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로 입힌 상처는 칼로 입힌 상처보다 깊다”···모로코 속담

[아시아엔=김덕권 원불교문인협회 명예회장] 살면서 많은 상처를 받는다. 육체적인 상처도 있고 정신적인 상처도 있다. 상처 중에서 과연 어떤 상처가 깊고 오래 갈까? 아무래도 말로 입은 상처가 오래 가는 것 같다.

말로 입힌 상처는 칼로 입힌 상처보다 깊다는 모르코 속담이 있다. 또 말은 깃털처럼 가벼워서 주워 담기 힘들다는 탈무드의 교훈도 있다. 상대를 무시하면 자신도 무시당하게끔 되어 있다.

보통 사람들은 말을 생각 없이 뱉는다. 그런데 그 사람은 모래사장위에 글씨를 쓰듯 말하지만, 그 말을 듣는 사람은 쇠 철판에 글씨를 새기듯 들을 때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역사 이래 칼이나 총에 맞아 죽은 사람보다 혀끝에 맞아 죽은 사람이 더 많다.

세상의 모든 분쟁이 보통 말로부터 시작한다. 나는 지나가는 말로 아무 생각 없이 말하지만, 그 말을 들은 사람은 두고두고 잊지 못할 때가 많다. 그래서 “들은 귀는 천년이요, 말한 입은 사흘이다”라는 말도 있다.

반면 칭찬은 작은 배려이고, 작은 정성이며 작은 불꽃이다. 처음에는 작게 시작하지만 나중에는 크게 자란다.

우리가 칭찬하려는 순간 마음의 문이 열린다. 내가 한 칭찬 한마디가 상대방의 가슴에 씨앗이 되어 어떻게 크게 자랄지 아무도 모른다. 말로 따져서 이길 수는 없다. 이성이 상처받는 것이 아니라 감정이 상처받기 때문이다.

어느 시어머니가 며느리를 꾸짖었더니 며느리가 끝까지 말대꾸를 한다. 시어머니가 속이 상해서 “너 정말 꼬박꼬박 말대답 할 거냐?” 하고 버럭 소리를 지른다. 그랬더니 며느리의 대답이 이렇다. “어머니 말 대답이 아니라 이치가 그렇다는 거예요.” 이럴 때 이론과 이치가 무슨 소용일까?

가만히 보면 똑똑한 사람이 문제가 더 많은 것 같다. 어떤 부인은 똑똑함에도 불구하고 남편을 잃어버린다. 남편이 다른 여자한테 가 있다. “어느 모로 보아도 그 여자보다 내가 훨씬 더 나은데 남편은 왜 나보다 그 여자를 더 좋아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한다.

그래서 내가 말해주었다. “남자는 약간 모자란 듯한 여자를 좋아한다”고. 어쩌면 똑똑한 것을 질색하는 사람이 더 많을 것 같다. 왜냐하면 지식의 문제가 아니라 그보다 훨씬 더 감정적인 문제가 더 크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똑똑해서 망한 사람 참 많다.

아무쪼록 말을 잘 다스려야 한다. 모난 말보다는 둥근 말, 악한 말보다는 차라리 남을 칭찬해야 한다. 칭찬은 비용이 들지 않는다. 칭찬이야말로 큰 비용으로도 해결할 수 없던 부분까지도 해결해 줄 수 있다. 칭찬은 보물찾기와 같다. 보물은 많이 찾을수록 좋은 것이 아닌가?

칭찬은 사랑하는 마음의 결정이고, 비난은 원망하는 마음의 결정이다. 칭찬은 적을 친구로도 만들고 원수를 은인으로도 만든다. 칭찬은 고객감동과 고객만족 두 가지를 충족시키고도 남는다. 칭찬은 꼭 목마른 사람에게 물을 주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 하도 메마른 세상이라 사람은 너나없이 칭찬에 목마름을 느끼고 있다.

칭찬으로 변화시키지 못하는 것은 어떤 것으로도 변화시키지 못한다. 칭찬은 불가능을 깨뜨리는 놀라운 힘이 있다. 칭찬은 사람의 참모습을 나타나게 한다. 칭찬을 통해서 행복한 가정, 신나는 세상이 펼쳐진다. 또 칭찬은 우리의 의식을 변하게 한다. 한마디 칭찬이 의식개혁의 시작이다.

칭찬은 웃음꽃을 피우게 한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꽃은 웃음꽃이다. 칭찬하면 칭찬을 받는다. 우리가 칭찬을 하면 상대도 칭찬을 되돌려 준다.

칭찬을 받으면 앞길이 열린다. 마음의 문을 활짝 열게 하기 때문이다. 마음을 열고 활력 있게 행동하면 불가능도 가능하게 된다.

그 비결은 뭘까?

1. 아침에 오늘은 “좋은 일만 생길거야”라고 말한다.

2. 친구가 성공하면 진심을 다해 축하해 준다.

3. 따뜻한 마음 밭에 사랑을 듬뿍 심는다.

4. 항상 크게 웃는다.

?5. 힘들다고 고민만 하면 안 된다.

6. 사람을 존중하고 칭찬한다.

7. 끊임없이 베푼다.

8. 안 되는 이유를 알았다면 될 이유도 알아낸다.

?9. 말로 사람에게 상처를 입히지 않는다.

10. 마음을 활짝 열어둔다.

나는 위의 10가지 행동규칙을 매일 같이 주문 외우듯이 소리 내어 외운다. 우리가 한 물건도 미워하지 않으면, 한 물건도 우리에게 원한이 없게 된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