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칼럼

[이강렬의 행복한 유학] 하버드대 합격 비결은 ‘독서’···영어원서 100권 읽기 ‘강추’

하버드대의 공부벌레들. 이들의 바탕은 독서다
[아시아엔=이강렬 미래교육연구소 소장] 몇년 된 이야기지만 국내 신문에 하버드대학에 합격한 국내 고등학교 학부모 3명의 ‘하버드대 합격비결’에 대한 이야기기 살렸다.

이들이 공개한 ‘하버드대 합격비결’은 “한 우물 집요하게 파고 드는 독서”였다.

3명의 학생들은 고교 3년 내내 “글을 잘 쓴다”는 평을 들어왔다는 것이다. 대입 에세이도 하루 이틀 만에 완성했을 정도다. 비결은 어릴 때부터 엄청난 양의 독서를 해온 결과라고 이들은 말했다.

대학 합격 후 입학사정관으로부터 “에세이 내용이 좋았다”는 손 편지를 받은 A씨는 초등 6학년 때 영국 극작가 윌리엄 셰익스피어(1564~1616)의 작품을 고어(古語) 원문 버전으로 독파한 독서광(狂)이다.

B씨 역시 관심 가는 분야가 생기면 ‘더 읽을 책이 없을 때까지’ 파고들었다. 기네스북을 끼고 살 땐 각종 세계 최고기록을, 타이태닉호 침몰사건(1912)에 흥미가 생겼을 땐 관련 통계를 외우고 다녔다. C씨가 책을 좋아하게 된 데에는 어머니의 영향이 컸다고 한다. 어머니는 아들을 유모차에 태우고 다닐 무렵부터 도서관에 매일 살다시피 했다. 아들이 초등생이 된 후엔 매주 두 번씩 도서관에 아이를 온 종일 풀어놔 자연스레 책을 접하게끔 했다.”고 말했다.

독서는 모든 공부의 기본이다. 하버드대 합격생 학부모들도 소개했듯이 이 대학에 합격한 학생들의 공통점은 책을 많이 읽었고 글을 잘 썼다는 것이다. 글쓰기의 바탕은 ‘독서’다. 그러나 이 독서가 우리나라에서는 외면을 받고 있다. 초등학교 때까지는 그래도 어느 정도 독서를 하나 중고등학교에 들어서면 책과는 담을 쌓는다. 학교 공부를 따라가기도 벅차다는 이유다.

그러나 독서를 하지 않고서는 학업에 발전이 없다. 초등학교 때 독서에 기울이는 정성과 노력을 중고교 때 절반이라도 쏟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한글로 된 책과 함께 영어로 된 책을 읽었으면 좋겠다. 국내 대학교 입학전형의 학생부종합전형이 있다. 여기서는 학교 공부 외에 학교 내에서 한 활동에 대해 기록을 올리면 입학사정관들이 이를 평가한다.

필자는 여기서 가장 좋은 활동 가운데 하나가 고등학교 3년 동안 영어 소설, 시, 픽션, 고전 등 100권 읽기라고 생각하고, 도전하라고 권한다. 자기 수준에 맞는 영어독서 프로그램을 짜고 이를 완성하면 1거3득, 4득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1)독서를 통해 자신의 학업 능력의 기초를 닦아서 학교 성적이 올라갈 것이다
2)대학 진학에 결정적인 액티비티가 될 것이다.
3)영어는 세계 표준어다. 이렇게 영어실력을 닦으면 대학, 대학원 진학과 향후 학문을 하는 데 매우 유리하다.
4)독서를 바탕으로 향상되는 것은 글쓰기다. 글을 잘 쓴다는 것은 향후 취업, 학문을 하는 데 매우 도움이 될 것이다.

필자는 국내 초중고 학생들의 체계적 영문독서를 계속 연구하고 있다. 국어 독서에 비해 매우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많다. 정확히 학생들의 영어실력을 미국 학생들과 비교할 수 있는 검사 프로그램인 렉사일검사를 통해 학생의 영어실력을 평가하고 그 능력에 맞춘 책을 선정해서 읽으면 된다.

물론 아이가 독서에 흥미가 없으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전문가들이 주 1회 독서를 지도하는 프로그램도 있다. 한달에 2-4권, 연간 30-40권의 원서를 읽고 거기에 맞춰 영어 독후감을 쓸 수 있도록 도와준다. 국내 대학에 진학하는 학생이 이 독후감을 모으면 놀라운 스펙이 될 것이다. 아직까지 한국 학생들 가운데 고등학교 3년 동안에 원서 100권을 읽은 학생은 별로 없다. 미래교육연구소는 3년 동안에 ‘영어원서 100권 읽기’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이강렬

이강렬 미래교육연구소 소장, 국민일보 편집국장·대기자·논설위원 역임

필자의 다른 기사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