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권의 훈훈한 세상] ‘색즉시공 공즉시색’과 팔만대장경, 금강경 그리고 반야심경

[아시아엔=김덕권 원불교문인회 명예회장] ‘색즉시공(色卽是空) 공즉시색(空卽是色)’이라는 말은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密多心經)에 나온다. 흔히 부처님이 설하신 팔만대장경을 줄이면 <금강경>(金剛經)이고, 이를 더 좁히면 <반야심경>이며, 이를 한 글자로 압축하면 빌 공(空)자로 표현한다. 그러니까 불교를 알려면 최소한 <반야심경>은 알아야 하고, ‘공’(空)의 도리를 확실히 깨치지 못하면 불법(佛法)이 무엇인지 알 수 없다.

불교에서 말하는 색즉시공은 ‘색(色)은 곧 공(空)일 뿐’이라는 것이다. 그러니까 눈에 보이는 현상은 인연(因緣)에 따라 끊임없이 생겼다가 소멸하는 것이지 실재하는 존재가 아니라는 뜻이다. 그리고 ‘공즉시색(空卽是色)’과 짝을 이루는 구절이다.

색즉시공 공즉시색을 알기 쉽게 설명한 분이 있다. 고려시대 때의 문신 이규보(李奎報, 1168년∼1241년)의 시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규보는 우리나라 최초의 영웅시 ‘동명왕편’을 지었고, 무인정권 시절 당대의 명문장가로 이름을 날렸다. 우리는 이 시를 통해볼 때 이규보가 가히 달관(達觀)의 경지에 이르러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물 속의 달’(詠井中月)

“산승탐월색(山僧貪月色), 산속의 스님이 달빛에 반하여/ 병급일호중(竝汲一壺中), 호리병에 물과 함께 담았지만/ 도사방응각(到寺方應覺), 절에 도착하면 곧 깨닫게 되리/ 병경월적공(甁傾月赤空), 병 기울여도 달이 없다는 것을”

우물에 달이 빠져 있는데, 산속에 사는 스님은 그 달을 호리병으로 길러올려 절에 가져와 물을 쏟아보니 달은 그 자취를 찾을 수가 없다. 물리적으로 해석하면 당연한 이치. 그러나 이 시에는 결코 만만치 않은 깊이를 느끼게 해주는 철학이 있다.

즉 시인은 불교의 색즉시공을 이 짧은 시를 통해 명쾌하게 풀이하고 있다. 제 1구의 마지막 글자인 색(色)과 제 4구의 마지막 글자인 공(空)이 합일을 이루면서, 이 시는 절묘하게 색즉시공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우물 속에 비친 달빛은 ‘색’인데, 그것을 호리병 속에 담아다 절에 와서 쏟아보니 어느새 그 존재는 달아나고 ‘공’만 남아 있다.

즉 형상이란 우물 속의 달빛처럼 달이 지고 나면 곧 사라지므로 공허하기 짝이 없는 일시적인 모습일 뿐이다. 인생 또한 색이다. 하지만 그 형상도 죽고 나면 공으로 돌아가 형체가 없는 아무 것도 아닌 것이 된다. 부질없는 인생살이가 이 시 한편 속에 녹아 있다.

색즉시공과 공즉시색은 대승불교의 핵심사상을 표현한 말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현상계는 자성(自性)이 없는 허상(虛像)의 세계다. 그러나 인연으로 인하여 분명히 존재하는 세계이므로 집착 없이 최선을 다하여 살아야 한다는 뜻이다. 비록 여덟 글자밖에 안 되는 구절이지만 그 의미를 제대로 알지 못하면 불법의 핵심을 놓치게 되어 수행하는데 많은 혼란을 겪게 된다.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라는 조사어록(祖師語錄)은 색즉시공 공즉시색을 달리 표현한 말이다. 이 말의 의미는 깨달음을 얻는다고 해서 산과 물이 없어지거나 혹은 산과 물이 서로 뒤바뀌지 않는다는 것이다. 깨달음을 얻어 차별이 없는 경지에 이르렀다 할지라도 육신이 몸담고 있는, 차별지(差別地)인 이 세상은 여전히 존재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수행자는 세상의 공한 이치만을 깨치려고 노력할 것이 아니라 공한 세상을 열심히 값지게 사는 방법 또한 깨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의미다.

색즉시공은 이 세상이 실체가 없는 허상이므로 중생들이 세상사에 집착하지 않도록 하는 가르침이다. 그리고 공즉시색은 비록 공한 세상이지만 집착 없이 열심히 세상을 살도록 중생을 제도하기 위한 가르침이다. 하지만 역대의 많은 조사들은 색즉시공을 주로 보여주었을 뿐 공즉시색까지 잘 보여주지는 않은 것 같다.

즉, 출가하여 산속에서 수행하면서 속세에 대한 집착을 놓는 모습은 보여주었지만 세상 속에서 중생들과 더불어 살면서 그들을 구제(救濟)하는 대승 수행자의 모습은 보여주지 못했던 것 같다.

이러한 치우침은 불교가 세상으로부터 멀어지는 결과를 낳고 말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대 많은 조사들이 색즉시공만을 강조한 이유는 중생들이 세상에 대한 집착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세상의 공함을 강조하여 그 집착을 조금이라도 놓게 하기 위해서일 것이다. 만일 중생들에게 공즉시색까지 가르칠 경우 색즉시공의 가르침은 잊어버리고 공즉시색만을 마음에 새겨 세상사에 빠져버리는 것을 경계하였던 것이다.

대승불교의 핵심은 색즉시공을 근본으로 삼아 공즉시색하는 것에 있다. 즉, 이 세상이 허상임을 깨치면서 동시에 집착 없이 세상을 위하여 열심히 사는 것이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위로는 깨달음을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제도하는 것’, 곧 ‘상구보리 하화중생’(上求菩提 下化衆生)이 바로 대승불교의 사상이다.

그러므로 색즉시공뿐만 아니라 공즉시색까지 공부해야 불법을 온전히 아는 것이다. 따라서 불교는 현실을 외면하면서 도피하는 종교가 아니다. 오히려 가장 현실적인 종교다. 세상 속에서 중생들과 동고동락하면서 세상을 위하여 열심히 사는 것이 바로 불법의 이치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