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깐묵상] 클리셰인가? 복음인가?

사사기 8장

‘클리셰’라는 말이 있습니다. 문학이나 음악, 영화 등의 예술 작품에 등장하는 뻔한 설정, 예측 가능한 전개, 틀에 박힌 대사 같은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출생의 비밀이나 연인의 가족 간에 얽힌 원한, 위기의 순간 주인공이 극적으로 구출되는 장면 등이 있습니다. 음악에서는 2-5-1과 같은 전형적인 코드 진행이 클리셰에 해당합니다.

클리셰가 괜히 클리셰가 된 것은 아닙니다. 사람들에게 잘 통하니까 클리셰가 되었습니다. 진부하고 뻔하긴 하지만 클리셰를 잘 이용하기만 하면 인기와 흥행을 보증하는 값을 톡톡히 하기 때문에 작가나 연출가들은 클리셰를 적절히 이용하여 작품을 만듭니다. 특히 대중 문화 속에서 클리셰는 대규모의 인원을 움직이는 탁월한 능력을 발휘합니다.

그런데 대중 문화는 그럴 수 있고 그래야 하지만, 교회가 복음의 메시지를 클리셰처럼 이용한다면 어떨까요? 메시지 본연의 의도와는 상관 없이 그저 사람들의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해 복음적 표현이나 성경적 표현을 이용하는 부분에 대해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기드온이 그들에게 이르되 내가 너희를 다스리지 아니하겠고 나의 아들도 너희를 다스리지 아니할 것이요 여호와께서 너희를 다스리시리라 하니라”(삿 8:23)

이 말에 사람들이 얼마나 감동했겠습니까? 사람들의 마음이 기드온에게로 움직였습니다. “하나님만이 우리의 왕이십니다” 기드온이 말은 그렇게 했지만, 실제로는 기드온 자신이 왕 노릇을 했습니다. 심지어 금 에봇을 제작함으로서 그는 정치적, 군사적 권력뿐만 아니라 종교적 권력까지 쥐게 되었습니다. 사람들은 기드온을 중심으로 똘똘 뭉쳤고, 결과적으로 하나님의 다스림이 아닌 기드온의 다스림을 받았습니다.

오늘날 교회 안에도 성도들의 특정한 반응을 이끌어내는 표현이나 장치들이 있습니다. 대형 집회의 찬양인도자들이 내뱉는 멘트, 박수를 유도하기 위한 제스쳐, 분위기를 돋우기 위한 음악적 빌드업도 일종의 클리셰일 수 있습니다. 십자가의 복음이 중요해서가 아니라, 사람들의 눈물샘을 자극하기 위해서 십자가의 보혈, 고통, 희생과 같은 개념을 강조한다면 그것은 십자가를 분위기 띄우기 용으로 이용한 것입니다.

예수님은 집회 분위기를 위해 십자가를 지지 않으셨습니다. 말라기 선지자는 성도들의 지갑을 열기 위한 목적으로 십일조를 강조한 것이 아닙니다. 목숨을 걸고 선교한 바울의 이야기는 헌신 설교의 예화를 목적으로 기록되지 않았습니다.

클리셰는 교회 문화에 익숙한 종교인을 만들고, 복음은 하나님과 친숙한 신앙인을 만듭니다.

늘 근본, 기본, 처음을 돌아보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