섭’이라는 아세안의 원칙을 지켜야 한다며 흘라잉 참석 배제를 찬성하지 않는 의견도 있었지만, 아세안의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우세했던 것으로 알려졌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