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제대로 알기] 사무라이의 나라, ‘두견새’와 도쿠가와 이에야스

오다 노부나가,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요토미 히데요시(왼쪽부터)

[아시아엔=심형철 <아시아엔> 칼럼니스트, <지금은 중국을 읽을 시간> <지금은 베트남을 읽을 시간> 등 저자 외] 영화나 드라마에서 통이 넓은 바지(袴, 하카마)를 입고 허리춤에는 일본도를 두 자루 꽂은 채 걸어다니는 사무라이(侍, 무사)가 있다. 사무라이 즉 무사는 일본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존재다. 무사의 등장과 퇴장을 알면 일본 역사를 이해하기 쉽다.

무사는 일본의 헤이안시대(平安時代, 794~1185) 말에 등장했다. 아직도 덴노(天皇, 천황)가 존재하는 일본에서 덴노가 권력을 항상 가졌던 건 아니다. 헤이안시대 이야기로 덴노가 집권하다가 덴노의 어머니쪽 친척인 후지와라(藤原)가 덴노를 대신하여 권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어린 덴노가 왕위에 오르자 대신할 사람이 필요하다는 구실로 셋쇼(?政, 섭정)라는 직책을 만들어서 덴노를 대신해서 정무를 보았다.

하지만 그 이후에도 성인이 된 덴노를 옆에서 보좌해야 한다는 명목으로 감파쿠(?白, 관백)라는 직책을 만들어서 정무를 보았다. 셋쇼와 감파쿠를 합쳐서 셋칸세이지(??政治, 섭관정치)라고 한다.

이렇게 덴노의 권력을 외가인 후지와라가 셋쇼와 감파쿠라는 관직을 이용해 대부분 장악하다 보니 덴노가 중심이 되는 율령체제는 무너지게 되었다. 중앙에서 권력을 장악하지 못하니까 지방의 세력이 커지면서 치안도 나빠지게 된 것이다.

치안이 나빠지면서 각자 자신의 영지와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무사를 고용하기 시작했다. 처음 무사가 된 사람들은 농업에 종사하지 않아도 살 수 있는, 한마디로 말하자면 먹고살만한 지방 세력가나 유력 농민의 자제들이었다. 싸움도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점차 무예 훈련을 통해 전업무사가 되어 갔다. 싸움을 많이 하다 보니 혼자보다는 무리를 지어야 유리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싸움이 전투처럼 커지다 보니 무사단으로 성장할 수밖에 없었다. 나중에는 몇개의 무사단을 통솔하는 우두머리도 생겨났다.

이렇게 처음에는 개인에게 고용이 되는 무사단이었지만, 세력이 커지면서 귀족 출신의 무사들도 늘어나고 무사단을 통솔하는 우두머리까지 등장하자 무사들은 누군가를 보좌하는 역할에서 벗어나 스스로 권력을 갖는 집단으로 변모했다.

헤이안시대 말 대표적인 무사 가문으로는 헤이시(平氏)와 겐지(源氏)가 있다. 그런데 하늘 아래 두 마리의 용이 있을 수 없는 법, 결국 더 큰 이권을 차지하기 위해 헤이안시대 말기 1180년에서 1185년까지 서로의 운명을 건 겐페이전쟁(源平合?)이 벌어졌다.

전쟁에서 헤이시 가문이 패하고 겐지 가문이 승리하면서 가마쿠라 막부(鎌倉幕府, 1185~1333)가 수립되었다. 막부(幕府, 바쿠후)란 원래 전쟁을 할 때 군대 진영 뒤에 막을 치고 지휘하는 곳을 말한다. 일본에서는 겐페이 전쟁에서 겐지 가문을 이끌고 승리를 거둔 미나 모토노 요리토모(源?朝)가 세이타이쇼군(征夷大?軍, 정이대장군)이 되었다. 그리고 그의 거처를 막부라 부르게 된 후 나중에는 무사 정권을 뜻하는 말이 되었다.

덴노가 형식적으로 임명하기는 하지만 권력은 세이타이쇼군, 줄여서 쇼군(?軍, 장군)이 가지고 있었다. 세이타이쇼군이 덴노보다 막강한 권력을 가지고 있던 시기이기 때문에 시대를 구분할 때 막부를 뒤에 붙이게 되었다. 가마쿠라 막부, 무로마치 막부, 에도 막부가 바로 그것이다.

가마쿠라시대에 쇼군과 주종관계를 맺은 무사를 고케닌(御家人)이라고 했다. 쇼군은 고케닌에게 영지의 소유를 인정해 주고, 고케닌은 쇼군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전시에는 군역의 의무를 다하는 등 봉건적 주종관계였다.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권력을 차지한 후, 치안을 유지하고 무신들을 통제할 목적으로 슈고(守護)와 지토(地頭)라는 관직을 설치했다. 쇼군에게 충성을 맹세한 힘 있는 고케닌 중 한 명을 슈고로 임명하였는데, 슈고는 주로 치안 유지와 무사들을 지휘하는 역할을 했다. 지토는 주로 세금을 걷는 역할로 역시 고케닌 중에서 임명했다.

그러나 가마쿠라 막부도 오래가지는 못했다. 13세기 후반에 2차에 걸쳐 원나라 침입을 받으면서 고케닌들이 군역의 의무 때문에 전쟁에 참가했지만, 전쟁을 하면서 든 비용을 막부에서 보조해 주지 않았다. 싸우러 가는 것도 힘든 일인데 돈을 받기는커녕 돈이 더 들었으니 전쟁 후에 고케닌들의 생활이 궁핍해진 것은 당연지사였다. 결국 가마쿠라 막부의 권력 기반이었던 고케닌의 군사력과 경제력이 사라져가자 가마쿠라 막부도 몰락해갔다.

막부시대에도 막부의 권력은 쇼군에게 있었지만 쇼군은 덴노가 임명했다. 가마쿠라 막부의 세력이 약해지자 뒤에서 기회를 엿보던 고다이고(後醍?) 덴노가 “때는 이때다” 하고 막부를 타도하고 정치권력을 덴노 중심으로 바꾸려고 했다. 경제를 장악하기 위해 토지 소유를 덴노의 명령에 의해서만 인정받을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자 기존에 토지를 소유한 무사들이 불만을 품게 되었다. 게다가 덴노는 자신의 권한을 과시하기 위한 궁궐을 건축했는데 그 비용을 무사와 농민들에게 전가해 불만이 높아만 갔다. 이때, 아시카가 타카우지(足利尊氏)라는 무사가 등장한다. 아시카가 타카우지는 사람들이 덴노에 대한 불만이 많다는 것을 알고 무사 세력들을 규합해서 고다이고 덴노를 유폐하고 자신이 원하는 덴노를 내세운다.

에도에 들어가는 조선통신사. 도쿠가와 이에야스 시대부터 1811년까지 모두 12차례 조선통신사가 일본 에도에 들어갔다고 한다

결국 이름뿐인 덴노를 내세워 자신을 세이타이쇼군에 임명 하게 한 후 무로마치라는 지역에 막부(室町幕府, 1336~1573)를 세운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시대적 흐름을 빨리 읽는 사람이 성공하는 건 똑같은 법, 무로마치 막부는 내란을 극복하기 위해 슈고의 권한을 강화해 주었다. 이를 계기로 슈고는 자신의 영지를 늘리고 조세를 담당하는 관직인 지토를 관리하면서 자기보다 힘이 약한 무사들을 부하로 지배하는 슈고다이묘(守護大名)로 성장한다. 슈고다이묘들은 자신의 영토를 기반으로 지역 주민들에게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했다.

무로마치 막부는 슈고다이묘 여럿이 모인 연합정권의 성격이 강하다 보니 슈고다이묘에게 강력한 통제력을 행사하지 못했다. 무로마치 막부 말기에는 쇼군의 후계자 문제와 슈고다이묘들의 이해관계가 얽히면서 내란이 일어났다. 1467년에서 1477년까지 11년이나 지속되었다. 이것을 오닌의 난(?仁の?)이라고 한다.

오닌의 난 이후, 오랜 전쟁으로 무로마치 막부가 있던 교토(京都)는 황폐해졌고, 막부의 권위는 땅에 떨어졌다. 그리고 슈고다이묘 안에서도 내분이 계속되면서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넘보는 하극상의 풍조가 만연해졌다. 오닌의 난이 발생한 1467년부터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에 의해 무로마치 막부가 멸망하는 1573년까지를 일본에서는 센고쿠지다이(??時代, 전국시대)라고 부른다.

전국시대는 전국 각지에서 센고쿠다이묘(??大名)가 등장 했다. 센고쿠다이묘는 슈고다이묘의 전국시대 버전인 셈이다. 이들은 중앙 정부의 간섭을 받지 않고 토지 영유권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자치를 실시했다. 점차 약소 다이묘들은 몰락하고 각지에서 강력한 센고쿠다이묘들이 등장하면서 전국은 몇몇의 센고쿠다이묘들이 나눠 지배하게 됐다. 이때 센고쿠다이묘 사이에서 난세를 통일하려는 야망을 가진 자가 등장하는데, 그가 바로 오다 노부나가다.

오다 노부나가가 전국통일을 눈앞에 두고 부하의 배신으로 죽게 되자, 오다 노부나가 밑에 있던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실권을 장악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지방의 센고쿠다이묘들을 차례로 복속시키고 전국통일의 위업을 달성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일으킨 바로 그 사람이다. 무사들은 이미 전국시대 100년 동안 매일매일 전쟁을 치르느라 지쳐 있다가 통일이 되면서 이제 좀 쉬려고 했을 때,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 침략이라는 명목으로 또 전쟁을 일으키니 무사들 사이에서 반란이 일어나고 말았다.

무사들의 반란으로 도요토미 정권은 급속히 쇠퇴하고,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마침내 최고의 실력자가 되었다.

1603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세이타이쇼군에 임명되고 에도 막부(江?幕府, 1603~1867) 시대가 열리게 된다. 1868년 메이지유신(明治維新)으로 에도 막부가 해체될 때까지 사무라이가 권력의 중심이었다. 가마쿠라 막부가 열린 1185년부터 에도막부가 끝나는 1867년까지 약 700년 동안 무사들이 지배한 것이다. 역시 사무라이의 나라 일본인 것이다.

전국시대의 대표적인 장군인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이 세명의 성격을 빗댄 두견새 이야기가 있다. 두견새 노랫소리를 듣고 싶은데 두견새가 노래하지 않을 때 세명의 장군은 어떻게 했을까?

오다 노부나가의 경우, 노래하지 않는 두견새는 바로 죽이고 새 두견새를 가져오라고 했다고 한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어떤 수단과 방법을 써서라도 두견새를 노래하게 해서 노랫소리를 들었다고 하며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두견새가 스스로 울 때까지 기다려서 두견새의 아름다운 노랫소리를 들었다.

결국 천하의 패권을 장악하여 세이타이쇼군에 오른 사람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였다. 두견새 이야기를 통해 사람들이 어떤 리더를 따르고 인정하는지 알 수 있지 않을까. <출처=지금은 일본을 읽을 시간>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