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권 칼럼] 원불교의 천도재 알아보니…

2023년 4월 25일~5월 1일 열린 특별천도재에 원불교 관계자들이 704위의 위패를 모셔 정성 모아 기도를 올렸다. <출처 원불교신문>

불가에서는 천도재(薦度齎)를 지낸다. 천도재란 죽은 사람의 영혼을 극락으로 보내기 위해 치르는 불가 의식으로, 가장 잘 알려진 것이 49재이고, 그밖에 100일재 등이 있다.

사람이 죽으면 7일째 되는 날부터 49일 되는 날까지 매 7일마다, 그리고 100일째와 1년째, 2년째 되는 날 모두 합하여 10번 명부시왕(冥府十王)으로부터, 한번 씩 심판을 받는다고 한다. 이 중에서도 49재를 가장 중요시하는 것은 명부시왕 중 지하의 왕으로 알려진 염라대왕이 심판하는 날이기 때문이다.

천도재를 지내는 이유는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고, 좋은 곳으로 보내기 위해서다. 또 가족이나 지인의 마음을 안정시키고, 죽은 사람과의 인연을 정리하기 위해서도 한다. 죽은 사람이 살아있을 때 지은 죄를 씻어주고, 공덕(功德)을 쌓게 하려고 불교도뿐 아니라 일반인도 많이 지낸다.

또 종교적인 의미뿐 아니라 가족이나 지인의 죽음을 받아들이고 마음을 치유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한다. 돌아가신 영혼(靈魂)을 영가(靈駕)라고 부른다. 영가의 ‘가(駕)’는 짐을 지는 ‘멍에’를 뜻하며 업(業)의 멍에를 짊어졌기 때문에 영가(靈駕)라 한다.

불교에서는 전생이나 현생, 내생을 과거 현재 미래로 나누어 삼세(三世)라고 한다. 이 삼세를 통하여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의 삼계(三界)로 돌고 도는 것을 윤회(輪廻)라고 한다.

우리는 태아교육, 유아교육, 유치원교육, 학교교육 등의 교육을 받는다. 마찬가지로 사람이 죽어도 영혼 교육, 영가 교육 등의 사후 교육을 받는데, 이것을 불가에서 천도(薦度)라고 한다.

천도재(薦度齎)의 ‘재(齎)’는 제사(祭祀)의 제(祭)가 아니다. ‘재(齎)’는 가져오다, 가져가다, 보내다, 가지다, 지니다 등의 여러 뜻이 있다. 이렇게 천도(薦度)는 부처님의 말씀을 통하여 천상으로, 극락으로 천거한다는 뜻이다. 육신이 없는 의식(意識)의 덩어리, 쉽게 말해서 영혼을 가르치는 것이다.

그래서 천도재를 통하여 영혼, 영가의 의식 정화(淨化)를 자주 하는 이유가 있다. 무명(無明)의 의식(意識)이 부처님의 광명으로 의식이 정화되는 것이다. 기억도 오래 가면 잊어버리는 것과 같이, 영혼이라는 의식도 훈습(熏習)에 의한 업력(業力) 때문에 악도(惡道)에서 벗어나기 어렵고 천상에서 금방 떨어지기 쉽다.

그러니까 부처님 말씀을 매일 반복해서 읽고 외우며 훈습(熏習)이 되게 끔 하는 것이다. 흙탕물도 거르고 거르면 맑아지듯이, 좋은 습관을 꾸준히 계속해야 한다. 천도는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기 위해 법회, 독경, 시식, 불공 등을 베풀어, 죽은 영혼이 극락정토나 천상에 태어나도록 기원하는 의식이다.

천도의 결과는 기원하는 바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천도를 통해 죽은 영혼이 고통에서 벗어나 자유로워지고, 극락정토나 천상에 태어나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다고 믿는다. 그리고 의식을 진행하는 사람의 능력과 정성, 그리고 죽은 영혼의 업보 등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도 있다고 한다.

원불교에서도 천도재를 지낸다. 죽음의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기 때문이다. 이를 교의적으로 접근해 죽음에 초연할 수 있도록 천도재와 관련되는 특별 의식과 더불어 영혼을 보내는 방법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루는 것이다.

원불교에선 천도 방법으로 두 가지로 접근하고 있다. 그것은 생전 천도와 사후 천도다. 생전 천도는 자신의 천도이고, 사후 천도는 타인의 천도다. 주로 사후 천도에 집중한다.

원불교의 소태산(少太山) 부처님께서 사람이 죽으면 49일 동안 중음(中陰)에 어려있다가 업연(業緣)을 따라 몸을 받게 된다고 했다. 그리고 정산(鼎山) 종사께서는 “천도는 영가가 ‘이고득락(離苦得樂)’케 하며, ‘지악수선(止惡修善)’케 하며, ‘전미개오(轉迷開悟)’케 하는 것이니, 일심이 청정하여 천도할 것 없는 데까지 천도함이 참다운 천도가 된다”고 했다.

원불교에서 신앙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일원상(一圓相)이다. 그래서 천도의 원리는 무엇보다 원불교 신앙의 대상인 ‘일원상 진리’에서 모색하는 것이 근본 접근이다. 따라서 원불교의 천도 원리는 일원상의 원리, 영가의 위로 정화, 인과 원리, 무명 극복의 원리, 정법 인연의 원리가 바탕이다.

소태산 부처님은 “사람이 죽으면 육신에서 영혼이 떨어져 나가는 순간이 가장 무섭다”며, “최후 일념으로 영가 천도에 정성을 다하라”고 했다. 죽음의 공포를 극복하도록 해탈과 영생의 구원을 위해 천도가 필요하다고 설파한 것이다.

원불교 천도 의례의 특성은 천도재의 혁신과 간소화, 생전·사후 천도의 병행, 인도수생(人道受生)이 강조된다. 즉 원불교 천도재는 영혼을 깨우쳐 애착(愛着)·탐착(貪着)·원착(怨着) 등 모든 착심을 여의고, 그 업보대로 사람의 몸을 받도록 인도해 주는 것이다.

원불교의 천도는 인간의 죽음을 구원의 길로 인도하는 것이며, 49재를 통해 온전한 천도의 길로 인도한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