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애연가의 천국에서 지옥으로···중국 베이징 ‘공공장소 금연’ 5개월째, 실효성은?

[아시아엔=최정아 기자] “나는 커피숍에서 사람들을 만날 때마다 꼭 담배를 피웠다. 하지만 지금은 그렇게 못한다. 심지어 공항의 흡연 구역도 없애버렸다. 너무 불편하다”

중국 베이징에 사는 한 흡연자가 홍콩 유력매체 <SCMP>와의 인터뷰에서 시 정부에 대한 불만을 털어놓았다. 베이징시 당국이 실시한 대대적인 공공장소 금연정책 때문이다.

베이징은 지난 6월1일부터 사무실과 호텔, 병원, 식당 등 시(市)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을 금지했다. 또한 웹사이트나 공공장소 간판에 담배 광고물을 싣거나 유치원, 학교 반경 100m안에서 담배를 판매하는 행위도 전면 금지했다. 이를 위반할 시 개인은 최대 200위안(3만6천원), 기관은 최대 1만 위안(181만원)의 벌금을 내야한다.

‘흡연자들의 천국’이라 불렸던 중국에서 실시된 엄격한 금연정책에 시민들은 당황할 수 밖에 없었다.?갑작스런 금연정책에 시민들의 항의전화가 빗발쳤고, 관계 당국 직원들의 업무가 마비될 정도에 이르렀다. 베이징 담배규제협회의 리우 후이는 <SCMP>에 “하루에 100통 이상의 항의 전화를 받고 있다. 사무실 직원들이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당국이 금연정책을 통해 부과한 벌금액도 상당하다. <SCMP> 9월20일자 보도에 따르면, 3100개 기업이 시 당국으로부터 ‘경고’조치를 받았으며, 흡연자 1600명이 벌금형을 받았다. 이 중 개인흡연자 360명이 38만 위안(6876만원), 144개 기업이 38만 위안을 물었다.

한해 거두는 담뱃세만 77조 4800억원, 전세계 흡연자 3명 중 1명이 중국인

하지만 베이징 금연 정책의 실효성에 대해선 여전히 논란이 일고 있다. 반강제적인 흡연규제책보다는 ‘담뱃세’를 높이는 방식을 고려해야한다는 것이다. 이에 당국도 담뱃세 인상을 위한 본격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블룸버그 비즈니스>에 따르면, 중국정부는 담뱃세를 기존 5%에서 11%으로 2배가량 인상하겠다는 계획을 지난 4일 발표했다. 건강발전연구센터의 우 이췬 연구원은 “정부의 정책만으로 금연에 대한 국민 인식을 높이는 건 불가능하다”며 “정부는 금연정책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면서, 담뱃세 또는 담배가격을 높이는 방식으로 흡연율을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중국 정부가 한해 거두는 담뱃세는 4280억 위안(77조 4808억원) 가량에 달한다. 또한 흡연자 인구도 3억명으로 전세계에서 제일 많다. 전세계 흡연자 3명 중 1명이 중국인인 셈이다. 이들은 하루 평균 담배 22가치를 피우고 있다. 란세트 의학저널(The Lancet medical journal)는 2010년 한해동안 중국인 100만명이 흡연으로 사망했으며, 2030년까지 200만명이 흡연으로 조기 사망(premature death)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최정아

기자, jchoi12@theasian.asia

필자의 다른 기사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