잼버리 피날레, K-팝 공연으로…김관영 전북지사 가장 큰 책임
총체적 부실, 총체적 책임 물어야…아래 아닌 윗물들부터
새만금 잼버리, 급감추세 한국스카우트에도 초대형 악재
윤석열 대통령이 칼을 뽑아야 한다. 태풍 지나고, 잼버리도 막을 내린 뒤에 말이다. 7년 세월 동안 무엇을 했는가? 감사와 수사로 총체적 부실로 전세계에 망신살 뻗친 2023 새만금 잼버리를 해부하라. 총체적 부실에는 총체적 책임이 따라야 한다. 잘못을 가려내 엄중하게 일벌백계 해야 한다.
태풍이 도와, 세계스카우트연맹 건의로 4만여 대원은 서울 등 수도권으로 옮겼다. 피날레 K-팝 공연으로 만회를 하길 진심으로 빈다. 매일 참가자 수백 명씩 온열 질환에 스러졌다. 배수마저 이뤄지지 않아 곳곳이 진흙탕 투성이다. 그런데다 물이 고인 탓으로 벌레마저 들끓었다. 이런 참사는 7년 전 예견됐다.
하지만 전북도는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다. 작년 7월 검증 기회인 프레잼버리를 무산시켰다. 그 이유도 배수가 되지 않아서였다. 그런데, 쉬쉬 하며 올해 대회를 강행한 것이다. 전북도 의뢰로 잼버리 타당성 조사 보고서가 7년 전 나왔다. ‘잼버리 행사 개최 시기인 올해 8월 최고 36도에 달하는 고온이 지속할 것’(2016년,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폭우에 대비, 배수시설을 완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폭염으로 수많은 환자가 발생한 2015년 일본 야마구치 잼버리도 반면교사로 언급했다. 그늘 등 쉼터 마련을 최우선 과제로 꼽은 거다. 전북은 새만금에 ‘풍성한 숲’을 조성하겠다 했다. 간척지에서 잘 자라는 나무를 곳곳에 심기로 했다. 넝쿨식물의 그늘 쉼터도 최대한 만들기로 했다.
그러나 모두 공수표였다. 전북도는 2019년 직원 14명을 북미 잼버리대회에 보냈다. 당시 100가지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놓고도 적용은 안 했다. 여기에도 “폭염대비 쉼터 확충” “모기·해충 대비 필요” “간이화장실 약품 냄새에도 청결” “식품 안전 철저 진행” 등이 나온다.
이번에 불거진 무더위와 모기 해충, 화장실 비위생, 곰팡이 달걀과 같은 문제들이 4년 전 체크리스트에도 있었다. 그러나 탁상용 보고서에 그쳤다. 참담한 국격 훼손의 원인이었다. 해외 출장은 전북도를 비롯 부안군, 새만금개발청, 여가부 등에서 90건 이상 나갔다. 대부분 놀러간 ‘외유성 출장’으로 확인됐다. 잼버리와 무관한 해외유명 관광지가 다수다. 전북도는 2018년 스위스 이탈리아 관광 명소만 다녔다. 두 나라는 잼버리 개최 경험이 없었다. 부안군은 상하이에서 유람선을 타고, 파리 와인 행사에 갔다. 해외 관광지를 둘러본 후 잼버리와 억지로 연결시켜 보고서를 썼다.
여야 의원 5명도 2019년 4박 6일 일정으로 미국 출장을 갔다. 잼버리 참관은 이틀, 나머지는 워싱턴 DC에서 주미대사 만찬에 참석하고 휴식했다. 외유성 출장비에만 4788만원이나 들었다. 무엇보다 김관영 전북지사의 책임이 무겁다. 참사 초기, 인원 및 자금 타령만 늘어놓았다. 집행위원장으로서 과연 무엇을 했는지 묻고 싶다. 대통령 지시가 떨어지기 전, 주무 장관들 중 단 한번이라도 현장에 가본 사람이 있나? 스카우트복장에 목도리로 TV 카메라만 의식했다.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대원 4만 여 명, 가족들도 최소 서넛은 왔을 거다. 큰 행사를 치러본 적도 없고, 인원도 부족한 여가부에 대형행사를 맡긴 건 또 누군가? 대회 사무총장은 “대통령 지시로…”만 연발했다. 이 사람은 여가부의 고위직이다. 큰 행사를 단 한번이라도 치러봤을까?
문체부 행안부는 공동주관 운운했지만 팔짱만 꼈다. 이들 부처가 초장부터 팔을 걷어붙였다면 달랐을 거다. 그래본들, 김관영 전북지사의 책임이 가장 무겁다. 잼버리 빌미로 새만금 예산만 따낼 요량이었다. 새만금 일대 개발로 차기주자로 발돋움할 꿈에만 부풀어 있었다는 말도 들린다. 정작 집행위원장을 맡아 본업인 잼버리 대회는 ‘처삼촌 묘 벌초하듯’ 방관해 망쳐놓았다.
지역 업체에 시혜성으로 서비스 지원 등을 맡기려 했다. 관철한 것도 여럿이다. 이런 식이었으니 초장에 사고가 연발한 거다. 물 쓰듯 한 예산 집행도 개판 오분 전이었다. 마찬가지로 사정이 비슷한 폭염 속 간척지였다.
2015년 일본 잼버리 대회는 성공했다. 그때 소요된 예산은 고작 380억원대. 3배 넘는 돈을 쓴 새만금에선 악취와 비위생적인 샤워시설 및 화장실 문제가 불거졌다. 1000명 넘게 온열질환으로 쓰러졌으나 의료진과 병상 부족으로 방치되다시피 했다. 1400억원대 예산이 대체 어디에 쓰인 건가? 야영장에 130억원과 상·하수 기반 시설 205억원, 강제 배수에 30억원 등 395억원 들었단다.
이밖에 급식과 식당 운영에 121억원, 그늘막 구입 5억원, 방역 시설 완비와 해충 기피제에 7억원, 분뇨 처리 등 11억원 등 656억원을 썼다.
참가자들은 물웅덩이에 텐트를 쳤다. 심지어 썩은 달걀이 급식으로 제공됐다. 자금집행도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 주최측은 예산 확대만 줄기차게 요구해왔다. 491억원이었던 총사업비가 2배 이상 불었다. 잼버리조직위는 실무팀만 30개 117명이다. 정부위(30명), 실무위(19명), 조직위(152명), 집행위(21명)까지 더해져 비대해졌다. 조직 유지에만 84억원이 추가로 들었다 덩치만 컸지, 제대로 일한 흔적을 찾기 힘들다.
88올림픽과 평창올림픽, 숱한 아시안게임, 2020 월드컵까지 차질 없이 치러낸 바 있다. 큰 행사를 치러본 선수급들이 단 몇 명이라도 있었나? 그랬다면 국민 낯을 못들게 만든 새만금 참사는 없었다. 한국은 1991년 강원도 고성에서 첫 잼버리를 치렀다. 아시아에선 필리핀과 일본에 이은 3번째 개최국이었다.
전북은 2012년부터 새만금 잼버리 유치에 나섰다. 애초 새만금에 정부 돈을 끌어들이려는 의도가 짙었다. 고성과 경합 끝에 새만금이 8년 전, 후보지가 됐다. ‘스마트 잼버리’를 앞세운 새만금은 2017년 8월 세계스카우트연맹 총회에서 최종 확정됐다. 우여곡절 끝에 지난 7일 모든 대원이 새만금을 떠나갔다. 158개국에서 모인 참가자 부모들 원성이 자자하다. 참가자의 연령대는 14~17살이다. 가디언의 기사를 보니, 낯이 뜨겁다. “아들이 난장판이란다. 스카우트의 모토는 ‘준비하라’(be prepared)인데 한국 정부는 그러지 않았다”
거듭 당부한다. 마지막 날 K-팝 공연으로 그동안의 실점을 만회하자. 전세계인이 지켜볼 상암동 월드컵경기장을 신명난 축제의 장으로 만들라. 그래서 원성과 불만을 말끔하게 털어놓고 떠나게 하자. 조명이 꺼진 뒤, 총체적 부실의 책임을 엄중하게 묻자. 아랫 사람만 건드리지 말고, 윗분들까지… 정치적 책임까지 준엄하게 물어야 한다.
한때 40만 넘던 스카우트대원 수가 확 쪼그라들었다. 이제 수만명 대로 더욱 급전직하 할 것이다. 호연지기를 키우며 자라날 청소년이 줄어든다. 나라의 앞날에도 암운이 드리우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