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미년 마음의 앙금 씻어내고 새해 맞는 10가지 지혜

[아시아엔=김덕권 원불교문인회 명예회장] 세상을 살아가면서 마음의 상처를 받지 않을 수 없다. 그때마다 얼마나 괴로운지 견딜 수가 없다. 그러나 마음의 상처를 그대로 두면 마음에 병을 얻어 결국 인생을 망치고 만다. 마음의 상처를 입지 않는 방법은 없을까?

<보왕삼매론>(寶王三昧論)이라는 것이 있다. 저자는 명말(明末)의 고승인 지욱(智旭)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서문에는 원말명초(元末明初)의 이름난 선승 묘협(妙?)으로 명시돼 있기도 하다. 보왕삼매론은 수행과정에서 나타나는 마음의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10가지 지침을 담고 있다.

첫째, 몸에 병 없기를 바라지 마라.

몸에 병이 없으면 탐욕이 생기기 쉽다. 그래서 성인은 “병고(病苦)로써 양약(良藥)을 삼으라”고 했다.

둘째, 세상살이에 곤란 없기를 바라지 마라.

세상살이에 곤란이 없으면 업신여기는 마음과 사치한 마음이 생기기 쉽다. 그래서 성인은 “근심과 곤란으로써 세상을 살아가라”고 했다.

셋째, 공부하는 데 마음에 장애 없기를 바라지 마라.

마음에 장애가 없으면 배우는 것이 넘치게 된다. 그래서 성인은 “장애 속에서 해탈을 얻으라” 했다.

넷째, 수행하는 데 마가 없기를 바라지 마라.

수행하는데 마(魔)가 없으면 서원(誓願)이 굳건해지지 못하다. 그래서 성인은 “모든 마군으로써 수행을 도와주는 벗을 삼으라” 했다.

다섯째, 일을 꾀하되 쉽게 되기를 바라지 마라.

일이 쉽게 되면 뜻을 경솔한 데 두게 된다. 그래서 성인은 “여러 겁(劫)을 겪어서 일을 성취하라” 했다.

여섯째, 친구를 사귀되 내가 이롭기를 바라지 마라.

내가 이롭고자 하면 의리를 상하게 된다. 그래서 성인은 “순결로써 사귐을 길게 하라” 했다.

일곱째, 남이 내 뜻대로 순종해 주기를 바라지 마라.

남이 내 뜻대로 순종해 주면 마음이 스스로 교만해 진다. 그래서 성인은 “내 뜻에 맞지 않는 사람들로써 원림(園林)을 삼으라” 했다.

여덟째, 공덕을 베풀되 과보를 바라지 마라.

과보(果報)를 바라면 도모하는 뜻을 가지게 된다. 그래서 성인은 “덕 베푼 것을 끝으로 삼으라” 했다.

아홉째, 이익을 분에 넘치게 바라지 마라.

이익이 분에 넘치면 어리석은 마음이 생겨나기 쉽다. 그래서 성인은 “적은 이익으로 부자가 되라” 했다.

열째, 억울함을 당해서 밝히려고 하지 마라.

억울함을 밝히려 하면 원망하는 마음을 돋게 된다. 그래서 성인은 “억울함을 당하는 것으로 수행하는 문을 삼으라” 했다.

열 가지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면 우리는 마음의 상처를 입고 살지는 않을 것 같다. 누구를 미워하는 것은 자기 자신을 괴롭히는 일이다. 누군가에게 오물을 던지기 위해서는 내 손에 먼저 더러운 것을 묻혀야 한다.

원망생활을 감사생활로 돌리는 방법이 있다.

①은혜를 발견한다. 원망할 일이 있더라도 먼저 모든 은혜가 어디서 왔는지를 발견하는 것이다.

②참회기도를 한다. 괴로운 일을 당할 때에는 진리 전에 사죄를 올린다.

③나의 잘못을 찾는다. 상대방이 그렇게 한 것은 내가 잘못한 탓이다. 그러므로 나를 일깨워준 스승이라고 생각하면 감사한 마음이 생긴다.

④상대방의 뜻을 헤아린다. 나에게 뭔가 잘 하려고 했는데 잘못 전달되었다고 생각한다.

⑤최악의 경우를 생각한다. 더 나쁘게 되지 않고 이 정도 된 것도 얼마나 다행인가라고 생각한다.

마음의 상처는 오래 두면 안 된다. 가능한 빨리 그 기분을 수습해야 한다. 조금이라도 상한 마음이 오래 지속되는 것은 본인에게는 물론 주위 사람에게도 절대 도움이 되지 않는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