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절기 심·뇌혈관 질환①] 코로나에 취약, ‘3·3·3원칙’ 준수를

심뇌혈관 질환 주요증상


“당신은 자신의 3대 혈관 숫자(혈압, 혈당, 콜레스테롤)를 알고 계십니까?”

정부는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해 지난 2014년부터 매년 9월 첫째 주(1-7일)를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주간’으로 지정하고 대국민 인식 개선에 힘쓰고 있다.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주간에는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등 자신의 혈관 숫자를 알자는 내용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심뇌혈관질환의 심각성과 예방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있다.

심뇌혈관질환이란 심(心)혈관질환과 뇌(腦)혈관질환을 동시에 부르는 말이다. 심뇌혈관질환으로 통틀어서 부르는 이유는 혈관에 이상이 생길 때 가장 크게 타격을 받는 부위가 바로 뇌와 심장이기 때문이다. 보험상품으로도 심뇌혈관질환보험, 2대질환보험 등으로 많이 나와 있다.

“당신은 자신의 3대 혈관 숫자(혈압, 혈당, 콜레스테롤)를 알고 있습니까?” 정상 혈압은 수축기 120mmHg 미만, 이완기 80mmHg 미만, 정상 혈당은 공복(空腹)혈당 100mg/dl 미만, 그리고 정상 콜레스테롤은 총 콜레스테롤 200mg/dl 미만이다. 인근 지역 보건소, 동네 병의원 등에서 혈압기와 혈액검사를 통하여 혈관 숫자를 알 수 있다.

요즘 같은 감염병 유행상황에서 심뇌혈관질환은 코로나19에 취약하다. 코로나19 확진 시 기저질환이 있는 감염인의 사망 위험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높다. 실제로 2022년 8월 기준 국내 코로나19 사망자의 기저질환 1위와 3위는 각각 고혈압을 포함한 순화기계질환, 당뇨병을 비롯한 내분비계 대사성질환이었다. 이에 심뇌혈관질환의 선제적 예방과 관리가 중요하다.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사망 원인은 고혈압이며, 2019년 한 해 고혈압으로 인한 사망자는 1080만명으로 세계 사망원인의 19.2%를 차지했다.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 이완기 혈압 90mmHg 이상일 때를 말한다. 혈관이 높은 혈압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혈관이 손상되고, 혈관이 딱딱해지고 좁아지는 동맥경화가 진행된다.

2021년 기준 국내 20세 이상 인구 중 고혈압 환자는 1374만명으로 유병률(有病率)이 27.7%에 달했다. 즉 성인 3-4명 중 1명은 고혈압 환자인 셈이다. 고혈압 환자는 코로나19 사태 전인 2019년 1269만명에서 2020-2021년도를 거치면서 각각 1322만명, 1374만명으로 증가했다. 즉 고혈압 환자가 코로나 사태 기간에 총 100만명 이상 증가한 것이다.

고혈압은 ‘소리 없는 암살자’라는 별명처럼 우리에게 조용히 다가온다. 고혈압은 증상이 없으며 조용히 혈관과 장기를 손상시키기 때문에 ‘침묵의 살인자’ ‘저승사자의 경고’ ‘죽음의 도화선’ 등 무서운 별명을 가지고 있다. 특히 고혈압은 증상이 없어서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기 쉽다.

영국 파르보건연구원은 전 세계 125만명을 대상으로 고혈압이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얼마나 높이는지를 5년간 추적 관찰했다. 고혈압 환자들은 정상 혈압을 가진 사람들에 비해 5년 정도 더 일찍 심혈관질환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혈압 환자들이 평생 심혈관질환을 겪을 위험은 약 63%로 정상 혈압을 가진 사람들의 46.1%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에 따르면 수축기 혈압이 20mmHg 높아졌을 때 안정형 협심증 발병 위험이 44% 상승했으며, 심근경색 29%, 심부전 27%, 관상동맥질환 사망이 26%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뇌출혈과 허혈성 뇌졸중 발병 위험도 각가 44%와 35% 증가했다. 이에 고혈압이 심뇌혈관질환과 강력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고혈압의 합병증이 신장(콩팥)과 눈(망막)에도 나타난다.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미세혈관들이 손상되므로 미세혈관 덩어리인 신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신장의 대표 기능인 혈액 속 노폐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초기에는 단백뇨 등의 증상을 보이다가 점차 악화되어 신경화증, 만성 신장질환, 요독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고혈압은 미세혈관으로 이뤄져있는 눈의 망막을 손상시킬 수 있다. 고혈압으로 인해 망막에 있는 미세혈관이 손상되면 혈관벽이 두꺼워지고 혈관을 통해 흐르는 혈액의 양이 줄어든다. 망막에 공급되는 혈액량이 감소하면 망막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망막 손상은 시력저하, 실명으로 이어지게 된다.

고혈압 환자는 매일 아침 혈압약을 먹는 생활을 언제까지 해야 할까?라는 생각을 한번쯤 해봤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을 하면 혈압이 낮아진다고 알려져 있다. 즉 규칙적인 운동을 지속할 경우 체중 조절과는 별개로 3-4mmHg 정도의 혈압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즉 운동을 하면 혈관을 튼튼하고 넓게 만들어 혈압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임상 전문의들은 운동을 포함한 생활습관 개선(금연, 절주, 저염식 등)으로 고혈압 약을 대체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고 말한다.

뇌졸중, 심근경색 같은 급성심뇌혈관질환의 경우 증상을 조기에 인지하고 적절한 조기치료와 재활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 뇌는 우리 몸에서 혈류가 가장 많이 가는 장기이며, 뇌로 가는 혈액의 양은 전체 혈액의 20%에 달한다. 고혈압이 지속되면 혈관이 딱딱해지고 혈관 내부가 막히거나 터져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다.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는 뇌경색과 혈관이 터지는 뇌출혈로 인하여 뇌의 기능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심근경색이란 심장혈관이 혈전, 연축(攣縮) 등의 원인에 의해 갑자기 막혀서 심장 근육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관상동맥 중 어느 하나라도 혈전증이나 혈관의 빠른 수축(연축) 등에 의해 급성으로 막히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서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괴사하는 상황을 심근경색증이라 한다.

관상동맥의 가장 안쪽 층을 내피세포가 둘러싸고 있는데 내피세포가 건강한 경우에는 혈전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등에 의해서 내피세포가 손상을 받게 되어 죽상경화증(粥狀硬化症)이 진행되고, 관상동맥 안을 흐르던 혈액 내의 혈소판이 활성화되면서 급성으로 혈전이 잘 생기게 된다.

혈전이 혈관의 70% 이상을 막아서 심장 근육의 일부가 괴사되는 경우가 심근경색증이고, 혈관 내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기 않아 가슴에 통증이 생기는 것이 협심증이다. 심근경색과 협심증은 모두 심장혈관이 막힌 질환이긴 하지만 속도가 다르다. 협심증이 있다 하더라도 심근경색을 예측할 수 있는 상황은 없다. 심근경색 환자의 절반 정도는 협심증 없이 갑자기 발생한다.

심근경색증을 비롯한 허혈성 심장질환을 예방하는 것은 그 위험인자를 관리하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발병 위험인자의 예방을 위한 생활요법의 기본은 3·3·3 원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1)식이요법: 소식, 채식, 저염식의 3요소 (2)운동요법: 운동 전 3분 준비운동, 한번에 30분 이상, 1주일에 3일 이상 (3) 생활요법: 금연, 이상적 체중 유지, 심리적 스트레스 해소의 3요소 등이다.

Leave a Reply